top of page
검색

20250521 [새벽묵상] 약속의 성취를 통해 드러나는 하나님의 공의와 주권 | God's Justice and Sovereignty Revealed Through the Fulfillment of His Promise (민/Num 26:52~65)



26:52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26:53 이 명수대로 땅을 나눠 주어 기업을 삼게 하라

26:54 수가 많은 자에게는 기업을 많이 줄 것이요 수가 적은 자에게는 기업을 적게 줄 것이니 그들이 계수된 수대로 각기 기업을 주되

26:55 오직 그 땅을 제비 뽑아 나누어 그들의 조상 지파의 이름을 따라 얻게 할지니라

26:56 그 다소를 막론하고 그들의 기업을 제비 뽑아 나눌지니라

52 The Lord said to Moses, 53 “The land is to be allotted to them as an inheritance based on the number of names. 54 To a larger group give a larger inheritance, and to a smaller group a smaller one; each is to receive its inherit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ose listed. 55 Be sure that the land is distributed by lot. What each group inherits will be according to the names for its ancestral tribe. 56 Each inheritance is to be distributed by lot among the larger and smaller groups.”


26:57 레위인으로 계수된 자들의 종족들은 이러하니 게르손에게서 난 게르손 종족과 고핫에게서 난 고핫 종족과 므라리에게서 난 므라리 종족이며

26:58 레위 종족들은 이러하니 립니 종족과 헤브론 종족과 말리 종족과 무시 종족과 고라 종족이라 고핫은 아므람을 낳았으며

26:59 아므람의 처의 이름은 요게벳이니 레위의 딸이요 애굽에서 레위에게서 난 자라 그가 아므람에게서 아론과 모세와 그의 누이 미리암을 낳았고

26:60 아론에게서는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이 났더니

26:61 나답과 아비후는 다른 불을 여호와 앞에 드리다가 죽었더라

57 These were the Levites who were counted by their clans:

through Gershon, the Gershonite clan;

through Kohath, the Kohathite clan;

through Merari, the Merarite clan.


58 These also were Levite clans:

the Libnite clan,

the Hebronite clan,

the Mahlite clan,

the Mushite clan,

the Korahite clan.


(Kohath was the forefather of Amram; 59 the name of Amram’s wife was Jochebed, a descendant of Levi, who was born to the Levites[e] in Egypt. To Amram she bore Aaron, Moses and their sister Miriam. 60 Aaron was the father of Nadab and Abihu, Eleazar and Ithamar. 61 But Nadab and Abihu died when they made an offering before the Lord with unauthorized fire.)


26:62 일 개월 이상으로 계수된 레위인의 모든 남자는 이만 삼천 명이었더라 그들은 이스라엘 자손 중 계수에 들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그들에게 준 기업이 없음이었더라

62 All the male Levites a month old or more numbered 23,000. They were not counted along with the other Israelites because they received no inheritance among them.


26:63 이는 모세와 제사장 엘르아살이 계수한 자라 그들이 여리고 맞은편 요단 강 모압 평지에서 이스라엘 자손을 계수한 중에는

26:64 모세와 제사장 아론이 시내 광야에서 계수한 이스라엘 자손은 한 사람도 들지 못하였으니

26:65 이는 여호와께서 그들에게 대하여 말씀하시기를 그들이 반드시 광야에서 죽으리라 하셨음이라 이러므로 여분네의 아들 갈렙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 외에는 한 사람도 남지 아니하였더라

63 These are the ones counted by Moses and Eleazar the priest when they counted the Israelites on the plains of Moab by the Jordan across from Jericho. 64 Not one of them was among those counted by Moses and Aaron the priest when they counted the Israelites in the Desert of Sinai. 65 For the Lord had told those Israelites they would surely die in the wilderness, and not one of them was left except Caleb son of Jephunneh and Joshua son of Nun.




            미국에서 평등과 공정의 차이를 설명하는 그림이 한때 소셜미디어에서 유행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것은 담장 넘어 야구장을 구경하는 각각 키가 다른 사람들의 그림이었습니다. 하나는 키가 작은 사람부터 큰 사람까지 모두에게 같은 수의 상자를 주는 그림이었습니다. 그 그림에는 평등이라고 적혀 있지요. 하지만 키가 작은 사람은 상자를 딛고 서서도 아직 담장 너머의 야구장을 볼 수 없는 그림이었습니다. 다음 그림은 각 사람의 키를 고려해서 상자를 준 그림입니다. 키가 작은 사람은 상자 두개. 키가 큰 사람에게는 상자를 아예 주지 않는 그림이지요. 이 그림에는 공평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오늘 말씀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께서 인구조사를 마치고 땅 분배에 대한 기준을 설명하고 계십니다. 인구가 많은 이들에게는 많은 기업을. 또 인구가 적은 이들에게는 적은 기업을. 공평하게 나누어 주십니다. 또한 그 과정을 제비뽑게 하심으로 기업을 주시는 것은 사람의 결정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주권이심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십니다. 오늘은 약속의 성취를 통해 드러나는 하나님의 공의와 주권이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나누기 원합니다.


