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41213 [새벽묵상] 진노의 포도주 틀을 밟으시는 하나님 | God Who Treads the Winepress of Wrath (계/Rev 14:14~20)



14:14 또 내가 보니 흰 구름이 있고 구름 위에 인자와 같은 이가 앉으셨는데 그 머리에는 금 면류관이 있고 그 손에는 예리한 낫을 가졌더라

14:15 또 다른 천사가 성전으로부터 나와 구름 위에 앉은 이를 향하여 큰 음성으로 외쳐 이르되 당신의 낫을 휘둘러 거두소서 땅의 곡식이 다 익어 거둘 대가 이르렀음이니이다 하니

14:16 구름 위에 앉으신 이가 낫을 땅에 휘두르매 땅의 곡식이 거두어지니라

[Harvesting the Earth and Trampling the Winepress]

14 I looked, and there before me was a white cloud, and seated on the cloud was one like a son of man with a crown of gold on his head and a sharp sickle in his hand. 15 Then another angel came out of the temple and called in a loud voice to him who was sitting on the cloud, “Take your sickle and reap, because the time to reap has come, for the harvest of the earth is ripe.” 16 So he who was seated on the cloud swung his sickle over the earth, and the earth was harvested.


14:17 또 다른 천사가 하늘에 있는 성전에서 나오는데 역시 예리한 낫을 가졌더라

14:18 또 불을 다스리는 다른 천사가 제단으로부터 나와 예리한 낫 가진 자를 향하여 큰 음성으로 불러 이르되 네 예리한 낫을 휘둘러 땅의 포도송이를 거두라 그 포도가 익었느니라 하더라

14:19 천사가 낫을 땅에 휘둘러 땅의 포도를 거두어 하나님의 진노의 큰 포도주 틀에 던지매

14:20 성 밖에서 그 틀이 밟히니 틀에서 피가 나서 말 굴레에까지 닿았고 천육백 스다디온에 퍼졌더라

17 Another angel came out of the temple in heaven, and he too had a sharp sickle. 18 Still another angel, who had charge of the fire, came from the altar and called in a loud voice to him who had the sharp sickle, “Take your sharp sickle and gather the clusters of grapes from the earth’s vine, because its grapes are ripe.” 19 The angel swung his sickle on the earth, gathered its grapes and threw them into the great winepress of God’s wrath. 20 They were trampled in the winepress outside the city, and blood flowed out of the press, rising as high as the horses’ bridles for a distance of 1,600 stadia.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포장되어 있다.

 

18세기 영국의 시인이자 최초로 근대적인 영어사전을 만들어 영문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사무엘 존슨 Samuel Johnson 이 말한 격언입니다. 이 격언이 사람들에게 더 많이 알려지게 것은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1975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Friedrich Hayek 가 자신의 책 노예의 길 The road to serfdom에 인용하면서 입니다.

위의 격언은 대중의 인기의 영합한 무분별한 포퓰리즘식 나눠 주기가 나라의 경제를 거덜내는 것을 잘 표현한다고 사람들은 말합니다. 하지만 제가 보기에는 사무엘의 저 표현은 정확히 영적입니다.

지옥으로 가는 길은 사람들이 하나님보다 더 선한 척하는 것으로 포장되어 있습니다. 이것도 괜찮고, 저것도 괜찮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니까 모든 것을 용납할 것이라고 착각합니다. 아니 그래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하나님에 대한 오해이고, 분명히 잘못된 생각입니다.

하나님은 사랑하시기 때문에 책망하시는 분입니다. 하나님은 진짜 우리의 아버지이십니다.

존 스토트구원의 복된 소식은 신적 심판이라는 어둠을 배경으로 할 때 밝게 비친다 말했습니다. 구원과 심판은 하나의 동전으로 양면성을 갖습니다. 구원은 심판이고, 주님은 심판 중에 구원하십니다.


"The road to hell is paved with good intentions."


This well-known proverb was first introduced by Samuel Johnson, an 18th-century British poet and the creator of the first modern English dictionary, which had a profound impact on English literature. The phrase gained even more popularity when it was quoted by Friedrich Hayek, an Austrian economist who won the Nobel Prize in Economics in 1975, in his book The Road to Serfdom.

Many interpret this proverb as a critique of reckless populism, where indiscriminate handouts to win public favor can bankrupt a nation's economy. However, I believe the phrase is more spiritual in nature.

The road to hell is paved with people pretending to be "better" or "more good" than God. People claim, "This is fine," or "That is fine too," under the mistaken belief that since God is love, He will tolerate everything. Some even argue that God must be this way. But this is a grave misunderstanding of God. In reality, because God is love, He also rebukes us. He is a true Father to us.

