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 이 때에 마리아가 일어나 빨리 산골로 가서 유대 한 동네에 이르러
1:40 사가랴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문안하니
1:41 엘리사벳이 마리아의 문안함을 들으매 아이가 복중에서 뛰노는지라 엘리사벳이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
1:42 큰 소리로 불러 이르되 여자 중에 네가 복이 있으며 네 태중의 아이도 복이 있도다
1:43 내 주의 어머니가 내게 나아오니 이 어찌 된 일인가
1:44 보라 네 문안하는 소리가 내 귀에 들릴 때에 아이가 내 복중에서 기쁨으로 뛰놀았도다
1:45 주께서 하신 말씀이 반드시 이루어지리라고 믿은 그 여자에게 복이 있도다
[Mary Visits Elizabeth]
39 At that time Mary got ready and hurried to a town in the hill country of Judea, 40 where she entered Zechariah’s home and greeted Elizabeth. 41 When Elizabeth heard Mary’s greeting, the baby leaped in her womb, and Elizabeth was filled with the Holy Spirit. 42 In a loud voice she exclaimed: “Blessed are you among women, and blessed is the child you will bear! 43 But why am I so favored, that the mother of my Lord should come to me? 44 As soon as the sound of your greeting reached my ears, the baby in my womb leaped for joy. 45 Blessed is she who has believed that the Lord would fulfill his promises to her!”
1:46 마리아가 이르되 내 영혼이 주를 찬양하며
1:47 내 마음이 하나님 내 구주를 기뻐하였음은
1:48 그의 여종의 비천함을 돌보셨음이라 보라 이제 후로는 만세에 나를 복이 있다 일컬으리로다
1:49 능하신 이가 큰 일을 내게 행하셨으니 그 이름이 거룩하시며
1:50 긍휼하심이 두려워하는 자에게 대대로 이르는도다
1:51 그의 팔로 힘을 보이사 마음의 생각이 교만한 자들을 흩으셨고
1:52 권세있는 자를 그 위에서 내리치셨으며 비천한 자를 높이셨고
1:53 주리는 자를 좋은 것으로 배불리셨으며 부자는 빈 손으로 보내셨도다
1:54 그 종 이스라엘을 도우사 긍휼히 여기시고 기억하시되
1:55 우리 조상에게 말씀하신 것과 같이 아브라함과 및 그 자손에게 영원히 하시리로다 하니라
[Mary’s Song]
46 And Mary said:
“My soul glorifies the Lord
47 and my spirit rejoices in God my Savior,
48 for he has been mindful
of the humble state of his servant.
From now on all generations will call me blessed,
49 for the Mighty One has done great things for me—
holy is his name.
50 His mercy extends to those who fear him,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51 He has performed mighty deeds with his arm;
he has scattered those who are proud in their inmost thoughts.
52 He has brought down rulers from their thrones
but has lifted up the humble.
53 He has filled the hungry with good things
but has sent the rich away empty.
54 He has helped his servant Israel,
remembering to be merciful
55 to Abraham and his descendants forever,
just as he promised our ancestors.”
1:56 마리아가 석 달쯤 함께 있다가 집으로 돌아가니라
56 Mary stayed with Elizabeth for about three months and then returned home.
한국인들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라고 인사합니다. 한자 福을 풀어보면 보일 시(示) 한 일(一) 입 구(口) 밭 전(田) 이 됩니다. 이 뜻은 한 식구에게 충분히 먹을 밭이 생긴다 입니다. 따라서 복은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음 의 다른 말이며,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는 상대방이 그리 되길 바라는 미담이라 하겠습니다. 그런데 우리에게 친숙한 이 새해 인사를 사용한 것은 사실 몇 십 년 밖에는 안 된다고 합니다. 이전에 새해에는 지금은 거의 사용치 않는 과세 잘 하셨습니까 또는 과세 안녕 하셨는지요 라는 인사로 새해를 열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과세(過歲)의 의미는 설을 쇠다 입니다. 한마디로 제사 잘 지내셨어요? 라는 인사가 될 것입니다.
복(福) 자에서도 보일 시(示)는 신을 의미하거나 제사를 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국 복은 신이나 제사 지내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세상은 그 복을 대부분은 먹고 사는 것에 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 기독교인들 역시 먹고 사는 문제에 있어서 하나님의 복을 구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추구하는 복은 먹고 사는 것에만 머물지는 않습니다. 그것들과 더불어 좀 더 고차원적인 복을 구합니다.
대표적으로 시편 1편이 우리에게 진정한 복이 무엇인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Koreans greet each other by saying "Saehae Bok Mani Badeuseyo" during the New Year. When we break down the Chinese character for "Bok"(福) or blessing, it consists of (示) "to show", (一) "one", (口) "mouth", and (田) "field". This combination conveys the idea of having a field that provides enough food for a family. Thus, "Bok" symbolizes the state of having no hardships in living. The phrase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is a kind wish for others to attain such a blessing.
