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50915 [특새묵상] 죄에 대해 죽은 자, 하나님께 대해 산 자 | Dead to Sin, Alive to God (롬/Rom 6:1~11)


ree

6:1 그런즉 우리가 무슨 말을 하리요 은혜를 더하게 하려고 죄에 거하겠느냐

6:2 그럴 수 없느니라 죄에 대하여 죽은 우리가 어찌 그 가운데 더 살리요

6:3 무릇 그리스도 예수와 합하여 세례를 받은 우리는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은 줄을 알지 못하느냐

6:4 그러므로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음으로 그와 함께 장사되었나니 이는 아버지의 영광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심과 같이 우리로 또한 생명 가운데서 행하게 하려 함이라

1 What shall we say, then? Shall we go on sinning so that grace may increase? 2 By no means! We are those who have died to sin; how can we live in it any longer? 3 Or don’t you know that all of us who were baptized into Christ Jesus were baptized into his death? 4 We were therefore buried with him through baptism into death in order that, just as Christ was raised from the dead through the glory of the Father, we too may live a new life.


6:5 만일 우리가 그의 죽으심과 같은 모양으로 연합한 자가 되었으면 또한 그의 부활과 같은 모양으로 연합한 자도 되리라

6:6 우리가 알거니와 우리의 옛 사람이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것은 죄의 몸이 죽어 다시는 우리가 죄에게 종 노릇 하지 아니하려 함이니

6:7 이는 죽은 자가 죄에서 벗어나 의롭다 하심을 얻었음이라

5 For if we have been united with him in a death like his, we will certainly also be united with him in a resurrection like his. 6 For we know that our old self was crucified with him so that the body ruled by sin might be done away with, that we should no longer be slaves to sin— 7 because anyone who has died has been set free from sin.


6:8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으면 또한 그와 함께 살 줄을 믿노니

6:9 이는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으매 다시 죽지 아니하시고 사망이 다시 그를 주장하지 못할 줄을 앎이로라

6:10 그가 죽으심은 죄에 대하여 단번에 죽으심이요 그가 살아 계심은 하나님께 대하여 살아 계심이니

8 Now if we died with Christ, we believe that we will also live with him. 9 For we know that since Christ was raised from the dead, he cannot die again; death no longer has mastery over him. 10 The death he died, he died to sin once for all; but the life he lives, he lives to God.


6:11 이와 같이 너희도 너희 자신을 죄에 대하여는 죽은 자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께 대하여는 살아 있는 자로 여길지어다

11 In the same way, count yourselves dead to sin but alive to God in Christ Jesus. 



사도 바울은 이신칭의, 곧 구원을 위해서는 우리가 아무것도 할 수 없으며,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는다 주장합니다. 이러한 바울의 주장은 기독교는 참 좋겠다! 평생 하고 싶은 대로 막 살다가 죽기 얼마 전에 회개만 하면 구원받는다며? 라는 대적자들의 논리적 공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들의 질문의 의도(도덕적인 책임을 뒤로 하고, 은혜만 강조하며 마음대로 살고 회개하면 된다는 식으로 교회나 성도들을 보는 시각)를 알기에 맞다고 하기도 그렇고, 아니라고 하자니 그들의 말이 교리적으로는 사실입니다. 은혜를 강조하는 것에서 좀더 나가면 영지주의 이단과 같은 도덕률 폐기론자antinomians가 됩니다. 이미 천국을 약속 받았기에 더 이상 자신들에게는 도덕법 따위는 필요 없다는 주장입니다.

옥한흠 목사님은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롬 5:20)라는 말씀이 있는가 하면, “죄의 삯은 사망이요.”(롬 6:23)라는 준엄하게 경고하시는 말씀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균형 있게 이해할 줄 아는 감각을 소유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만끽한다는 것은 거룩과 경건을 버리고 마음대로 사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교회에 필요한 것은 사랑과 공의의 균형입니다. 이것은 말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해석과도 연결이 됩니다. 예를 들자면 동성애자나 노숙자, 범죄자들에 대한 우리의 성경적인 태도가 무엇이어야 하는가? 또한 배우자에 대한 태도나, 자녀들에 대한 태도를 어떻게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와 연결됩니다. 결국 죄와 은혜에 대한 이해는 실제로 우리의 삶과 행동에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The Apostle Paul proclaims justification by faith, that is, that we can do nothing for our salvation, but are saved only by the grace of God. Such a claim of Paul can provoke a logical attack from opponents: “Christianity must be great! You can live however you want your whole life, and then right before you die, just repent and you’ll be saved, right?”

Since Paul already knows the intention behind such questions (that they ignore moral responsibility, overemphasize grace, and portray the church or believers as people who live however they wish and repent at the end), he cannot simply say “yes.” Yet if he says “no,” it is also difficult, because in a doctrinal sense their words contain some truth. If one pushes the emphasis on grace too far, it becomes like the Gnostic heresy of antinomianism—the denial of moral law—claiming that since heaven is already guaranteed, they no longer need any moral law.

