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51020 [새벽묵상] 잘못된 접근 | Wrong Approach (슥/Zec 7:1~14)


ree

7:1 다리오 왕 제사년 아홉째 달 곧 기슬래월 사일에 여호와의 말씀이 스가랴에게 임하니라

7:2 그 때에 벧엘 사람이 사레셀과 레겜멜렉과 그의 부하들을 보내어 여호와께 은혜를 구하고

7:3 만군의 여호와의 전에 있는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에게 물어 이르되 내가 여러 해 동안 행한 대로 오월 중에 울며 근신하리이까 하매

1 In the fourth year of King Darius,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Zechariah on the fourth day of the ninth month, the month of Kislev. 2 The people of Bethel had sent Sharezer and Regem-Melek, together with their men, to entreat the Lord 3 by asking the priests of the house of the Lord Almighty and the prophets, “Should I mourn and fast in the fifth month, as I have done for so many years?”


7:4 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이르시되

7:5 온 땅의 백성과 제사장들에게 이르라 너희가 칠십 년 동안 다섯째 달과 일곱째 달에 금식하고 애통하였거니와 그 금식이 나를 위하여, 나를 위하여 한 것이냐

7:6 너희가 먹고 마실 때에 그것은 너희를 위하여 먹고 너희를 위하여 마시는 것이 아니냐

7:7 예루살렘과 사면 성읍에 백성이 평온히 거주하며 남방과 평원에 사람이 거주할 때에 여호와가 옛 선지자들을 통하여 외친 말씀이 있지 않으냐 하시니라

4 Then the word of the Lord Almighty came to me: 5 “Ask all the people of the land and the priests, ‘When you fasted and mourned in the fifth and seventh months for the past seventy years, was it really for me that you fasted? 6 And when you were eating and drinking, were you not just feasting for yourselves? 7 Are these not the words the Lord proclaimed through the earlier prophets when Jerusalem and its surrounding towns were at rest and prosperous, and the Negev and the western foothills were settled?’”


7:8 여호와의 말씀이 스가랴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7:9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여 이르시기를 너희는 진실한 재판을 행하며 서로 인애와 긍휼을 베풀며

7:10 과부와 고아와 나그네와 궁핍한 자를 압제하지 말며 서로 해하려고 마음에 도모하지 말라 하였으나

8 And the word of the Lord came again to Zechariah: 9 “This is what the Lord Almighty said: ‘Administer true justice; show mercy and compassion to one another. 10 Do not oppress the widow or the fatherless, the foreigner or the poor. Do not plot evil against each other.’


7:11 그들이 듣기를 싫어하여 등을 돌리며 향하며 듣지 아니하려고 귀를 막으며

7:12 그 마음을 금강석 같게 하여 율법과 만군의 여호와가 그의 영으로 옛 선지자들을 통하여 전한 말을 듣지 아니하므로 큰 노가 만군의 여호와께로부터 나왔도다

11 “But they refused to pay attention; stubbornly they turned their backs and covered their ears. 12 They made their hearts as hard as flint and would not listen to the law or to the words that the Lord Almighty had sent by his Spirit through the earlier prophets. So the Lord Almighty was very angry.


7:13 내가 불러도 그들이 듣지 아니한 것처럼 그들이 불러도 내가 듣지 아니하리라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였느니라

7:14 내가 그들을 바람으로 불어 알지 못하던 여러 나라에 흩었느니라 그 후에 이 땅이 황폐하여 오고 가는 사람이 없었나니 이는 그들이 아름다운 땅을 황폐하게 하였음이니라 하시니라

13 “‘When I called, they did not listen; so when they called, I would not listen,’ says the Lord Almighty. 14 ‘I scattered them with a whirlwind among all the nations, where they were strangers. The land they left behind them was so desolate that no one traveled through it. This is how they made the pleasant land desolate.’”


 

누가복음 10장 25절에서 37절을 보면 그 유명한 예수님의 선한사마리아인의 비유가 나옵니다. 예수님이 이 비유를 말씀하신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 율법교사가 예수님을 시험하려고 내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라고 질문했고, 주님이 율법에는 무엇이라고 되어있냐고 묻자 그는 쉐마 이스라엘 - 하나님 사랑, 이웃사랑(신 6:5)으로 답합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옳도다, 이를 행하라 그리하면 살리라고 답하십니다. 양심에 찔림을 받은 율법 교사는 자신을 옳게 보이려고 내 이웃이 누구입니까? 라고 묻자, 이에 대한 답변으로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베푸신 것입니다.