Interestingly, this familiar New Year greeting has only been in use for a few decades. Previously, during the New Year, people would greet each other with phrases like "did you do your GwaSe well?" or "how was your GwaSe?", which are now rarely used. The term "GwaSe" (過歲) means "to pass the New Year," essentially equivalent to asking, "Did you perform the ancestral rites well?"
In the character "Bok" (福), the component "to show" (示) represents gods or the act of performing rituals. This connection implies that blessings are not unrelated to the divine or to ancestral rites.
Furthermore, it is evident that the concept of "Bok" in this world is often limited to matters of sustenance and livelihood. As Christians, we also seek God's blessings in matters of daily life. However, the blessings we pursue extend beyond mere survival. Along with physical needs, we aspire for higher, more spiritual blessings.
For instance, Psalm 1 teaches us what true blessings really are.
복 있다 그 사람 (39~56절)
오늘 본문에는 복 있는 사람들이 등장합니다. 이미 임신한지 6개월이 된 엘리사벳을 보러 온 마리아와 그녀들의 배속에 있는 아기들입니다. 천사 가브리엘의 수태고지를 받은 마리아는 믿음의 답변을 한 후에는 자신의 믿음에 더욱 확신을 얻고자 바로 엘리사벳의 임신이 사실인지를 확인하러 유대로 달려 온 것입니다.
마리아가 엘리사벳에게 인사하는 순간 그녀의 배속에 있는 아기 요한이 기뻐합니다.
그리고 엘리사벳은 성령이 충만하여 마리아와 배속에 아기예수에게 복이 있다고 축복합니다.
그녀의 성령충만한 축복의 노래에서 우리는 진정한 하나님의 복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Blessed Is the One (Luke 1:39–56)
Today's passage introduces us to those who are blessed. We see Mary, who visits Elizabeth—already six months pregnant—and the babies within their wombs. After receiving the announcement of her miraculous conception from the angel Gabriel, Mary, in faith, promptly responds and sets out for Judah. She seeks to confirm the truth of Elizabeth's pregnancy and to strengthen her own faith.
The moment Mary greets Elizabeth, the baby in Elizabeth's womb—John—leaps for joy.
Filled with the Holy Spirit, Elizabeth blesses Mary and the baby Jesus in her womb.
Through Elizabeth's Spirit-filled song of blessing, we gain insight into the true nature of God's blessings.
첫째로 복 있는 사람은 성령충만한 사람(41)입니다.
엘리사벳은 성령이 충만하여 마리아와 아기 예수를 축복했습니다.
성령은 하나님의 영으로 하나님의 생각을 알게 합니다. 사도 바울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사람의 일을 사람의 속에 있는 영 외에 누가 알리요
이와 같이 하나님의 일도 하나님의 영 외에는 아무도 알지 못하느니라 (고전 2:11)
그러므로 성령충만한 사람은 서로 통하는 것이 있습니다. 하나님의 마음과 생각을 함께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성령충만은 마치 불씨가 옮겨 붙듯이 서로 옮겨 붙습니다.
그래서 같이 모여서 예배하고, 기도할 때 더욱 성령의 역사가 넘쳐나는 것입니다.
둘째로 복 있는 사람은 기쁨이 충만한 사람(44)입니다.
엘리사벳은 물론이고 배속에 있는 아기 요한이 기쁨으로 발길질을 합니다.
축복을 듣는 마리아 역시 기쁨이 넘치는 장면입니다. 이처럼 성령의 충만은 반드시 기쁨을 줍니다. 성령의 9가지 열매 중에 사랑에 이어서 희락이 두 번째로 등장합니다.
우리 기독교는 기쁨의 종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령충만한 사람은 반드시 삶의 기쁨이 넘칩니다.
First, a blessed person is someon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v. 41).
Elizabeth, filled with the Holy Spirit, blessed Mary and the baby Jesus.
The Holy Spirit, being the Spirit of God, reveals God's thoughts to us.
As the Apostle Paul says:
"For who knows a person's thoughts except their own spirit within them? In the same way, no one knows the thoughts of God except the Spirit of God" (1 Corinthians 2:11).
Therefore, those who ar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share a unique connection. They can feel and understand God's heart and mind together. Moreover, the fullness of the Spirit can spread from one person to another, much like a flame igniting another.
This is wh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tensifies when believers gather to worship and pray together.
Second, a blessed person is someone filled with joy (v. 44).
Not only Elizabeth but also the baby John in her womb rejoiced, leaping with joy. Likewise, Mary, hearing the blessing, is filled with joy.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always brings joy. Among the nine fruits of the Spirit, joy follows closely after love as the second.
Christianity can be described as a faith of joy. A person filled with the Holy Spirit will naturally have a life overflowing with joy.
셋째로 복 있는 사람은 믿음이 충만한 사람(45)입니다.
마리아는 가브리엘이 전해준 하나님의 말씀에 믿음으로 순종했습니다. 이는 그녀가 이미 성령의 충만함을 입었다는 증거입니다. 마리아가 이런 믿음을 가질 수 있었던 것도 결국 성령의 은혜입니다.
성령충만은 믿음충만이고, 믿음이 충만한 사람은 곧 성령이 충만한 사람입니다. 이것이 진짜 복입니다.
