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새벽묵상] 때로는 돌아서 가는 것이 인생입니다 | Sometimes, Taking a Detour is Part of Life (민/Num 20:14~21)
- 1일 전
- 9분 분량

20:14 모세가 가데스에서 에돔 왕에게 사신을 보내며 이르되 당신의 형제 이스라엘의 말에 우리가 당한 모든 고난을 당신도 아시거니와
20:15 우리 조상들이 애굽으로 내려갔으므로 우리가 애굽에 오래 거주하였더니 애굽인이 우리 조상들과 우리를 학대하였으므로
20:16 우리가 여호와께 부르짖었더니 우리 소리를 들으시고 천사를 보내사 우리를 애굽에서 인하여 내셨나이다 이제 우리가 당신의 변방 모퉁이 한 성읍 가데스에 있사오니
20:17 청하건대 우리에게 당신의 땅을 지나가게 하소서 우리가 밭으로나 포도원으로 지나가지 아니하고 우물물도 마시지 아니하고 왕의 큰길로만 지나가고 당신의 지경에서 나가기까지 왼쪽으로나 오른쪽으로나 치우치지 아니하리이다 한다고 하라 하였더니
14 Moses sent messengers from Kadesh to the king of Edom, saying:
“This is what your brother Israel says: You know about all the hardships that have come on us. 15 Our ancestors went down into Egypt, and we lived there many years. The Egyptians mistreated us and our ancestors, 16 but when we cried out to the Lord, he heard our cry and sent an angel and brought us out of Egypt.
“Now we are here at Kadesh, a town on the edge of your territory. 17 Please let us pass through your country. We will not go through any field or vineyard, or drink water from any well. We will travel along the King’s Highway and not turn to the right or to the left until we have passed through your territory.”
20:18 에돔 왕이 대답하되 너는 우리 가운데로 지나가지 못하리라 내가 칼을 들고 나아가 너를 대적할까 하노라
18 But Edom answered:
“You may not pass through here; if you try, we will march out and attack you with the sword.”
20:19 이스라엘 자손이 이르되 우리가 큰길로만 지나가겠고 우리나 우리 짐승이 당신의 물을 마시면 그 값을 낼 것이라 우리가 도보로 지나갈 뿐인즉 아무 일도 없으리이다 하나
19 The Israelites replied:
“We will go along the main road, and if we or our livestock drink any of your water, we will pay for it. We only want to pass through on foot—nothing else.”
20:20 그는 이르되 너는 지나가지 못하리라 하고 에돔 왕이 많은 백성을 거느리고 나와서 강한 손으로 막으니
20:21 에돔 왕이 이같이 이스라엘이 그의 영토로 지나감을 용납하지 아니하므로 이스라엘이 그들에게서 돌이키니라
20 Again they answered:
“You may not pass through.”
Then Edom came out against them with a large and powerful army. 21 Since Edom refused to let them go through their territory, Israel turned away from them.

미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에 속하며 모든 면에서 전세계를 이끌어 가는 나라이며, 국방력은 전세계 국가와 동시에 전쟁을 할 수 있을 정도라고 말합니다. 학자들은 미국이 이렇게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를 지정학적인 이유와 더불어 촘촘한 고속도로망과 그것을 통한 물류의 이동이라고 말합니다.
대한민국도 마찬가지입니다. 박정희 대통령이 정주영 회장을 불러 경부고속도로를 지으라고 부탁한 것이 오늘날 세계 10대 강국이 된 대한민국의 시작이었습니다.
The United Stat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prosperous countries in the world and leads the globe in many aspects. It is said that its military power is strong enough to wage war against multiple countries simultaneously. Scholars say that one of the key reasons the U.S. was able to develop this much—besides its geopolitical advantages—is its dense highway network, which enabled efficient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The same goes for South Korea. It all began when President Park Chung-hee asked Chairman Chung Ju-yung to build the Gyeongbu Expressway, which marked the starting point of South Korea’s rise to become one of the world's top ten powers today.

