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51027 [새벽묵상] 롱기누스의 창 | the Spear of Longinus (슥/Zec 12:1~14)


ree

12:1 이스라엘에 관한 여호와의 경고의 말씀이라 여호와 곧 하늘을 펴시며 땅의 터를 세우시며 사람 안에 심령을 지으신 이가 이르시되

12:2 보라 내가 예루살렘으로 그 사면 모든 민족에게 취하게 하는 잔이 되게 할 것이라 예루살렘이 에워싸일 때에 유다에까지 이르리라

12:3 그 날에는 내가 예루살렘에게 모든 민족에게 무거운 돌이 되게 하리니 그것을 드는 모든 자는 크게 상할 것이라 천하 만국이 그것을 치려고 모이리라

12:4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 날에 내가 모든 말을 쳐서 놀라게 하며 그 탄 자를 쳐서 미치게 하되 유다 족속은 내가 돌보고 모든 민족의 말을 쳐서 눈이 멀게 하리니

12:5 유다의 우두머리들이 마음속에 이르기를 예루살렘 주민이 그들의 하나님 만군의 여호와로 말미암아 힘을 얻었다 할지라

1 A prophecy: The word of the Lord concerning Israel.


The Lord, who stretches out the heavens, who lays the foundation of the earth, and who forms the human spirit within a person, declares: 2 “I am going to make Jerusalem a cup that sends all the surrounding peoples reeling. Judah will be besieged as well as Jerusalem. 3 On that day, when all the nations of the earth are gathered against her, I will make Jerusalem an immovable rock for all the nations. All who try to move it will injure themselves. 4 On that day I will strike every horse with panic and its rider with madness,” declares the Lord. “I will keep a watchful eye over Judah, but I will blind all the horses of the nations. 5 Then the clans of Judah will say in their hearts, ‘The people of Jerusalem are strong, because the Lord Almighty is their God.’


12:6 그 날에 내가 유다 지도자들을 나무 가운데에 화로 같게 하며 곡식단 사이에 횃불 같게 하리니 그들이 그 좌우에 에워싼 모든 민족들을 불사를 것이요 예루살렘 사람들은 다시 그 본 곳 예루살렘에 살게 되리라

6 “On that day I will make the clans of Judah like a firepot in a woodpile, like a flaming torch among sheaves. They will consume all the surrounding peoples right and left, but Jerusalem will remain intact in her place.


12:7 여호와가 먼저 유다 장막을 구원하리니 이는 다윗의 집의 영광과 예루살렘 주민의 영광이 유다보다 더하지 못하게 하려 함이니라

12:8 그 날에 여호와가 예루살렘 주민을 보호하리니 그 중에 약한 자가 그 날에는 다윗 같겠고 다윗의 족속은 하나님 같고 무리 앞에 있는 여호와의 사자 같을 것이라

12:9 예루살렘을 치러 오는 이방 나라들을 그 날에 내가 멸하기를 힘쓰리라

7 “The Lord will save the dwellings of Judah first, so that the honor of the house of David and of Jerusalem’s inhabitants may not be greater than that of Judah. 8 On that day the Lord will shield those who live in Jerusalem, so that the feeblest among them will be like David, and the house of David will be like God, like the angel of the Lord going before them. 9 On that day I will set out to destroy all the nations that attack Jerusalem.