Pastor Ok Han-hum pointed out: On one hand, Scripture says, “Where sin increased, grace increased all the more” (Rom. 5:20). But on the other hand, it solemnly warns, “The wages of sin is death” (Rom. 6:23). Therefore, he said, we must possess the spiritual discernment to understand God’s Word in balance.

To enjoy the love and grace of God does not mean abandoning holiness and godliness to live as we please. What the church needs today is balance between love and justice. This is directly tied to a correc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d. For example, what should our biblical attitude be toward homosexuals, the homeless, or criminals? What attitude should we have toward our spouse or children? Our understanding of sin and grace is closely connected to our real life and actions.


ree

죄에 대해 죽은 자로 여기라 (1~4절)

사도는 대적자들의 이러한 공격을 이미 파악하고 있습니다.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치니까 더욱 죄를 행하자! 라는 주장에 단호하게 그럴 수 없다! 고 대답합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존재 자체가 이미 죄에 대하여 죽은 자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죄에 대해서 죽었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몇몇 주석가들은 죽은 자가 죄를 지을 수 없다. 너희는 죽은 자다… 죽은 자가 사물에 무감각한 것처럼…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을 죄와 관련된 모든 것에서 시체 마냥 죽어 있으며… 라고 해석합니다.

그런데 실상은 어떻습니까? 죽기는 커녕 팔팔 살아서 어제도, 오늘도 죄를 지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죄에 대해서 죽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아직 죄에 대해서 죽지 않은 것인가? 그러면 나의 구원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 다음 몇 가지 이유로 앞서 소개한 주석가들의 해석이 문제가 있음을 말하고자 합니다.

첫째로 예수님도 죄에 대해서 단번에 죽으셨다고 말합니다(10).

죄에 대해서 시체처럼 반응하지 않는 것이 죄에 대한 죽음이라면, 예수님은 처음부터 죄에 대해서 반응하지 않으신 분입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이 죄에 대해서 단번에 죽었다는 의미는 분명히 다른 의미입니다.

둘째로 바울의 가르침과 충돌합니다(12, 13).

주석가들이 말하는 것처럼 이미 죄에 대해서 우리가 죽은 몸이라면, 더 이상 죄의 유혹과 투쟁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바울은 죄와 투쟁하라고 권면합니다.

셋째로 바울의 경험과 우리의 경험에 반합니다(롬 7:21~25).

우리의 경험은 우리가 죄에 대하여 죽기는 커녕 더 살아서 날뛰는 것을 경험합니다. 그렇다면 아직 내가 죄에 대해서 죽인 않은 것인가? 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바울 역시도 그것이 죽을 만큼 괴로운 문제였습니다(롬 7:21~25).

그렇다면 죄에 대해서 죽는다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죄에 대한 삯을 단번에 치르고, 더 이상 죄와 관계없이 결별한 사이가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예수님이 죄에 대해서 죽었다는 의미는 죄의 값을 단번에 다 지불했다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마치 에덴에서 아담과 하와가 하나님에 대해서 죽었던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아담과 하와는 범죄 후 900년을 더 살았지만, 사실은 선악과를 먹는 순간 하나님에 대해서 죽었던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 역시 죄에 대해서 죽을 수 있습니까? 다시 말해서 죄 값을 낼 수 있습니까?

예수와 합하여 세례를 받음으로, 곧 그의 죽으심과 합하여 세례를 받음으로 죄에 대하여는 죽은 존재가 된 것입니다. 여기서 세례는 성령세례(곧 믿음)와 그것을 형식화(고백)하는 물세례를 통합한 의미입니다.  

예수님은 죄의 값을 치르는 십자가 사역에 대해서 내가 받는 세례(막 10:38)라고 표현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믿는 믿음으로 우리 역시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서 죽는(세례 받는) 것입니다. 더 이상 죄에 대해서 빚쟁이처럼 살 필요가 없습니다.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서 죽음으로 이제 죄와의 관계가 죽었습니다. 죄에 대해서 죽은 자인 것입니다. 더 이상 죄의 종이 아닙니다!

 

Consider Yourselves Dead to Sin (Romans 6:1–4)

Paul already foresaw such attacks from opponents. To their claim—“Since grace abounds where sin increases, let us sin all the more!”—he answers firmly: “By no means!” Why? Because our very existence is already dead to sin. But what does it mean to be dead to sin?

Some commentators explain: “A dead person cannot sin. You are dead… just as the dead are unresponsive, so you are unresponsive to sin. Christians are as lifeless corpses when it comes to anything related to sin.”

But in reality, is that so? Far from being dead, we are alive and well—we sinned yesterday, and we sinned again today. So what does it really mean to be dead to sin? Am I not dead to sin yet? And if so, what happens to my salvation? For these reasons, I want to show why the commentators’ interpretation is problematic.

First, Scripture says that Jesus also died to sin once for all (v.10).If “death to sin” means total insensitivity like a corpse, then Jesus—who never responded to sin in the first place—could not have died to sin. Therefore, the meaning must be different: He died to sin in the sense of paying sin’s penalty once for all.

