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새벽묵상] 기억하고, 돌아오라 | Remember and Return (슥/Zec 1:1~6)
- 7시간 전
- 7분 분량

1:1 다리오 왕 제이년 여덟째 달에 여호와의 말씀이 잇도의 손자 베레갸의 아들 선지자 스가랴에게 임하니라 이르시되
1 In the eighth month of the second year of Darius, the word of the Lord came to the prophet Zechariah son of Berekiah, the son of Iddo:
1:2 나 여호와가 너희의 조상들에게 심히 진노하였느니라
1:3 그러므로 너는 무리에게 고하기를 만군의 여호와께서 이처럼 이르시되 너희는 내게로 돌아오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그리하면 내가 너희에게로 돌아가리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1:4 너희 조상들을 본받지 말라 옛적 선지자들이 그들에게 외쳐 이르되 만군의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기를 너희가 악한 길, 악한 행위를 떠나서 돌아오라 하셨으나 그들이 듣지 아니하고 내게 귀를 기울이지 아니하였느니라 여호와의 말이니라
1:5 너희 조상들이 어디 있느냐 또 선지자들이 영원히 살겠느냐
1:6 내가 나의 종 선지자들에게 명령한 내 말과 내 법도들이 어찌 너희 조상들에게 임하지 아니하였느냐 그러므로 그들이 돌이켜 이르기를 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 길대로, 우리 행위대로 우리에게 행하시려고 뜻하신 것을 우리에게 행하셨도다 하였느니라
2 “The Lord was very angry with your ancestors. 3 Therefore tell the people: This is what the Lord Almighty says: ‘Return to me,’ declares the Lord Almighty, ‘and I will return to you,’ says the Lord Almighty. 4 Do not be like your ancestors, to whom the earlier prophets proclaimed: This is what the Lord Almighty says: ‘Turn from your evil ways and your evil practices.’ But they would not listen or pay attention to me, declares the Lord. 5 Where are your ancestors now? And the prophets, do they live forever? 6 But did not my words and my decrees, which I commanded my servants the prophets, overtake your ancestors?
“Then they repented and said, ‘The Lord Almighty has done to us what our ways and practices deserve, just as he determined to do.’”

이스라엘은 솔로몬 왕 이후 남과 북으로 나뉘었습니다. 남유다는 베냐민지파와 유다지파로 구성되었고, 북이스라엘은 요셉(에브라임, 므낫세)을 중심으로 나머지 10지파들로 구성되었습니다. 북이스라엘은 B.C.722년 앗수르에 멸망한 후 혼혈족이 되었습니다. 사마리아가 북이스라엘의 수도였고, 앗수르는 정책적으로 그들을 이방인 혼혈족으로 만든 것입니다.
한편 남유다는 B.C.586년 바벨론에 의해 멸망합니다. 그리고 예루살렘의 남겨진 자들과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간 자들로 나뉘게 됩니다. 바벨론 포로들은 그곳에 정착하여 다니엘처럼 성공한 사람도 있었지만, 예루살렘은 오히려 폐허가 되어 극심한 가난과 굶주림에 놓였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고레스 왕을 통해서 은혜를 베푸십니다. 예루살렘 성전이 무너진 후 48년이 지난 B.C.538년 그 유명한 고레스칙령이 반포되어 유대인 포로들은 예루살렘으로 귀환해서 성전을 지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때 스룹바벨과 제사장 여호수아가 지도자가 되어 약 5만명의 백성이 귀환을 합니다. 이때 스가랴 선지자의 할아버지인 잇도, 아버지인 베레갸도 함께 있었습니다(느 12:1, 16).
그들은 2년만에 성전의 기초를 다 쌓게 됩니다. 고레스 왕 2년 2월로 B.C.536년입니다. 그런데 이 때 이방인들과 사마리아인들의 방해(유대인들이 사마리아인을 개와 같이 취급하는 이유가 이 때문입니다)로 성전 건축이 중단되고, 동력을 잃은 귀환자들은 자신의 삶에 급급하여 성전 건축은 16년이나 중단이 됩니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다리오 왕 2년 B.C.520년에 학개와 스가랴 선지자에게 하나님의 말씀이 임하여 백성들을 영적으로 깨워 성전재건이 시작된 것입니다. 결국 4년 후, B.C.516년 스룹바벨 성전은 완공됩니다.