12:10 내가 다윗의 집과 예루살렘 주민에게 은총과 간구하는 심령을 부어 주리니 그들이 그 찌른 바 그를 바라보고 그를 위하여 애통하기를 독자를 위하여 애통하듯 하며 그를 위하여 통곡하기를 장자를 위하여 통곡하듯 하리로다

12:11 그 날에 예루살렘에 큰 애통이 있으리니 므깃도 골짜기 하다드림몬에 있던 애통과 같을 것이라

12:12 온 땅 각 족속이 따로 애통하되 다윗의 족속이 따로 하고 그들의 아내들이 따로 하며 나단의 족속이 따로 하고 그들의 아내들이 따로 하며

12:13 레위의 족속이 따로 하고 그들의 아내들이 따로 하며 시므이의 족속이 따로 하고 그들의 아내들이 따로 하며

12:14 모든 남은 족속도 각기 따로 하고 그들의 아내들이 따로 하리라

Mourning for the One They Pierced

10 “And I will pour out on the house of David and the inhabitants of Jerusalem a spirit of grace and supplication. They will look on me, the one they have pierced, and they will mourn for him as one mourns for an only child, and grieve bitterly for him as one grieves for a firstborn son. 11 On that day the weeping in Jerusalem will be as great as the weeping of Hadad Rimmon in the plain of Megiddo. 12 The land will mourn, each clan by itself, with their wives by themselves: the clan of the house of David and their wives, the clan of the house of Nathan and their wives, 13 the clan of the house of Levi and their wives, the clan of Shimei and their wives, 14 and all the rest of the clans and their wives.



요한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죽으시던 날에 복음서 저자들이 기록하지 않은 자세한 것들을 기록합니다. 유대인들은 안식일에 십자가에 시체가 달려 있는 것을 원하지 않아 속히 시체를 치워달라고 요청합니다. 그러자 사형 집행인인 로마 병사는 두 강도의 다리 뼈를 부러뜨립니다. 다리를 부러뜨리면 다리로 버틸 수가 없어서 모든 체중이 못 박힌 두 손에 실리게 되고, 그렇게되면 십자가 위 죄수는 두 팔이 벌려진채로 호흡을 하지 못하여 금방 사망하게 됩니다. 

그런데 로마 병사가 예수님 앞에 와보니 예수님이 이미 사망 했습니다. 그래서 다리를 부러뜨릴 필요가 없었습니다. 이것은 그의 모든 뼈를 보호하심이여 그 중에서 하나도 꺾이지 아니하도다(시 34:20)는 말씀이 성취된 것입니다. 하지만 로마 병사는 예수님의 사망을 확인해야 하기에 옆구리를 찔렀고, 물과 피가 쏟아지는 것으로 예수님의 사망을 확실하게 확인했습니다.

요한은 이 장면을 떠 올리며, 또 다른 성경에 그들이 그 찌른 자를 보리라 하였느니라(요 19:37) 라고 기록했는데, 그가 말한 “다른 성경”이 오늘 본문 스가랴 12:10절, 그들이 그 찌른 바 그를 바라보고…입니다.


그렇다면 예수님의 옆구리를 찌른 병사는 누구일까요? 우리 기독교 정경에는 그의 이름이 등장하지 않습니다. 다만 카톨릭 외경 니고데모 복음서(빌라도 행전)에서 그 병사의 이름이 롱기누스Longinus라고 밝힙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예수님의 옆구리를 찌른 창을 롱기누스의 창the Spear of Longinus, 또는 거룩한 창The Holy Lance, 운명의 창the Spear of Destiny이라고 부릅니다.

롱기누스와 관련되어 미신처럼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예수님의 옆구리를 찌른 롱기누스는 그 즉시 눈이 멀게 됩니다. 하지만 창에 묻은 예수의 피로 눈을 닦자 바로 볼 수있게 되었고 그는 그 뒤로 예수를 따르는 제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한편 후대 사람들은 이 창을 소유하는 자가 전세계를 지배한다고 믿었고, 1000년 동안 45명의 왕이 롱기누스의 창을 소유했습니다. 나폴레옹 역시 이 창을 가지고 싶어 했지만 갖지 못했습니다. 히틀러는 1938년 비엔나에 보관되어 있던 롱기누스의 창을 가진 후에 나치의 맹위를 떨쳤지만, 패전한 후 창은 반납되어 현재 오스트리아 호프브르크 박물관에 실물이 전시돼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창이 진짜 롱기누스의 창일까요? 진짜 그런 효력이 나타날까요? 그럴리가 있겠습니까?