Second, it conflicts with Paul’s teaching (vv.12–13).If we were already corpses to sin, with no struggle, then there would be no need for Paul to exhort us to resist temptation and fight against sin.

Third, it contradicts both Paul’s experience and ours (Rom. 7:21–25).In reality, we often feel more alive to sin than dead. Does this mean we are not dead to sin? Not at all—Paul himself wrestled painfully with this same reality (Rom. 7:21–25).

So what does it mean to die to sin?It means that the penalty for sin has been fully paid, and the relationship with sin has been severed once for all.

When the Bible says Jesus died to sin, it means He paid the wages of sin in full. This is similar to how Adam and Eve, when they ate the forbidden fruit, immediately died to God, even though they lived for 900 more years. From the moment they sinned, they were dead toward God.

So how can we die to sin? How can we pay sin’s penalty?By being baptized into Jesus—united with His death through baptism—we become those who have died to sin. Here, baptism carries both the meaning of Spirit baptism (faith) and water baptism (the outward confession of that faith).

Jesus referred to His cross, where He paid for sin, as the “baptism” He must undergo (Mark 10:38). By faith, we are baptized with Him—dying with Him on the cross. Therefore, we no longer live like debtors to sin. By dying with Christ, our relationship with sin has been broken. We are dead to sin. We are no longer slaves to sin!


ree

예수 안에서 하나님에 대해 살아 있는 자로 여기라 (5~11절)

죄에 대한 죽음의 중요함은 부활과 연결됩니다. 죽음 없이는 부활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죽는 것은 너무 중요합니다. 이것은 죄와의 관계를 끊고(죽고), 다시는 죄에게 종 노릇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6). 노예였던 자가 죽으면 그 모든 구속에서 벗어나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죽었던 자가 이제는 믿음 안에서 자유의 몸으로 부활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살아나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의 주권이 사망에서 예수께로 옮겨 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 이상 죄의 종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종입니다. 예수님의 부활은 그 동안 전인류를 장악했던 사망의 권세를 깨뜨리는 사건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이제 사망은 더 이상 예수님 앞에서 힘을 쓸 수가 없습니다. 사망의 권세 밑에서 종 노릇하는 것이 아니라, 사망을 이기신 예수의 권세 아래 종노릇 하는 것입니다.  

사도 바울은 다시 한번 우리의 정체성에 대하여 알려줍니다. 먼저는 죄에 대하여 죽은 자입니다. 죄와 분리되어 죄를 지을 수 없는 상태로 여기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죄에 대하여 죽은 자인 것입니다. 더 이상 죄의 종이 아닙니다. 동시에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께 대하여는 살아 있는 자입니다. 여길지어다 는 현재명령형으로 계속 그렇게 생각하라는 것입니다. 스스로를 계속하여 하나님 앞에서 살아있는 것으로 여기라는 것입니다. 죄에 대해서는 죽은 자로, 하나님께 대하여 살아 있는 자로 여긴다면… 우리의 삶이 어때야 하겠습니까? 이것이 바로 우리의 성화의 근거요, 은혜로 구원을 받지만 세상 사람들보다 훨씬 더 선하고 아름답게 살아야 할 이유입니다. 이것이 죄에 대해서 죽은 자요, 하나님에 대해서 산 자의 삶입니다.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함께 산다는 의미입니다.


Consider Yourselves Alive to God in Christ Jesus (Romans 6:5–11)

The significance of dying to sin is tied to resurrection. Without death, there is no resurrection. This is why our dying is so important: it means severing our relationship with sin (death) and no longer being slaves to it (v.6). When a slave dies, he is freed from all bondage.

And just as one who has died is freed, so we rise again through faith into new life. That is what it means to live with Christ. It means our allegiance has shifted from death to Jesus. We are no longer slaves of sin but slaves of Christ. The resurrection of Jesus was the event that shattered the power of death, which had ruled all humanity. Therefore, death has no power over Christ, and we too no longer serve under the dominion of death, but under the authority of the One who conquered it.

Paul once again reminds us of our identity. First, we are dead to sin. We are to regard ourselves as separated from sin, unable to live under its mastery. We are no longer slaves of sin. At the same time, we are alive to God in Christ Jesus. The command “consider” is in the present tense—keep on reckoning yourselves this way. Continue to see yourselves as alive before God.

If we regard ourselves dead to sin and alive to God, what kind of life should we live? This is the very foundation of our sanctification. Though we are saved by grace, we should live lives more beautiful and righteous than those of the world. This is the life of one who is dead to sin and alive to God.

It means dying with Christ, and living with Christ.


 
 
 

댓글


한사랑 transe logo vertical white

1-253-642-7004

Contact@SeattleHansarang.com

33506 10th PL. S.

Federal Way, Washington 98003

  • Youtube
  • Facebook
  • Instagram

Question/Suggestion?

Thanks for submitting!

©2020 by Seattle Hansarang Church Media Tea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