공관복음을 보면 율법교사와 동일한 질문을 한 부자 관원 청년이 등장합니다(마 19:20; 막 10:17; 눅18:18). 그 역시 예수님 앞에 나와 내가 무엇(무슨 선한 일)을 하여야 영생을 얻으리이까? 라고 질문합니다. 예수님은 그에게 계명을 지키라 말씀 하셨고, 그는 어릴 때부터 모두 지켰다고 답합니다. 그러자 예수님은 모든 재산을 팔아 가난한 자에게 나눠주고, 너는 나를 따르라 말씀 하십니다. 그 부자 청년은 많은 재산으로 인하여 근심하며 돌아갑니다.

이 두가지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율법교사와 부자 관원 청년의 문제는 애초에 구원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 자체가 잘못된 것입니다. 그들은 모두 유대인적인 사고를 가지고 구원을 행위의 문제로 보았고, 자신들은 율법을 거의 지켰다고 착각하여 예수라는 랍비로부터 네가 구원에 가깝다는 찬사를 듣고 싶었던 것입니다.

예수님은 그들의 잘못된 중심을 아시고 그들의 수준에 맞춰, 행위로 구원 받을 수 없음을 깨닫도록 알려주신 것입니다.

 

In Luke 10:25–37 we find the famous parable of Jesus’ Good Samaritan. The reason Jesus told this parable was the following. A certain lawyer of the law, wanting to test Jesus, asked, “Teacher, what shall I do to inherit eternal life?” When the Lord asked him what is written in the Law, he answered with the Shema: “Hear, O Israel” — love God, and love your neighbor (Deut. 6:5). Then Jesus said, “You have answered correctly; do this and you will live.” Conscious that his conscience was pricked and wanting to appear righteous, the lawyer asked, “And who is my neighbor?” In response to that question Jesus gave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In the Synoptic Gospels a rich young ruler appears who asks the same kind of question (Matt. 19:20; Mark 10:17; Luke 18:18). He, too, came to Jesus and asked, “What must I do to inherit eternal life? (What good deed must I do?)” Jesus told him to keep the commandments, and he answered that he had kept them all from his youth. Then Jesus said, “Sell all you have and give to the poor, and come, follow me.” The rich young man went away sorrowful because he had great possessions.

The problem with both the lawyer in the Luke passage and the rich young ruler in the other Gospels is that their way of approaching salvation was mistaken from the start. Both thought of salvation in terms of works, in a typically Jewish mindset; they deluded themselves into thinking they kept the law sufficiently and came to Jesus the Rabbi seeking praise — to be told they were close to salvation.

Jesus perceived their misguided hearts and, at their level, sought to make them realize that salvation cannot be obtained by deeds.


ree

누구를 위한 금식인가? (1~7절)

오늘 본문도 바로 이러한 예수님의 정신과 맥을 같이 합니다. 하나님은 율법과 형식에 집착하는 자들에게 진정한 율법의 실천을 원하십니다. 그리고 구원은 행위가 아닌 그 하나님을 믿는 믿음에 의해 얻는 것이고, 진정한 믿음은 사랑의 행위를 당연히 동반한다는 사실을 알려주십니다.

스가랴 선지자에게 세번째 말씀이 임한 시기는 다리오 왕 제사년 아홉째 달로 성전 건축이 재개되고 약 2년 정도의 시간이 흐른 시점입니다. 이때 벧엘 사람들이 사신들을 예루살렘에 보내어 제사장들과 선지자들에게 포로기 70여년 동안 해 온 관습인 5월의 금식을 계속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묻습니다. 5월 금식은 바벨론에 의해 예루살렘과 성전이 불탄 것을 애통해하며 시작된 금식입니다. 그런데 이제 성전이 재건되는 마당에 그 금식을 계속 할 필요가 있는지를 묻기 위해 그들이 온 것입니다. 

벧엘은 족장 시대에 신앙적으로 유서가 깊은 지역입니다. 하지만 후대에 오면서 우상숭배의 온상지가 되었습니다. 그들은 여호와의 은혜를 구하며 하나님의 뜻을 구하고자 하는 열정은 있었지만, 그들의 신앙은 접근부터 잘못되었습니다.