 

John records details about the day Jesus died on the cross that other Gospel writers do not mention. The Jews did not want the bodies left hanging on the crosses during the Sabbath, so they asked that the bodies be taken down quickly. The Roman executioners then broke the legs of the two criminals. Once the legs were broken, they could no longer push themselves up to breathe, and their full weight hung from their nailed hands—causing them to suffocate quickly.

But when the soldier came to Jesus, he saw that He was already dead, so there was no need to break His legs. This fulfilled the Scripture: “He protects all his bones; not one of them will be broken” (Psalm 34:20). Yet, to confirm that Jesus was truly dead, the Roman soldier pierced His side with a spear, and blood and water flowed out. This confirmed beyond doubt that Jesus had died.

Reflecting on this, John wrote, “They will look on the one they have pierced” (John 19:37), referring to another Scripture—today’s passage, Zechariah 12:10: “They will look on me, the one they have pierced.”


Who, then, was the soldier who pierced Jesus’ side? The canonical Scriptures do not give his name. However, in the Apocryphal Gospel of Nicodemus (Acts of Pilate), the soldier is named Longinus. Therefore, the spear that pierced Jesus’ side has come to be known as the Spear of Longinus, the Holy Lance, or the Spear of Destiny.

Stories and legends about Longinus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ages. It is said that Longinus was struck blind the moment he pierced Jesus, but when he touched his eyes with the blood from the spear, his sight was restored, and he became a follower of Christ.

Later generations believed that whoever possessed this spear would rule the world. Over a thousand years, forty-five kings were said to have owned it. Napoleon sought to obtain it but failed. Hitler, however, acquired the spear from Vienna in 1938 and soon after rose to power with the Nazis. After Germany’s defeat, the spear was returned and is now displayed in the Hofburg Museum in Austria. But is that truly the Spear of Longinus? Could it really possess such power? Of course not.


ree

구원을 약속하시는 하나님 (1~9절)

하나님은 스가랴 선지자를 통해서 다시 한 번 경고의 메시지를 주십니다. 말씀 하시는 하나님은 하늘을 펴시고, 땅의 터를 세우시고, 사람 안에 심령을 지으신 분입니다(1). 다시말하면 창조주라는 말입니다. 하나님은 언젠가 예루살렘에서 벌어질 전쟁을 말씀 하십니다. 하지만 예루살렘을 둘러싼 적들이 오히려 패할 것입니다. 하나님은 예루살렘이 대적들을 취하게 하는 잔이 되고(2), 예루살렘이 대적들에게 무거운 돌이 되게 하겠다고 약속하십니다. 천하만국이 예루살렘을 치려고 모이지만, 오히려 그들이 상할 것입니다(3). 또한 대적들의 말을 쳐 놀라게 하고, 그 말 탄 자는 미칠 것입니다. 하나님은 유다 족속은 돌보시고, 모든 민족의 말을 치실 것입니다(4). 하나님은 유다의 지도자들에 대해서도 예언하십니다. 유다의 지도자들은 백성들이 만군의 여호와로 말미암아 힘을 얻었다고 독백하고(5), 화로와 횃불과 같이 사방의 적들을 불사를 것입니다. 예루살렘 주민들은 다시 예루살렘에 돌아와서 살게 될 것입니다(6). 요즘 이스라엘을 보면 이 말씀이 그대로 성취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여호와께서 유다의 장막을 구원 하시어, 다윗의 집의 영광과 예루살렘 주민의 영광이 유다보다 더하지 못하게 하실 것입니다(7). 유다의 장막이나 유다의 두목(우두머리)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곳은 이곳이 유일합니다. 아마도 당시 존재했던 포로 후기 신분과 종교적 갈등을 내포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윗의 집, 예루살렘 주민은 왕족과 높은 신분을, 유다의 장막은 일반 시민들을 표현합니다. 인간적인 자랑(신분, 왕족 등)과 하나님의 주권적인 선택(유다 지파)을 비교하여, 하나님의 은혜가 더 크다는 의미입니다.