솔로몬 성전이 무너진지 70년 만입니다. 그래서 그래서 학자들이 포로기를 70년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After King Solomon, Israel was divided into the northern and southern kingdoms. The southern kingdom, Judah, consisted of the tribes of Benjamin and Judah, while the northern kingdom, Israel, was made up of the remaining ten tribes centered around Joseph’s sons, Ephraim and Manasseh. The northern kingdom fell to Assyria in 722 B.C. and became a mixed race. Samaria was the capital of the northern kingdom, and it was Assyria’s policy to intermix them with foreigners, making them a people of mixed descent.
Meanwhile, the southern kingdom of Judah was conquered by Babylon in 586 B.C. Those who remained in Jerusalem were separated from those taken into Babylonian captivity. Some exiles, like Daniel, settled in Babylon and succeeded there, but Jerusalem became desolate—filled with extreme poverty and hunger.
Yet God poured out His grace through King Cyrus. Forty-eight years after the temple in Jerusalem had been destroyed, in 538 B.C., Cyrus issued his famous decree allowing the Jewish exiles to return to Jerusalem and rebuild the temple. Under the leadership of Zerubbabel and the priest Joshua, about fifty thousand people returned. Among them were Iddo, the grandfather of the prophet Zechariah, and Berechiah, Zechariah’s father (Nehemiah 12:1, 16).
Within two years, they completed the foundation of the temple—in the second month of the second year of King Cyrus, 536 B.C. However, opposition from foreigners and Samaritans halted construction. (This is also why Jews later regarded Samaritans as dogs.) Losing motivation, the returnees became preoccupied with their own lives, and temple construction was halted for sixteen years.
In this context, in the second year of King Darius, 520 B.C., the word of God came to the prophets Haggai and Zechariah, stirring the people spiritually to resume rebuilding the temple. Four years later, in 516 B.C., the temple—known as the Second Temple or Zerubbabel’s Temple—was completed.
Seventy years had passed since Solomon’s Temple was destroyed, which is why scholars refer to this as the 70-year period of exile.

1. 돌아오라 (1~3절)
스가랴 선지자는 제사장 가문으로 학개, 말라기와 같은 시기에 예루살렘에서 활동한 선지자입니다. 그는 바벨론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때 부모님과 함께 귀환 것으로 보입니다.
스가랴의 의미는 여호와께서 기억하신다, 여호와를 기억함 이라는 의미입니다. 선지자의 이름 자체가 큰 메시지입니다. 인생의 어리석음은 기억해야 할 것은 망각하고 망각해야 할 것은 기억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억해야 할 것과 망각해야 할 것, 이것을 잘 구별하는 것이 “지혜”입니다.
한편 학개 선지자의 메시지와 스가랴 선지자의 메시지 차이가 있다면, 학개는 성전 재건을 바탕으로 한 현실적인 이슈들을 다루었다면, 스가랴는 성전 재건의 중요성과 의미에 관한 비전들을 중심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스가랴서는 신약의 저자들이 가장 많이 인용한 구약의 책에 속합니다. 신약에서 스가랴서는 총 70여 회가 직, 간접적으로 인용됩니다. 1/3은 복음서에서 인용되고 나머지는 대부분 계시록에서 인용됩니다. 그만큼 스가랴 선지자는 메시야에 대한 예언을 많이 했고, 복음서 저자들은 예수님의 삶과 사역을 그 성취로 보았던 것입니다.
선지자는 오늘 본문에 두 가지 명령을 합니다. 먼저는 돌아오라는 명령입니다. 스가랴 선지자는 여호와께서 유대 조상들에게 심히 진노하셨다(2)고 말합니다. 진노의 이유는 여호와께 돌아오라(3)는 명령에서 알 수 있습니다. 유다가 하나님을 떠났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결과가 바벨론 포로 70년이었습니다.
여기서 돌아오라는 히브리어 슈브 שובו 동사로 가던 길을 돌이킨다, 회개하다 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단어는 파괴하다라는 의미의 쉰ש과 집이라는 의미의 벧בֵּית이 합쳐진 단어로 옛집을 파괴하는 것, 곧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옛집을 파괴하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정복자들이 포로를 잡아서 귀화 시키기 위해 집을 파괴하는 것을 표현한 것입니다. 그 만큼의 결단과 각오를 가지고 회개하는 것, 돌아오는 것이 슈브입니다.
이미 16년 전에 성전의 기초는 놓여졌지만 외부적인 방해와 내적인 매너리즘으로 귀환자들이 나태해진 상황입니다. 게으름, 방해, 갈등, 현실에 안주, 옛 습관에 머물러 있는 백성들의 모습입니다.
우리의 신앙의 모습과 매우 흡사합니다. 혹시 나의 신앙은 매너리즘과 나태함, 안일함에 안주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신앙은 하나님을 기억하고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그렇게 할 때 하나님도 우리에게로 돌아오십니다.