John Stott once said, "The good news of salvation shines brightest against the dark backdrop of divine judgment." Salvation and judgment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Salvation is judgment, and through judgment, the Lord saves.


 

곡식 추수 환상 (14~16절)

13장에는 적그리스도와 짐승 정부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합니다. 흉내내기 대가인 사탄은 삼위일체를 패러디합니다. 용은 마부(魔父)이고, 바다에서 올라온 짐승은 적그리스도로 마자(魔子)입니다. 그리고 땅에서 올라온 짐승은 거짓 선지자로 마(魔)에 해당합니다.[1]  

마지막 때에 성도들은 마의 삼위일체에 의하여 극심한 핍박을 받지만, 결국에는 승리합니다.

14장 초반부는 승리한 성도 144,000명이 천국에서 하나님과 어린양을 새노래로 경배하는 장면입니다. 

이어서 짐승과 그들의 표를 받고 믿음을 지키지 않은 자들에 대한 심판이 세 천사에 의해 예언됩니다.

오늘 본문은 이어서 등장하는 곡식 추수 환상(14~16)과 포도 수확 환상(17~20)에 관한 말씀입니다. 

구름 위에 앉아 있는 인자와 같은 이(14a)는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합니다. 전형적인 그리스도 자신의 표현입니다. 금 면류관은 성육신과 부활을 통한 사탄의 권세를 이기신 승리와 영원한 통치를 상징합니다.

예리한 낫은 요엘 선지자의 예언을 반영하는 것으로, 마지막 종말론적인 심판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너희는 낫을 쓰라 곡식이 익었도다 와서 밟을지어다

포도주 틀이 가득히 차고 포도주 독이 넘치니 그들의 악이 큼이로다 (욜 3:13)

 

한 천사가 나타나 예수 그리스도께 추수를 간구합니다. 잘 익은 곡식은 믿음의 사람으로 144,000명의 인침을 받은 자를 상징하는 동일한 의미의 표현입니다. 예수께서 직접 당신의 백성을 추수하실 것입니다.

보통 추수비유는 심판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알곡들의 구원을 상징합니다.

 

The Vision of the Grain Harvest (Revelation 14:14-16)

Revelation 13 introduces the story of the Antichrist and the beastly government. Satan, the master of imitation, parodies the Trinity. The dragon represents the "Devil Father" (魔父), the beast from the sea symbolizes the "Devil Son" (魔子) or Antichrist, and the beast from the earth represents the "Devil Prophet" (魔, or false prophet).

In the last days, the saints will face severe persecution from this unholy trinity. However, in the end, the saints will be victorious.

The beginning of chapter 14 depicts 144,000 victorious saints worshiping God and the Lamb in heaven with a new song. Following this, three angels proclaim judgment on those who received the mark of the beast and did not keep their faith.

Today's passage introduces the vision of the grain harvest (vv. 14-16) and the vision of the grape harvest (vv. 17-20).

The "one like a son of man" sitting on a cloud (v. 14) is a clear reference to Jesus Christ. This is a typical self-identification of Christ. The golden crown symbolizes His victory over Satan's power through His incarnation and resurrection, as well as His eternal reign.

The sharp sickle reflects the prophecy of the prophet Joel and signifies the final eschatological judgment.

"Swing the sickle, for the harvest is ripe. Come, trample the grapes, for the winepress is full and the vats overflow—so great is their wickedness!"(Joel 3:13)

An angel appears and asks Jesus to reap the harvest. The well-ripened grain symbolizes people of faith, represented by the 144,000 sealed saints. Jesus Himself will harvest His people.

The metaphor of harvest often signifies judgment, but in this case, it represents the salvation of the wheat—the people of God.



포도 수확 환상 (17~20절)

또 다른 천사가 하늘 성전에서 나오는데 역시 예리한 낫(드레파논)을 가졌습니다(17). 그 때 불을 다스리는 천사 제단으로부터 나와 예리한 낫을 휘둘러 땅의 포도송이를 거두라고 말합니다(18).

낫을 가진 천사를 낫을 휘둘러 땅의 포도를 거둔 후 하나님의 진노의 큰 포도주 틀에 던지고, 성 밖에서 포도주 틀을 밟자 틀에서 피가 나서 말굴레에까지 닿을 정도 흐릅니다. 그리고 그 피가 흐른 거리는 1,600 스다디온입니다.