하나님의 구원의 날에는 약한 자가 다윗과 같고, 다윗 족속은 하나님 또는 여호와의 사자와 같을 것입니다. 그만큼 하나님의 구원이 클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마치 천국에서 가장 작은 자라도 세례 요한보다 크다는 주님의 말씀(마 11:11; 눅 7:28)과 같은 의미입니다.


God’s Promise of Salvation (vv. 1–9)

Through the prophet Zechariah, God again delivers a warning message. The Lord who speaks is the One who stretches out the heavens, lays the foundation of the earth, and forms the spirit of man within him (v.1)—in other words, the Creator Himself.

God foretells a future battle centered around Jerusalem. Yet the nations surrounding Jerusalem will be defeated. The Lord promises to make Jerusalem a cup that sends surrounding peoples reeling (v.2) and a heavy stone that injures all who try to lift it (v.3). Though all nations gather against Jerusalem, they will be struck down. God will strike every horse with panic and its rider with madness, while watching over the house of Judah (v.4).

The leaders of Judah will say to themselves, “The people of Jerusalem are strong because the Lord Almighty is their God.” Like a blazing pot or flaming torch, they will consume surrounding nations, and the people of Jerusalem will live there once again (vv.5–6). Seeing modern Israel today, one can almost feel this prophecy being fulfilled.

The Lord will save the tents of Judah first, so that the glory of David’s house and of the inhabitants of Jerusalem will not be greater than that of Judah (v.7). The phrase “tents of Judah” or “leaders of Judah” appears only here, likely reflecting post-exilic social and religious tensions. The “house of David” and “inhabitants of Jerusalem” represent nobility and high status, while “tents of Judah” represent ordinary people. This contrast highlights that God’s grace is greater than human rank or privilege.

On the day of salvation, even the weakest will be like David, and the house of David will be like God—like the angel of the Lord going before them (v.8). This signifies the greatness of God’s salvation—just as Jesus said, “The least in the kingdom of heaven is greater than John the Baptist” (Matt. 11:11; Luke 7:28).


ree

 

은혜와 간구의 영을 주소서 (10~14절)

9절까지가 군사적, 정치적, 민족적, 육체적인 구원을 말한다면, 이제부터는 본질적인 영적인 구원을 약속합니다. 하나님은 다윗의 집과 예루살렘 주민, 곧 이스라엘 전체에 은총과 간구의 영을 부어주실 것입니다. 그 결과 그들이 그 찌른 바 그를 바라보고 그를 위하여 애통할 것입니다.

여기서 그를 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엘라 אלי 인데, 이것은 나를 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그들이 그 찌른 바 나를 바라보고 그를 위하여 애통할 것이라 해석해야 합니다. 우리는 여기서 놀라운 삼위일체적인 표현을 목격합니다. 화자는 성부 하나님이신데, 실제로 수백년 후에 롱기누스의 창에 찔리시는 분은 성자입니다. 그리고 그 두 분은 한 분입니다!

그 결과 예수를 찌른 자들은 그를 바라보며 독자를 위하여 애통하듯, 유월절에 애굽에서 장자를 위하여 통곡하듯 통곡할 것입니다. 그 구원의 날에 예루살렘에 큰 애통함이 있을 것입니다. 그 애통함은 므깃도에서 성군 요시야를 잃은 백성들의 애통함과 같습니다(11).