1. Return to Me (vv. 1–3)
The prophet Zechariah, from a priestly family, ministered in Jerusalem during the same period as Haggai and Malachi. He was born in Babylon and seems to have returned to Jerusalem as a child with his parents.
The name Zechariah means “The Lord remembers” or “One who remembers the Lord.” Even his name carries a powerful message. Human folly lies in forgetting what we ought to remember and remembering what we ought to forget. True wisdom is to distinguish between what must be remembered and what must be forgotten.
While Haggai’s message focused on the practical and immediate issues of rebuilding the temple, Zechariah’s message centered on the vision and spiritual meaning behind the rebuilding.
Zechariah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quoted Old Testament books in the New Testament—referenced directly or indirectly about 70 times. One-third of these quotations appear in the Gospels, and most of the rest are found in Revelation. Zechariah prophesied extensively about the Messiah, and the Gospel writers saw Jesus’ life and ministry as the fulfillment of those prophecies.
In today’s passage, the prophet gives two commands. The first is “Return to Me.” Zechariah says, “The Lord was very angry with your ancestors” (v. 2). The reason for God’s anger becomes clear in verse 3: “Return to Me.” Judah had turned away from God—and the result was seventy years of Babylonian captivity.
The Hebrew word for “return” is shuv (שובו), meaning to turn back or to repent. The root combines sh, meaning “to destroy,” and beth, meaning “house,” implying “to destroy the old house.” It pictures breaking down the old home so that one cannot return to it—illustrating the depth of resolve and determination required in repentance.
Sixteen years earlier, the temple foundation had been laid, but because of external opposition and internal complacency, the returnees had become spiritually sluggish. Laziness, discouragement, conflict, comfort-seeking, and attachment to old habits marked their lives.
This mirrors our own faith today. Have we, too, settled into spiritual complacency or routine? Faith means remembering God and returning to Him. When we return to God, He also returns to us.

2. 본받지 말라 (4~6절)
선지자의 두 번째 명령은 본받지 말라는 것입니다. 공자는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三人行 必有我師焉, 삼인행 필유아사언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어떤 사람은 본받을 점으로 어떤 사람은 본받지 말아야 할 점이 있다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어떤 사람이든 반면교사 삼아서라도 배울 점이 있다는 지혜의 말입니다.
스가랴 선지자의 말이 그것입니다. 너희 열조를 본받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들은 선지자들을 통해서 악한 길, 악한 행위를 떠나 여호와께로 돌아오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고 귀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조상이나 선지자도 다 사라지고 없지만(5), 여호와의 말씀은 그대로 이루어져 예루살렘이 멸망했습니다.
그제서야 하나님의 말씀이 옳다는 것을 알고 고백하게 되었습니다.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악한 행위대로 하나님의 심판을 받은 것입니다(6).
사람은 역사를 통해서 배워야 합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고,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서 배우지 않는 사람 역시 미래가 없습니다. 그래서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나님을 기억하고, 그의 말씀을 기억하고, 날마다 돌이켜 말씀으로 하나님께로 돌이켜야 합니다. 탕자가 아버지께로 돌이킬 수 있었던 것도, 아버지의 풍성하심을 기억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고, 은혜를 기억하는 자가 하나님께 슈브, 돌이킬 수 있습니다. 기억하고, 돌아오는 한사랑 성도 되시기를 진심으로 축복합니다.
2. Do Not Imitate Them (vv. 4–6)
The prophet’s second command is “Do not be like your ancestors.” Confucius once said,
(三人行 必有我師焉 — “If three walk together, one can always be my teacher.”)
It means that from every person, we can learn something—whether it’s what to follow or what to avoid. There is wisdom in learning even from others’ failures.
That is Zechariah’s point: “Do not be like your ancestors.” Their forefathers ignored the words of God spoken through the prophets, who urged them to turn from their evil ways and deeds. Though the ancestors and prophets had all passed away (v. 5), God’s words were fulfilled just as He said—Jerusalem was destroyed.
Only then did they acknowledge that God’s words were true. The Israelites received judgment according to their evil deeds (v. 6).
We must learn from history. A nation that forgets its history has no future, and a person who refuses to learn from personal experience also has no future. Therefore, remembrance is vital—remember God, remember His Word, and continually turn back to Him through His Word.
The prodigal son was able to return to his father because he remembered his father’s abundance. Likewise, only those who remember God’s Word and grace can truly shuv—return—to Him.
May every believer of Seattle Hansarang Church remember and return to the Lord. Ame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