고대 시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무역을 하든 전쟁을 하든 길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스라엘은 우리 시애틀 지역처럼 남북으로 긴 형태입니다. 그래서 남북으로 연결되는 도로가 매우 중요합니다. 대표적으로 4개의 큰 길이 있는데, 가장 해안 쪽에 위치하여 가자지구를 지나가는 도로를 해안도로라고 합니다. 그 다음은 산맥 정상 도로로 구약의 족장들이 이동한 제일 유명한 지명(브엘세바, 헤브론, 예루살렘, 벧엘, 실로, 셈겜)들이 연결되는 족장의 길입니다. 그 다음은 족장의 길에서 요단 강이 있는 동쪽 낮은 지형의 계곡 길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요단강 건너편, 곧 트랜스 요르단에 위치한 왕의 대로 King’s Highway입니다. 이 길은 북쪽으로는 다메섹에서부터 남쪽으로는 홍해의 맨 윗부분인 아카바 만까지 연결되는 도로입니다. 이 도로는 지금도 사용되는 도로로, 과거 많은 무역과 전쟁에 사용되었고, 그 유명한 신밧드의 모험의 배경이기도 합니다. 한국교육방송EBS에서 “세계테마기행 전설의 왕의 대로, 요르단”을 다큐멘터리로 제작한 것이 있습니다. 그 길을 따라가면 유명한 전설의 도시 페트라와 사해 바다 등을 관광할 수 있습니다. 한번 시청하는 것도 유익하겠습니다.
It was the same in ancient times. Whether it was for trade or war, roads were extremely important. Israel, like our Seattle area, is shaped in a long north-south form. Therefore, roads that run from north to south are very significant. There are four major roads, the most well-known of which is the Coastal Highway, located along the coast and passing through the Gaza Strip.
Next is the Ridge Route, which runs along the mountain ridges and connects the most famous locations mentioned in the Old Testament that the patriarchs traveled through—Beersheba, Hebron, Jerusalem, Bethel, Shiloh, and Shechem—often referred to as the Patriarchs’ Route.
Following that is the Valley Route, which lies east of the Patriarchs’ Route in the lower terrain near the Jordan River.
And finally, there is the King’s Highway, located across the Jordan River in what’s known as Transjordan. This road runs from Damascus in the north all the way to the Gulf of Aqaba at the northern tip of the Red Sea. It is still in use today and was heavily used in the past for trade and warfare. It also served as the backdrop for the famous tale The Adventures of Sinbad.
The Korean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EBS) produced a documentary titled “World Theme Travel: The Legendary King’s Highway, Jordan.” Following this route allows you to visit famous legendary sites such as the city of Petra and the Dead Sea. Watching it would be worthwhile and enriching.

모든 사람과 화평을 이루라 (14~17절)
모세는 가나안(지금의 이스라엘 지역)을 점령하기 위해 많은 백성과 군사가 이동하기 편한 왕의 대로를 이용하려 합니다. 그래서 아주 정중하게 에돔 왕에게 사신을 보내어 왕의 대로를 지나갈 수 있도록 허락해주기를 요청합니다. 만일 그것이 안되면 험한 산길인 족장의 길을 이용하거나, 아니면 아예 요르단 중심을 거치는 사막길로 돌아가야 합니다. 결국 에돔 왕의 거절로 이스라엘은 사막길로 돌아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불평하다가 불뱀 사건이 벌어집니다(21장).
모세가 에돔 왕에게 전한 서신을 통해서 우리는 그의 지혜로운 처세술을 배울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관계에서 가장 좋은 처세술은 겸손입니다.
에돔은 아는 바와 같이 야곱의 쌍둥이 형 에서의 후손들입니다. 그러니까 야곱의 12지파와는 가장 가까운 사촌입니다. 그래서 모세는 당신의 형제 이스라엘(14b)이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공동번역은 당신의 아우 이스라엘이라고 번역합니다. 모세는 스스로를 낮추며 상대방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거래하고자 하는 대상과 관계를 형성하는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Live at Peace with Everyone (Verses 14–17)
Moses sought to use the King’s Highway, a major route that allowed easy travel for large groups of people and armies, in order to enter Canaan (the region now known as Israel). To do so, he respectfully sent messengers to the king of Edom, requesting permission to pass through his land via the King’s Highway. If permission was denied, the Israelites would have to take the more difficult Ridge Route, also known as the Patriarchs’ Route, which passed through the mountains—or even detour through the harsh desert route that goes through the center of Jordan.
Ultimately, because the king of Edom refused the request, Israel had to take the desert path. This led to widespread complaints among the people, which in turn resulted in the incident of the fiery serpents (Numbers 21).
Through the letter Moses sent to the king of Edom, we can learn about his wise and diplomatic approach to leadership.
First, the best approach in any relationship is humility.
As we know, Edom is descended from Esau, the twin brother of Jacob. That means the descendants of Jacob—the twelve tribes of Israel—are essentially close cousins to the Edomites. That is why Moses refers to Israel as “your brother Israel” (verse 14b). The Korean Common Translation even renders it as “your younger brother Israel.”
Moses shows humility and respect toward the other party. This is a very effective way to build relationships, especially when seeking cooperation or negotiation.

두번째로 이스라엘의 형편을 있는 그대로 알립니다.
무엇이든 진실하게 소통할 때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자신들이 애굽에서 노예였던 사실을 가감 없이 말합니다. 또한 자신들이 애굽에서 학대 받았던 과거도 그대로 말합니다.
세번째는 하나님의 구원을 말합니다.
이 모든 것이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말함으로써, 먼저는 하나님을 높이고, 다음은 하나님의 역사하심에 동참할 것을 압박하는 것입니다. 여호와께서 천사를 보냈다고 말하는데, 이 천사는 다름 아닌 하나님 자신인 곧 제2위이신 성자 예수님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것은 에돔 땅을 가로질러 왕의 대로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모세는 예상되는 문제들에 대한 대책도 제시합니다. 물을 마실 경우 그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치른다는 현실적인 약속입니다.
모세의 평화를 이루는 외교술, 처세술은 완벽에 가깝습니다. 그렇다면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Second, Moses honestly shares the situation of Israel.
When we communicate truthfully, there’s a much greater chance of receiving what we ask for. Moses openly states that the Israelites were once slaves in Egypt. He does not hide or embellish their past, including the fact that they were oppressed and mistreated while in Egypt.
Third, he speaks of God’s deliverance.
By sharing that everything they have experienced is part of God’s work, Moses first glorifies God and then subtly places pressure on the other party to recognize and possibly align with God's will. He mentions that the Lord sent an angel ahead of them—this angel, in fact, refers to none other than God Himself, specifically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Jesus Christ.
Lastly, Moses clearly states what he is asking for.
He requests permission to pass through Edomite territory using the King’s Highway. Anticipating possible objections, Moses proposes a practical solution—he promises that if they drink any water along the way, they will pay for it. This is a realistic and fair offer.
Moses’s diplomacy and peacemaking skills are nearly flawless. So then, what was the outcome?