불을 다스리는 천사는 하나님의 노여움과 그의 진노의 심판을 상징하고 있으므로8장 5절에 등장하는 향로의 천사로 보여집니다. 불의 천사가 낫을 든 천사에게 명령하자, 낫을 든 천사는 낫을 휘둘러 땅의 포도를 수확했다고 기록합니다(19)

여기에 기록된 땅의 포도는 하나님을 대적하여 짐승의 표를 받고 짐승의 제국을 따른 불신자들과 사탄의 추종자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들을 진노의 포도주 들에 넣고 포도즙을 짜듯 밟으십니다(20).

이것은 무서운 하나님의 철저한 심판에 대한 상징적인 묘사입니다.

그런데 그 심판의 장소가 성 밖이라고 합니다. 이 성은 사탄과 그 하수인들이 하나님의 아들을 짓밟았던 예루살렘 성 밖을 의미합니다. 그들이 범죄한 그곳에서 그들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문자적인 예루살렘 성이라기 보다는 예수님을 믿지 않는 자들에 대한 비유적인 표현으로 보는 것이 옳습니다. 예수를 믿지 않는 자들은 거룩한 성 밖에 있는 자들로 심판을 면할 수 없습니다.

하나님의 심판이 얼마나 크고 두려운지 진노의 심판의 틀에서 흘러나온 피가 말의 굴레에까지 닿을 정도입니다. 이것 역시 비유적이고 상징적입니다. 그만큼 크고 두려운 하나님의 심판이 임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The Vision of the Grape Harvest (Revelation 14:17-20)

Another angel comes out of the heavenly temple, also holding a sharp sickle (v. 17). Then, an angel who has authority over fire emerges from the altar and commands the angel with the sickle to swing it and gather the clusters of grapes from the earth, for they are ripe (v. 18).

The angel swings the sickle and harvests the grapes from the earth. These grapes are thrown into the great winepress of God's wrath. Outside the city, the winepress is trampled, and blood flows out of the press, rising as high as the horses’ bridles for a distance of 1,600 stadia (about 320 km or 200 miles).

The "angel in charge of fire" symbolizes God's wrath and judgment. This angel appears earlier in Revelation 8:5, carrying the censer filled with fire from the altar. When the fire-wielding angel gives the command, the angel with the sickle swings it and harvests the grapes (v. 19).

The "grapes of the earth" refer to the unbelievers who received the mark of the beast and followed the empire of the beast. They are the adversaries of God. God throws them into the winepress of His wrath and tramples them as one would press grapes to extract juice (v. 20).

This is a terrifying image of God's thorough and complete judgment. The fact that this judgment occurs "outside the city" holds symbolic meaning. "The city" represents the holy place of God, while "outside the city" signifies the realm where Jesus was crucified and dishonored by Satan and his agents. Judgment will be meted out on the same "ground" where they trampled on the Son of God.

This "city" is not a literal reference to Jerusalem but a figurative description of those who reject Jesus. Those outside the "holy city" will not escape judgment.

The scope of God’s judgment is further emphasized by the image of blood rising as high as the horse’s bridle (v. 20). This is a symbolic description of how great and terrifying the judgment of God will be.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진노의 포도주 틀에서 흘러나온 피가 1,600 스다디온(320km/200mile)까지 흘러갑니다. 어마어마한 거리입니다. 이것 역시 하나님의 심판이 얼마나 두려운지에 대한 묘사입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다음과 같이 예언했습니다.

 

만민 가운데 나와 함께 한 자가 없이 내가 홀로 포도즙틀을 밟았는데 내가 노함으로 말미암아 무리를 밟았고 분함으로 말미암아 짓밟았으므로 그들의 선혈이 내 옷에 튀어 내 의복을 다 더럽혔음이니

(사 63:3)

    

분노와 함께 안타까운 하나님의 마음이 느껴집니다. 하지만 인간의 죄악이 하나님의 심판을 부릅니다.

하나님은 진노의 포도주 틀을 밟으실 것입니다. 그래서 의인은 현재의 고난을 이길 수 있습니다.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사랑과 그리고 공의의 하나님이심을 기억해야 합니다.


Finally, the distance that the blood flows—1,600 stadia (about 320 km or 200 miles)—emphasizes the vast scale of God's judgment. It is a symbolic depiction of how complete and awe-inspiring God's wrath will be.

The prophet Isaiah prophesied this as well:

"I have trodden the winepress alone; from the nations no one was with me. I trampled them in my anger and trod them down in my wrath; their blood spattered my garments, and I stained all my clothing."(Isaiah 63:3)

This verse reveals not only God's righteous wrath but also His sorrowful heart. Although God is grieved, human sin calls for divine judgment.

God will tread the winepress of His wrath. Knowing this, the righteous can endure their present suffering. We must remember that the God we believe in is both a God of love and a God of justice.


[1] 이우제, 그말씀(2008.1월), 24page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