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30925 [새벽묵상] 은혜에 이르지 못하는 자가 없도록 | So that No One Falls Short of the Grace (히/Heb 12:12~17)



12:12 그러므로 피곤한 손과 연약한 무릎을 일으켜 세우고

12 Therefore, strengthen your feeble arms and weak knees.

12:13 너희 발을 위하여 곧은 길을 만들어 저는 다리로 하여금 어그러지지 않고 고침을 받게 하라

13 “Make level paths for your feet,” so that the lame may not be disabled, but rather healed.

12:14 모든 사람과 더불어 화평함과 거룩함을 따르라 이것이 없이는 아무도 주를 보지 못하리라

14 Make every effort to live in peace with everyone and to be holy; without holiness no one will see the Lord.

12:15 너희는 하나님의 은혜에 이르지 못하는 자가 없도록 하고 또 쓴 뿌리가 나서 괴롭게 하여 많은 사람이 이로 말미암아 더럽게 되지 않게 하며

15 See to it that no one falls short of the grace of God and that no bitter root grows up to cause trouble and defile many.

12:16 음행하는 자와 혹 한 그릇 음식을 위하여 장자의 명분을 판 에서와 같이 망령된 자가 없도록 살피라

16 See that no one is sexually immoral, or is godless like Esau, who for a single meal sold his inheritance rights as the oldest son.

12:17 너희가 아는 바와 같이 그가 그 후에 축복을 이어받으려고 눈물을 흘리며 구하되 버린 바가 되어 회개할 기회를 얻지 못하였느니라

17 Afterward, as you know, when he wanted to inherit this blessing, he was rejected. Even though he sought the blessing with tears, he could not change what he had done.


 

히브리서 기자는 어제 본문에서 인내로서 믿음의 주요 온전케 하신 예수만 바라보며 나갈 때, 징계는 결코 나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징계는 하나님 자녀임에 대한 확증이고, 그 결과는 의와 평강의 달콤한 열매를 가져온다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오늘 본문은 그러므로 라고 시작합니다. 고난이나 징계가 결코 성도들에게 나쁜 것이 아니고 오히려 유익한 것이기에, 성도들은 고난 중에도 힘을 내서 해야 할 일살펴야 할 일들이 있습니다.


In the previous passage, the author of Hebrews emphasized the need to endure and to keep one's gaze fixed solely on Jesus, who perfects faith through endurance. It was stated that discipline is by no means a negative thing; instead, it serves as confirmation of being God's children and leads to the sweet fruits of righteousness and peace.

Continuing on to today's passage, it begins with the phrase "Therefore." This signifies that hardships and discipline are not detrimental to saints. Instead, they are beneficial, and as a result, saints should find strength even in times of trouble to carry out what needs to be done and to examine their actions.



해야 할 것 (13~14절)

먼저 해야 할 일은 세우고, 고침을 받는 것입니다(12).

이것은 이사야 선지자의 글을 인용한 말입니다.


너희는 약한 손을 강하게 하며 떨리는 무릎을 굳게 하며 (사 35:3)


피곤한 손, 연약한 무릎은 아무 쓸모 없는 절망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어떻게 연약한 무릎을 일으켜 세우고 피곤한 손 고침을 받을 수 있을까요?

마태복음 12장과 마가복음 3장을 보면 손 마른 자 이야기가 나옵니다.

예수님은 손 마른 자에게 네 손을 내밀라! 말씀하셨고, 말랐던 손이 고침을 받게 됩니다.

성전 미문의 앉은뱅이도 마찬가지입니다.

베드로와 요한이 은과 금은 내게 없거니와 내게 있는 이것을 네게 주노니,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일어나 걸으라(행 3:6) 말했고, 앉은뱅이는 그 시간부로 뛰고 걷고, 하나님을 찬양했습니다.

오직 예수 이름으로 가능한 것입니다.