때로는 돌아서 가야 합니다 (18~21절)
모세의 최대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돔 왕은 거절하고, 심지어 무력 시위까지 하여 이스라엘은 결국 광야 길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로 인하여 불평하다가 불뱀 사건이 벌어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스라엘은 왜 충분히 이길 수 있는 에돔을 공격하지 않고 돌아가는 길을 택했을까요?
그것은 이미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것이 있기 때문입니다.
너는 또 백성에게 명령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세일에 거주하는 너희 동족 에서의 자손이 사는 지역으로 지날진대 그들이 너희를 두려워하리니 너희는 스스로 깊이 삼가고 그들과 다투지 말라
그들의 땅은 한 발자국도 너희에게 주지 아니하리니 이는 내가 세일 산을 에서에게 기업으로 주었음이라
너희는 돈으로 그들에게서 양식을 사서 먹고 돈으로 그들에게서 물을 사서 마시라 (신 2:4~6)
그렇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할 수만 있으면 모든 사람과 화평을 이루어야 합니다(롬 12:18). 하지만 다 그렇게 되지는 않습니다. 에돔과 같은 사람이 있습니다. 그는 하나님이 직접 심판하십니다(오바댜 1장).
Sometimes, You Have to Take the Long Way Around (Verses 18–21)
Despite Moses’ best efforts, the king of Edom refused the request—and even showed military force—so the Israelites had no choice but to turn back and take the wilderness route. As a result, the people complained, which led to the incident with the fiery serpents.
So then, why didn’t Israel attack Edom, even though they likely could have won?
It’s because God had already given them a command:
“Give the people these orders: ‘You are about to pass through the territory of your relatives, the descendants of Esau, who live in Seir. They will be afraid of you, but be very careful. Do not provoke them to war, for I will not give you any of their land, not even enough to put your foot on. I have given the hill country of Seir to Esau as his own. You are to pay them in silver for the food you eat and the water you drink.’”(Deuteronomy 2:4–6)
That’s right. Christians, as much as it depends on them, must seek to live at peace with everyone (Romans 12:18). But that doesn’t mean it will always be possible. There are people like Edom. And for them, God Himself will bring judgment (Obadiah 1).

우리는 본문에서 하나님이 깨닫기를 원하는 진리를 배우기만 하면 됩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해도 길이 막힐 때가 있다는 사실입니다.
예수님의 명령에 순종하여 갈릴리 호수를 건너던 제자들이 풍랑을 만났습니다.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한 모세와 이스라엘도 길이 막혔습니다. 이것이 우리 인생입니다. 우리는 선을 행하지만, 사탄은 우리의 길을 막으려 합니다. 하지만 악에게 져서는 안 됩니다. 그러면 길이 막힐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길이 막힐 때는 때론 돌아서 가야 하는 것이 우리 인생입니다.
형제가 길을 막는다고 그와 다퉈서는 안 됩니다. 차라리 조금 더 고생하고, 시간이 걸려도 돌아가는 것이 그리스도인의 자세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평화를 이루는 자들과 하나님이 함께 하십니다. 이스라엘은 결국 가나안을 정복했고, 에돔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습니다.
사람이 마음으로 자기 길을 계획해도 그 걸음을 인도하시는 것은 우리 하나님이십니다(잠 16:9).
때론 돌아가더라도 왕이신 하나님만 함께 하신다면, 그 길이 왕의 대로인 것입니다.
From this passage, we simply need to learn the truth that God wants us to realize:
Sometimes, even when we obey God’s command, the way can still be blocked.
The disciples obeyed Jesus’ command to cross the Sea of Galilee, yet they encountered a storm. Moses and the Israelites also obeyed God’s command, yet their path was blocked. This is the reality of our lives. We strive to do what is good, but Satan tries to hinder our way. However, we must not be overcome by evil. So, what should we do when the path is blocked?
When the road is blocked, sometimes we have to take the long way around—that is life.
When a brother blocks the way, we should not fight him. It is better to endure a little more hardship, to take more time if needed, and go the longer way—that is the attitude of a Christian. And God is with those who pursue peace.
In the end, Israel did conquer Canaan, and Edom received God’s judgment.
“In their hearts humans plan their course, but the Lord establishes their steps.”(Proverbs 16:9)
Even if we take a detour, if the King—our God—is with us, that road is still the King's Highway.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