하나님은 5월의 금식에 대해서 묻는 벧엘 사람들에게 7월의 금식까지 거론합니다. 7월의 금식은 바벨론이 시드기야 왕을 포로로 끌고가고 대신에 그달랴를 세워 예루살렘을 관리하려고 했을 때, 왕족인 이스마엘이 부하 10명을 데리고 그달랴와 바벨론 병사들을 죽이고 애굽으로 도망한 사건을 기념하고자 시작된 금식입니다. 과거 이들의 이러한 테러행위는 하나님의 심판을 저항하는 악한 행위였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이 물으시는 것입니다. 너희가 70년 동안 해 온 오월과 칠월의 금식이 나를 위한 것이냐?

하나님은 그들이 먹고 마실 때 자신들을 위해 먹고 마시는 것처럼, 금식 역시도 자신들을 위한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들의 금식은 하나님이 원하시는 자신의 죄를 돌아보고 그것으로 인해 애통하는 것이 아닌 그저 자신들 스스로 연민에 빠져 하는 그런 금식이었던 것입니다. 선지자는 형식적인 예배에서 비롯된 자기연민은 진정한 헌물이 아니라 단지 예배자의 욕망을 만족시키는 것일 뿐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진정한 금식은 스스로를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만족 시키는 금식이어야 합니다.


Who is fasting for whom? (vv. 1–7)

Today's passage shares the same spirit as Jesus’ teaching. God desires the genuine practice of the law from those who are obsessed with the law and mere formality. He wants us to know that salvation is obtained by faith in God, not by works; and true faith naturally accompanies acts of love.

The third oracle to the prophet Zechariah came in the ninth month of the first year of King Darius’ reign — at the time the temple rebuilding had resumed and about two years had passed. Then the people of Bethel sent delegates to Jerusalem to ask the priests and prophets whether they should continue the fast of the fifth month, a custom observed during the seventy years of exile. The fast of the fifth month began as a mourning for the burning of Jerusalem and the temple by Babylon. Now that the temple was being rebuilt, they came to ask whether they still needed to observe that fast.

Bethel is a region with deep religious roots going back to the patriarchal age, but in later times it became a hotbed of idolatry. They had zeal to seek the Lord’s favor and God's will, yet their approach to faith was flawed from the beginning.

God, in response to the people of Bethel who asked about the fast of the fifth month, even mentions the fast of the seventh month. The fast of the seventh month commemorates the time when Babylon captured King Zedekiah and set Gedaliah over Jerusalem; later Ishmael, of royal blood, came with ten men, killed Gedaliah and the Babylonian soldiers, and fled to Egypt — an event the people marked with fasting. That violent act had been an evil resistance to God’s judgment.

So God asks them: Is the fasting you’ve observed in the fifth and seventh months for my sake?

God says that just as they eat and drink for themselves, so their fasting is also for themselves. Their fasts were not an act of sorrowful repentance over their own sin in the way God desired, but self-pitying observances. The prophet emphasizes that self-pity arising from formal worship is not a true offering but merely satisfies the worshipper’s own desires. True fasting is not about satisfying oneself but about pleasing God.


ree

 

이미 했던 말 (8~14절)

그렇다면 하나님을 만족시키는 금식은 어떤 것일까요? 이사야 선지자가 이미 알려주었습니다.

 

나의 기뻐하는 금식은 흉악의 결박을 풀어 주며 멍에의 줄을 끌러주며

압제 당하는 자를 자유케 하며 모든 멍에를 꺾는 것이 아니겠느냐 (사 58:6)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금식은 형식적, 종교적인 행위가 아닌 실제적인 자비의 행위를 동반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이미 여러 선지자들을 통해서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누차 알려주시고 경고했던 내용입니다. 진실한 재판을 하고, 서로 인애와 긍휼을 베풀고, 사회적 약자(과부, 고아, 나그네, 가난한 자)를 압제하지 않고, 서로 악을 도모하지 않는 것입니다(10).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심판을 받은 이유가 무엇입니까? 바로 이 말씀을 귓등으로도 듣지 않으려 했기 때문입니다(11). 그들의 마음은 다이아몬드처럼 딱딱하여 성령과 선지자들이 전한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가 바벨론 포로기입니다. 그들이 하나님을 듣지 않았기에, 하나님 역시 그들의 말을 듣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을 흩으시고, 황폐하게 하신 것입니다(13, 14).