너희 발을 위하여 곧은길을 만들어 저는 다리로 하여금 어그러지지 않고 고침을 받게 하라(13)의 의미도 동일합니다. 이 구절은 네 발이 행할 길을 평탄하게 하며 네 모든 길을 든든히 하라(잠 4:26)를 인용한 것으로, 정확한 목표의식, 곧 믿음의 주요 온전케 하시는 이 예수를 바라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그러진다는 것은 믿음의 주 예수가 아닌 다른 곳을 바라보다가 삐끗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마치 골반뼈에서 허벅지 관절이 빠져버리는 것과 같은 상황입니다.

믿음을 삐끗하는 순간, 모든 삶이 어긋나는 것입니다.


What Should Be Done (Verses 13-14):

Firstly, what needs to be done is to stand firm and accept correction (verse 12).

This is a reference to the words of the prophet Isaiah:


"You will strengthen weak hands and steady shaking knees" (Isaiah 35:3).


Weak hands and trembling knees symbolize a state of despair and helplessness. How can weak knees be strengthened, and tired hands be rejuvenated? In Matthew 12 and Mark 3, there are stories of a man with a withered hand whom Jesus healed. Jesus said to him, "Stretch out your hand," and the withered hand was restored. Similarly, the man at the Beautiful Gate in the temple was healed when Peter and John said, "In the name of Jesus Christ of Nazareth, rise up and walk" (Acts 3:6). It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name of Jesus. "Make straight paths for your feet so that the lame may not be disabled but rather healed" (verse 13) carries a similar meaning. This verse quotes Proverbs 4:26, emphasizing the need for a clear and focused goal, which is looking to Jesus, the One who perfects faith. Deviating from this focus is like dislocating a joint, and it disrupts one's life.



두번째로 해야 하는 것은 모든 사람과 더불어 화평과 거룩을 따르는 것입니다(14)

우리가 화평해야 하는데 그 대상이 모든 사람이라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모든 사람이란 믿는 모든 자를 의미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불신자까지 포함한 모든 사람일까요?

일차적으로는 제한적인 조건인 믿음 안에서 모든 사람을 의미합니다.

물론 이것은 얼마든지 믿지 않는 불신자까지 확장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인들은 먼저 믿는 자들과 화평하고, 이어서 신앙의 순수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불신자들과 화평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이 마음을 모아 따라야 하는 것은 바로 이 화평입니다.

독선적이고 호전적인 성격으로 그리스도의 덕을 세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예수님은 팔복 가운데 화평이라는 요소를 말씀하셨습니다.


화평하게 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임이요 (마 5:9)


The second thing that should be done is to pursue peace and holiness along with all people (verse 14). The passage states that we should seek peace with everyone. Does "everyone" refer to all believers, or does it include non-believers as well?


Primarily, it refers to all people within the context of faith. However, it can certainly be extended to include non-believers as well, as long as it doesn't compromise the purity of faith. Christians are called to first seek peace among fellow believers and then, in a manner consistent with the purity of their faith, seek peace with non-believers.


What Christians need to emphasize is the pursuit of peace. Building the virtues of Christ with a judgmental and hostile attitude is not possible. Jesus, in the Beatitude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eacemakers:


"Blessed are the peacemakers, for they shall be called sons of God." (Matthew 5:9)



다음으로 따라야 하는 것은 거룩함ἁγιασμόν입니다. 거룩을 의미하는 헬라어 하기아스몬은 거룩해진 상태를 가리키기 보다는 거룩해져 가는 과정인 성화를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화평함과 거룩함은 동전의 양면과 같습니다.

화평이 없는 거룩은 독선이며, 거룩이 없는 화평은 불신 세계의 단결에 불과합니다.

거룩이라는 조건이 불신자 모두와 화평이 불가능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성도들이 이렇게 살아야 하는 이유는 그래야 믿지 않는 사람들이 주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 (요 13:35)

어느 때나 하나님을 본 사람이 없으되 만일 우리가 서로 사랑하면

하나님이 우리 안에 거하시고 그의 사랑이 우리 안에 온전히 이루어지느니라 (요일 4:12)


The next thing to follow is holiness (ἁγιασμός). The Greek word for holiness, "ἁγιασμός," doesn't merely signify a state of being holy but rather the process of becoming holy. Peace and holiness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Holiness without peace can lead to self-righteousness, while peace without holiness can result in compromising with the unbelieving world. The requirement of holiness makes it impossible for Christians to pursue peace with non-believers in a way that would compromise their faith.