A while back, an image circulated on social media that perfectly illustrated the difference between equality and equity in America. It showed several people of different heights trying to watch a baseball game over a fence. In one drawing, labeled "Equality," everyone was given the exact same number of boxes to stand on. But the shortest person, even with a box, still couldn't see over the fence. The next drawing, however, labeled "Equity," showed a different approach. The shortest person was given two boxes, while the tallest person wasn't given any at all. Each person received what they needed to see the game.

Today's passage is much the same. God is laying out the criteria for land distribution after the census. Those with larger populations would receive more land, and those with smaller populations, less. This was a truly equitable and fair distribution. What's more, by commanding them to divide the land by lot, God reminds us once again that the inheritance they receive is not a result of human decision, but solely His sovereign will.

Today, I want to share a message titled, "God's Justice and Sovereignty Revealed Through the Fulfillment of His Promise."



            첫번째,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불순종까지도 포함하여 모든 것을 당신의 공의로운 주권 아래 두십니다. 어제도 말씀 드렸듯이 2차 인구조사는 이들이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것을 상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말씀에도 어김없이 이들의 실패와 불순종에 대한 언급이 나와있지요. 61절에서 “나답과 아비후는 다른 불을 여호와 앞에 드리다가 죽었더라” 라고 적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리더이며 가장 정결해야 할 제사장 가문 또한 하나님께 범죄함으로 실패하였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63절에서 65절까지는 시내 광야에서 인구조사를 받았던 첫 세대가 모두 광야에서 죽었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64절과 65절에서 “한 사람도 남지 아니하였더라” 라는 말씀을 두 번 반복함으로서 하나님께 불순종하였던 이들은 단 한 명도 남지 않았음을 강조하고 있지요. 이는 이들의 불순종에 대한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이었습니다. 오직 하나님께 순종한 갈렙과 여호수아만이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땅에 들어갈 수 있었지요. 그렇다면 이들의 불순종으로 하나님의 약속이 파기되었습니까? 그렇지 않지요.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공의로 이들의 불순종을 심판하셨지만 당신의 주권으로 모든 것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십니다. 비록 첫번째 세대가 불순종으로 광야에서 죽었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자녀들을 통하여 당신의 약속을 지키시는 것입니다. 우리는 때로 우리의 실패나 불순종으로 인하여 마음이 꺾일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의 통치하심이 내 삶 어디에 있는가 질문 할 때가 있습니다. 또 우리가 어려움을 겪을 때에, 이해되지 않는 상황 가운데에 놓일 때에 우리는 하나님은 과연 어디 계신가? 질문 할 때가 있습니다. 오늘 본문의 말씀은 우리에게 이스라엘 역사 중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에 하나를 보여줍니다. 하나님을 직접 만나고 경험한 한 세대 전체가 실패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런 그들의 불순종과 실패조차도 하나님의 주권적인 계획을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약속하셨던 대로 그들의 자녀를 통하여 당신의 언약을 이루십니다. 그들로 약속의 땅을 밟게 하십니다. 우리의 실패와 그로 인한 결과까지도 모두 하나님의 주관하심 아래에 있습니다. 우리가 그것을 인정할 때 우리는 절망 가운데서도 소망을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


God Places Everything, Including Our Disobedience, Under His Just Sovereignty

First, God places everything, including our disobedience, under His just sovereignty. As I mentioned yesterday, this second census was conducted with the understanding that the Israelites were about to enter the Promised Land of Canaan. Yet, in today's passage, we still find references to their failure and disobedience.

Verse 61 tells us, "But Nadab and Abihu died when they made an offering with unauthorized fire before the Lord." We see here that even the priestly family, who were leaders in Israel and ought to have been the most righteous, failed and sinned against God.

Verses 63 to 65 clearly state that the entire first generation, those who were counted in the census in the Desert of Sinai, all died in the wilderness. Specifically, verses 64 and 65 emphasize this point by repeating, "not one of them was left." This highlights that not a single one of those who disobeyed God remained. This was God's just judgment on their disobedience. Only Caleb and Joshua, who faithfully obeyed God, were permitted to enter the land God had promised.

So, did their disobedience nullify God's promise? Absolutely not! God, in His justice, judged their disobedience, yet in His sovereignty, He works all things together for good. Though the first generation died in the wilderness due to their disobedience, God kept His promise through their children.

Sometimes, our hearts can break because of our failures or disobedience. We might ask, "Where is God's governance in my life?" Or when we face difficulties and find ourselves in situations we don't understand, we might question, "Where is God in all of this?" Today's passage shows us one of the most tragic events in Israel's history. An entire generation, who had personally encountered and experienced God, failed. Yet, even their disobedience and failure did not fall outside of God's sovereign plan. As God had promised, He fulfilled His covenant through their children, allowing them to step into the Promised Land. Our failures and their consequences are all under God's governance. When we acknowledge that truth, we can find hope even in despair.