여러분, 이 예언을 보면서 어떤 장면이 떠 오릅니까? 맞습니다. 사도행전 2:36~38절에 기록된 베드로의 설교 후에 예수를 찔러 죽인 자들이 어찌할꼬! 하며 가슴을 치며 회개하는 장면과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12절에서 14절을 보면 “따로”가 10회, “아내”가 5회 등장합니다. 이는 애통하고 구원 받는 일이 지극히 개인적이라는 사실을 반영합니다. 남편은 대표성, 공동체성을 상징한다면, 상대적으로 아내는 개별성을 상징합니다. 하나님이 주실 구원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고, 그 구원은 자신의 죄악으로 찌른 바 예수를 바라보며 가슴을 치고 애통하는 자에게 주어지는 놀라운 은혜인 것입니다.

 

The Spirit of Grace and Supplication (vv. 10–14)

While verses 1–9 describe military, political, and national deliverance, verses 10–14 reveal spiritual salvation. God promises to pour out a spirit of grace and supplication on the house of David and the inhabitants of Jerusalem—on all Israel. As a result, “They will look on me, the one they have pierced, and they will mourn for him.”

In Hebrew, the phrase translated “him” (’elay אֵלַי) actually means “me,” showing that the speaker—God Himself—is the one who will be pierced. This is a profound Trinitarian revelation: the speaker is God the Father, yet the one pierced centuries later by Longinus’ spear is God the Son—and the two are one.

Those who pierced Jesus will look on Him and mourn as one mourns for an only son, as Egypt mourned during the Passover for their firstborn. On that day, there will be great mourning in Jerusalem—like the mourning at Hadad Rimmon in the plain of Megiddo, when the people grieved for King Josiah (v.11).

Does this scene remind you of something? Yes—it corresponds precisely to Acts 2:36–38, when Peter’s sermon convicted those who had crucified Jesus, and they cried out, “Brothers, what shall we do?” in deep repentance.

In verses 12–14, the words “separately” (alone) appear ten times and “wives” five times. This repetition emphasizes that mourning and salvation are deeply personal. Husbands symbolize representation and community, while wives symbolize individuality. God’s salvation is personal—it is granted to those who, realizing they have pierced Jesus by their own sin, beat their breasts and mourn in repentance.


ree

예수님은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요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위로를 받을 것임이요(마 5:3, 4) 내가 가진 롱기누스의 창으로 예수님을 찔렀다는 사실을 알고 마음이 가난하여져서 주님 앞에 자신의 죄를 회개하고 애통하게 되는 자는 하늘의 위로를 얻게 될 것인데, 그 위로가 바로 천국이라는 것입니다.

주님은 바로 그 죄를 깨닫는 은총과 회개의 간구의 영을 주실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구해야 합니다. 죄를 깨닫는 은총과 구원을 간구하는 간절한 심령을 달라고 기도해야 합니다. 그렇게 기도할 때 주님은 우리에게 성령을 주시어 구원에 이르게 하십니다. 오늘도 내가 가진 롱기누스의 창이 무엇인지 살피고, 애통함으로 회개하고, 구원의 감격의 은혜를 누리는 삶이 되기를 바랍니다.  


Conclusion

Jesus said,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for theirs is the kingdom of heaven. Blessed are those who mourn, for they will be comforted” (Matt. 5:3–4). When we realize that our own sin is the spear of Longinus that pierced Jesus, our hearts become poor, and we repent in sorrow. To such people, God grants heavenly comfort—that is, the kingdom of heaven itself.

The Lord gives us the Spirit of grace and supplication that leads to the awareness of sin and repentance. Therefore, we must pray earnestly:“Lord, grant me the grace to recognize my sin and a heart that seeks Your salvation.”

When we pray in this way, God gives His Spirit and leads us to salvation.May we each examine what “spear of Longinus” we hold in our hearts today, repent with godly sorrow, and live in the joy and grace of salvation.

 
 
 

댓글


한사랑 transe logo vertical white

1-253-642-7004

Contact@SeattleHansarang.com

33506 10th PL. S.

Federal Way, Washington 98003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Question/Suggestion?

Thanks for submitting!

©2020 by Seattle Hansarang Church Media Tea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