The reason why believers should live this way is that it allows unbelievers to see Christ in them. As Jesus said:


"By this, all people will know that you are my disciples if you have love for one another." (John 13:35)

At no point has anyone seen God, but if we love one another, God abides in us, and His love is perfected in us (1 John 4:12).



살펴야 할 것 (15~17절)

15~16절 개역 성경은 너희는 돌아보아… 두려워하고… 두려워하고… 두려워하라(15, 16)의 반복입니다.

하지만 원어의 의미는 두려워하라 보다는 살피라(16)에 해당하는 ἐπισκοποῦντες에피스코푼테스입니다.

이것은 계속 지켜보고 감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목회자가 목회로서 성도를 살피는 의미가 아닌 성도 개개인간의 관심과 사랑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그러니까 서로서로 관심을 가지고 설펴 보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지켜보아야 할까요?

먼저는 하나님의 은혜에 이르지 못하는 자가 없는지를 살펴야 합니다(15a).

스스로 고집을 부려 하나님의 은혜를 거부하는 잘못된 선택을 하는 자가 없도록 살펴야 합니다.

또한 믿음이 연약한 자들은 함께 도와서 이끌어 주어야 합니다.

다음은 쓴 뿌리가 나서 괴롭게 하여 많은 사람이 더럽게 되는 일이 없도록 살펴야 합니다(15b).


Things to Examine (Verses 15-17)

Verses 15 and 16 in the Korean text contain repetitive phrases like "look carefully" and "watch out," but in the original Greek, the meaning is more about overseeing or supervising, indicated by the word "ἐπισκοποῦντες" (episkopountes). This emphasizes the idea of continuously observing and looking out for one another. It's not about the pastor overseeing the congregation in a pastoral sense but about believers mutually caring for and watching over each other. So, what should they be observing or overseeing?


Firstly, they should ensure that no one falls short of God's grace (verse 15a). Believers should be watchful to prevent anyone from stubbornly rejecting God's grace by making wrong choices.

Secondly, they should assist and lead those whose faith is weak (verse 15b).



이것은 70인역 신명기 29:17절 너희 중에 쓴 뿌리가 나서 괴롭게 하고 쓴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을 두려워하라는 말씀을 인용한 것입니다.

쓴 뿌리는 신명기에서는 우상숭배를, 히브리서는 이단사상, 교회를 어지럽히는 것들을 의미합니다.

개인적으로 현대교회에서 많은 성도들이 삶에서 가지게 된 마음의 상처들이 쓴 뿌리가 되어 공동체를 어지럽게 하는 요인이 되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그래서 서로가 서로를 살피고 화평과 거룩을 이루어야 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음행 하는 자와 망령된 자가 없는지를 살펴야 합니다(16).

이것은 음란을 추구하는 자와 눈에 보여지는 물질의 세계만을 탐닉하는 자를 의미합니다.

세상에 보이는 것만 탐닉하는 자의 최후는 에서와 같습니다. 나중에 후회해도 너무 늦을 것입니다.

신앙생활은 오직 예수만 바라보며 끊임없이 화평과 거룩을 추구하고, 서로에게 관심을 가지고 서로를 살피는 것입니다. 그렇게 할 때 우리의 영적인 침체는 물러갑니다. 그렇게 할 때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은혜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Next, they should be attentive to prevent any "bitter root" from growing up and causing trouble, defiling many (verse 15c). This reference to a bitter root is an allusion to Deuteronomy 29:18, where a root that produces poisonous and bitter fruit is associated with idolatry. In the context of Hebrews, it might represent false teachings or divisive influences that can harm the community. In contemporary Christianity, personal wounds and hurts can sometimes become such "bitter roots" that disrupt the unity of the church.


Therefore, believers should watch out for each other, pursue peace and holiness, and ensure that no one falls short of God's grace or is negatively influenced by divisive elements. Finally, they should also ensure that there is no sexually immoral or godless person among them (verse 16), as these can lead to spiritual decay and regret later on.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