            두번째, 하나님의 약속은 공정함과 하나님의 주권으로 성취됩니다. 53절과 54절의 말씀은 같은 말씀을 반복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바로 인구조사에서 드러난 사람의 수대로 땅을 나누어 주어라 라는 명령이지요. 사람 수가 많으면 땅을 많이, 사람 수가 적으면 땅을 적게, 그야말로 공평하고 공정한 분배가 아닐 수 없습니다. 바로 이렇게 공평하게 땅을 분배하기 위하여 하나님께서는 2차 인구조사를 명하셨던 것이지요. 그런데 55절과 56절을 보면 이렇게 공평하게 땅 분배를 하라고 말씀하시면서 그 과정을 제비를 뽑아서 결정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왜 일까요? 바로 이들에게 주어지는 기업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각 사람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유산임을 알게 하시기 위함입니다. 이 땅은 이들이 가나안 땅을 정복해서 얻는 전리품이 아닌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그들의 조상인 아브라함 때 부터 맺으신 약속을 지키시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것은 하나님께서 이들에게 주시는 유산, 즉 기업인 것입니다. 이들이 제비를 뽑을 때 땅의 분배가 자신들의 생각과 결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기 위함인 것입니다. 57절부터 62절까지의 레위지파에 대한 간략한 설명도 그렇습니다. 레위 지파를 다른 이스라엘 백성들로부터 구분하신 것도 하나님의 주권이십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는 또한 공정함이 함께합니다. 62절 말씀에 레위인들에게는 땅을 기업으로 주시지 않았지만 그것은 이스라엘 전체의 십일조를 이들에게 기업으로 주셨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오늘 말씀에서 자세히 다룬 제사장 집안, 아론의 자손에게는 하나님께서 직접 당신이 그들의 유산이며 기업이라고까지 말씀하셨습니다. (18:20) 사람들은 우리의 인생이 마치 제비 뽑기처럼 운과 확률에 달려있다고 말합니다. 심지어 우리 믿는 사람들도 때로 하나님의 인도하심이 마치 제비 뽑기처럼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우리가 예기치 못했던 상황들, 마치 꽝을 뽑은 것 같은 일들이 일어나는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 있으며 우리의 하나님은 공정하시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God's Promise Is Fulfilled Through His Justice and Sovereignty

Second, God's promise is fulfilled through His justice and sovereignty. Verses 53 and 54 repeat the same instruction: "You are to distribute the land among them as an inheritance based on the number of names. To a larger group give a larger inheritance, and to a smaller group give a smaller one; each is to receive its inheritance1 according to the census of its names." This is nothing short of a fair and equitable distribution. It was precisely to ensure this fair distribution that God commanded the second census.

However, in verses 55 and 56, while instructing them to distribute the land equitably, God also tells them to determine the process by lot. Why? It was so that they would know that the inheritance given to them was God's inheritance, given to each individual in Israel. This land was not spoils of war that they had earned by conquering Canaan. No, God was keeping the promise He made to their ancestor Abraham. This was God's inheritance, their allotment. By casting lots, they would understan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land was not based on their own thoughts or decisions, but was solely under God's sovereignty.

The brief explanation of the Levite tribe in verses 57 to 62 also speaks to this. God's sovereignty is seen in His distinguishing the Levite tribe from the rest of the Israelites. And alongside God's sovereignty, there is also justice. Verse 62 says that while the Levites were not given an inheritance of land, it was because the tithes of all Israel were given to them as their inheritance. Even for the priestly house, the descendants of Aaron, whom we've discussed in more detail today, God Himself declared that He was their inheritance and their portion.

People often say that our lives are a matter of luck and probability, like casting lots. Even as believers, we sometimes feel as though God's guidance is like drawing lots. There are times when unexpected situations arise, like drawing a "bad" lot. But we must remember that we are under God's sovereignty, and our God is just.

Conclusion



            말씀을 맺습니다. 오늘은 약속의 성취를 통해 드러나는 하나님의 공의와 주권에 대해 말씀을 나누었습니다. 하나님께서 당신의 오랜 약속을 이루시는 방법은 공평함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은 하나님의 주권아래에 있었습니다. 우리의 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 비록 지금 우리의 삶은 광야와 같을지 모릅니다. 실패와 역경과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가득차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소망이 있는 것은 우리의 모든 것이 하나님의 주관하심 아래에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공의로운 분이십니다. 하나님의 공의와 주권아래에 약속을 이루실 것입니다.


To conclude, today we've discussed God's justice and sovereignty as revealed through the fulfillment of His promise. The way God fulfilled His ancient promise was through equity, and the entire process was under His sovereignty. Our lives are no different. Perhaps right now, our lives feel like a wilderness. They might be filled with failures, adversity, and unexpected situations. But we have hope because everything about us is under God's governance. And God is a just God. He will fulfill His promise under His justice and sovereignty.

 
 
 

Comments


한사랑 transe logo vertical white

1-253-642-7004

Contact@SeattleHansarang.com

33506 10th PL. S.

Federal Way, Washington 98003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Question/Suggestion?

Thanks for submitting!

©2020 by Seattle Hansarang Church Media Tea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