넷째로 복 있는 사람은 예수로 하나되는 사람(43)입니다.
엘리사벳은 마리아를 내 주의 어머니(43a) 라고 부릅니다. 바로 마리아의 배속에 잉태된 아기 예수를 느끼고, 주님이라고 부른 것입니다. 이처럼 성령충만한 사람들은 예수로 대동단결하는 사람들입니다.
취미 하나만 같아도 사람들은 서로에게 너그러워지고 친숙해집니다. 그런데 같은 구주를 섬기는 사람들이 어찌 하나가 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오히려 하나되지 않는 것이 이상할 정도입니다.
우리가 이 새벽에 왜 여기 모여있습니까? 바로 예수 그리스도로 하나가 된 것 아니겠습니까?
마리아가 예수를 잉태함으로 복 있는 사람이 되었다면, 예수를 구주로 믿는 엘리사벳이나 그 예수를 예배하기 위해 모인 우리들 역시도 동일하게 복 있는 사람들인 것입니다.
Third, a blessed person is someone filled with faith (v. 45).
Mary responded to the message delivered by Gabriel with faith and obedience, demonstrating that she was already filled with the Holy Spirit. Her faith itself was ultimately a gift of grace from the Spirit.
Being filled with the Holy Spirit is inseparable from being filled with faith. A person overflowing with faith is also full of the Spirit, and this is the essence of true blessing.
Fourth, a blessed person is someone who is united in Christ (v. 43).
Elizabeth addresses Mary as "the mother of my Lord" (v. 43a), recognizing the presence of baby Jesus in her womb and acknowledging Him as Lord. Similarly, those filled with the Spirit are united through Jesus.
Even a shared hobby can make people more understanding and close to one another. How much more, then, should those who serve the same Savior be united? In fact, it would be strange not to be united in Him.
Why are we gathered here at this early hour? Is it not because we are united in Jesus Christ?
If Mary was blessed because she bore Jesus, then Elizabeth, who believed in Jesus as her Lord, and we who gather to worship Him, are equally blessed.
마리아의 찬가 (46~56절)
나머지 본문은 그 유명한 마리아의 찬가 The Magnificat 입니다. 라틴어 매그니피캇은 찬양하다 라는 의미입니다. 우리는 마리아의 모습에서 복 있는 사람의 마지막 특징을 발견합니다.
마지막으로 복 있는 사람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사람입니다.
마리아의 찬양은 구약성경에서 베푸신 하나님의 구원을 배경으로 합니다.
주목해야 할 것은 마리아는 이미 확정적인 승리의 찬양을 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녀는 과거형으로 노래합니다. 이미 하나님께서 원수를 물리치셨고, 십자가 승리를 주신 것입니다.
찬양은 곡조 있는 기도입니다. 그러므로 믿음을 가지고 불러야 합니다.
그냥 대충 입술로만 부르는 것은 진정한 찬양이 될 수 없습니다.
예전에는 입에서 부정적이고, 악한 말, 남을 험담하는 말들이 쏟아져 나왔다면 성령이 충만한 사람은 그 입에서 찬양이 흘러 나옵니다. 하루 종일 입에서 찬양을 흥얼거립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그 입에서 나오는 찬양을 들으시고, 영광을 받으시며, 그의 곡조 있는 기도에 응답하십니다. 이것이 찬양의 능력입니다.
Mary’s Song of Praise (Luke 1:46–56)
The remaining passage contains the famous Magnificat, Mary’s song of praise. The term Magnificat comes from the Latin word meaning "to magnify" or "to praise." Through Mary’s response, we discover the final characteristic of a truly blessed person.
A blessed person is one who praises God.
Mary’s song is rooted in the salvation that God has already accomplished, as recorded in the Old Testament.
What is remarkable is that Mary sings a song of victory as if it has already been completed. She uses the past tense, proclaiming that God has already defeated the enemy and secured victory through the cross.
Praise is a melody-filled prayer, and it must be sung with faith. Half-heartedly mouthing the words is not genuine praise.
If, in the past, negative, harmful, or gossip-filled words came out of your mouth, the on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now speaks words of praise. Songs of worship and gratitude flow naturally throughout the day.
God hears these praises, receives glory from them, and responds to the melody-filled prayers. This is the power of praise.
우리는 하나님의 복을 받은 존재들입니다.
그러나 그 복이 눈에 보이는 물질적인 것만이 아닌, 근본적인 우리 영혼의 복이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성령충만하여 믿음이 더욱 강력해지며, 예수로 말미암아 대동단결하고, 기쁨이 넘치는 찬양을 하나님께 올려 드리는 한사랑 성도 되시기를 바랍니다. 그럴 때 우리는 진정 복 있는 사람인 것입니다.
우리는 모두 이미 복 있는 사람임을 믿습니다!
We are recipients of God’s blessings.
However, we must recognize that these blessings are not limited to visible, material things—they are the profound blessings of our souls.
May we become a community filled with the Holy Spirit, growing stronger in faith, united through Jesus, overflowing with joy, and offering heartfelt praises to God. When we live this way, we are truly blessed.
Let us believe that we are all already bless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