What was already said (vv. 8–14)

Then what kind of fasting pleases God? Isaiah the prophet already told us.

“My chosen fast: to loose the bands of wickedness, to undo the heavy burdens, to let the oppressed go free, and to break every yoke.” (Isa. 58:6)

God-pleasing fasting is not a formal, religious act but is accompanied by concrete acts of mercy. This is something God repeatedly warned Israel about through many prophets. It calls for righteous judgment, showing kindness and compassion to one another, not oppressing society’s vulnerable (widows, orphans, strangers, the poor), and not conspiring to do evil against one another (v. 10).

Why did Israel receive God’s judgment? Because they refused even to give ear to this instruction (v. 11). Their hearts were hard as diamonds and did not hear the words of the Spirit and the prophets. The result was the Babylonian exile. Because they did not listen to God, God in turn did not listen to them — He scattered them and made their land desolate (vv. 13–14).


ree

 

종교적인 열심은 매우 필요한 것이고 중요한 것입니다. 하지만 알맹이 없이 형식과 보여지는 것만 남게되면 그 신앙은 가장 좋지 않은 신앙의 형태입니다. 스가랴 선지자는 벧엘 사람들에게서 과거 형식만 남아서 결국 멸망할 수밖에 없었던 유대인들의 신앙의 모습을 발견한 것입니다. 그래서 과거 이야기를 꺼내며 그들에게 책망하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합니다.

때로는 우리의 열심이, 금식과 같은 거룩한 행위가 오히려 해가 됩니다. 아니 사실은 그 행위 자체의 문제가 아닙니다. 오히려 그 행위는 귀한 것입니다. 문제는 그 중심입니다. 예수님 앞에 나와 무엇을 하여야 구원을 얻겠습니까? 라고 물었던 율법 교사와 부자 관원의 질문이 왜 어리석은 질문인지 알아야 합니다.

우리의 예배와 기도, 금식, 새벽기도, 헌금, 봉사가 어떤 마음으로부터 출발했습니까? 나의 의와 도를 쌓기 위해 시작된 것이라면 당장 멈춰야 합니다. 그것은 오히려 우리의 신앙에 독이 됩니다. 우리의 아름답고 거룩한 행위의 출발은 예수여야 합니다. 예수님을 사랑하는 마음, 예수님이 날 위해 죽으신 것에 감격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시작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마음은 실제적인 사랑의 행위인 진정한 예배와 섬김과 금식으로 드러나야 합니다.

우리의 모든 행위(종교적 행위, 구제의 선행)는 구원 받기 위한 행위가 아닌 이미 예수로 인하여 구원 받은 자의 감사와 순종과 감격의 행위여야 합니다. 이렇게 접근할 때 우리의 모든 행위가 거룩한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제대로 접근해야 합니다. 예수를 통해서, 예수로 인하여…


Religious zeal is necessary and important. But when only outward form and display remain, without substance, that faith is the worst kind of faith. The prophet Zechariah discovered in the people of Bethel the same kind of faith that, being reduced to mere form, inevitably led to destruction. Thus God brings up past examples to rebuke them.

Sometimes our zeal and holy practices such as fasting can do harm. Actually, it’s not the acts themselves that are the problem — those acts are precious. The problem is what lies at the center. We must understand why the law teacher and the rich young ruler asked, “What must I do to be saved?” — why that question is foolish.

From what heart do our worship, prayers, fasts, dawn prayers, offerings, and service begin? If they began to build up my own righteousness and merit, stop immediately. That becomes poison to our faith. The origin of our beautiful and holy acts must be Jesus. They must begin with love for Jesus, with being moved and grateful that Jesus died for us. And that heart must manifest itself in genuine acts of love — true worship, service, and fasting.

All our acts (religious deeds and charitable works) should not be done to obtain salvation, but should be expressions of gratitude, obedience, and wonder from those who have already been saved through Jesus. Approached this way, all our deeds gain holy meaning. Approach properly — through Jesus, because of Jesus.

 
 
 

댓글


한사랑 transe logo vertical white

1-253-642-7004

Contact@SeattleHansarang.com

33506 10th PL. S.

Federal Way, Washington 98003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Question/Suggestion?

Thanks for submitting!

©2020 by Seattle Hansarang Church Media Tea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