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9 [새벽묵상] 사랑의 도피성, 공의의 고엘 | Refuge of Love, Redeemer of Justice (민/Num 35:1~21)
- Seattle Hansarang Church 시애틀 한사랑 교회
- 6월 9일
- 11분 분량

35:1 여호와께서 여리고 맞은편 요단 강 가 모압 평지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35:2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령하여 그들이 받은 기업에서 레위인에게 거주할 성읍들을 주게 하고 너희는 또 그 성읍들을 두르고 있는 초장을 레위인에게 주어서
35:3 성읍은 그들의 거처가 되게 하고 초장은 그들의 재산인 가축과 짐승들을 둘 곳이 되게 할 것이라
1 On the plains of Moab by the Jordan across from Jericho, the Lord said to Moses, 2 “Command the Israelites to give the Levites towns to live in from the inheritance the Israelites will possess. And give them pasturelands around the towns. 3 Then they will have towns to live in and pasturelands for the cattle they own and all their other animals.
35:4 너희가 레위인에게 줄 성읍들의 들은 성벽에서부터 밖으로 사방 천 규빗이라
35:5 성을 중앙에 두고 성 밖 동쪽으로 이천 규빗, 남쪽으로 이천 규빗, 서쪽으로 이천 규빗, 북쪽으로 이천 규빗을 측량할지니 이는 그들의 성읍의 들이며
4 “The pasturelands around the towns that you give the Levites will extend a thousand cubits from the town wall. 5 Outside the town, measure two thousand cubits on the east side, two thousand on the south side, two thousand on the west and two thousand on the north, with the town in the center. They will have this area as pastureland for the towns.
35:6 너희가 레위인에게 줄 성읍은 살인자들이 피하게 할 도피성으로 여섯 성읍이요 그 외에 사십이 성읍이라
35:7 너희가 레위인에게 모두 사십팔 성읍을 주고 그 초장도 함께 주되
35:8 너희가 이스라엘 자손의 소유에서 레위인에게 너희가 성읍을 줄 때에 많이 받은 자에게서는 많이 떼어서 주고 적게 받은 자에게서는 적게 떼어 줄 것이라 각기 받은 기업을 따라서 그 성읍들을 레위인에게 줄지니라
6 “Six of the towns you give the Levites will be cities of refuge, to which a person who has killed someone may flee. In addition, give them forty-two other towns. 7 In all you must give the Levites forty-eight towns, together with their pasturelands. 8 The towns you give the Levites from the land the Israelites possess are to be given in proportion to the inheritance of each tribe: Take many towns from a tribe that has many, but few from one that has few.”
35:9 여호와께서 또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35:10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그들에게 이르라 너희가 요단 강을 건너 가나안 땅에 들어가거든
35:11 너희를 위하여 성읍을 도피성으로 정하여 부지중에 살인한 자가 그리로 피하게 하라
35:12 이는 너희가 복수할 자에게서 도피하는 성을 삼아 살인자가 회중 앞에 서서 판결을 받기까지 죽지 않게 하기 위함이니라
35:13 너희가 줄 성읍 중에 여섯을 도피성이 되게 하되
35:14 세 성읍은 요단 이쪽에 두고 세 성읍은 가나안 땅에 두어 도피성이 되게 하라
35:15 이 여섯 성읍은 이스라엘 자손과 타국인과 이스라엘 중에 거류하는 자의 도피성이 되리니 부지중에 살인한 모든 자가 그리로 도피할 수 있으리라
9 Then the Lord said to Moses: 10 “Speak to the Israelites and say to them: ‘When you cross the Jordan into Canaan, 11 select some towns to be your cities of refuge, to which a person who has killed someone accidentally may flee. 12 They will be places of refuge from the avenger, so that anyone accused of murder may not die before they stand trial before the assembly. 13 These six towns you give will be your cities of refuge. 14 Give three on this side of the Jordan and three in Canaan as cities of refuge. 15 These six towns will be a place of refuge for Israelites and for foreigners residing among them, so that anyone who has killed another accidentally can flee there.
35:16 만일 철 연장으로 사람을 쳐죽이면 그는 살인자니 그 살인자를 반드시 죽일 것이요
35:17 만일 사람을 죽일 만한 돌을 손에 들고 사람을 쳐죽이면 이는 살인한 자니 그 살인자는 반드시 죽일 것이요
35:18 만일 사람을 죽일 만한 나무 연장을 손에 들고 사람을 쳐죽이면 그는 살인한 자니 그 살인자는 반드시 죽일 것이니라
35:19 피를 보복하는 자는 그 살인한 자를 자신이 죽일 것이니 그를 만나면 죽일 것이요
35:20 만일 미워하는 까닭에 밀쳐 죽이거나 기회를 엿보아 무엇을 던져 죽이거나
35:21 악의를 가지고 손으로 쳐죽이면 그 친 자는 반드시 죽일 것이니 이는 살인하였음이라 피를 보복하는 자는 살인자를 만나면 죽일 것이니라
16 “‘If anyone strikes someone a fatal blow with an iron object, that person is a murderer; the murderer is to be put to death. 17 Or if anyone is holding a stone and strikes someone a fatal blow with it, that person is a murderer; the murderer is to be put to death. 18 Or if anyone is holding a wooden object and strikes someone a fatal blow with it, that person is a murderer; the murderer is to be put to death. 19 The avenger of blood shall put the murderer to death; when the avenger comes upon the murderer, the avenger shall put the murderer to death. 20 If anyone with malice aforethought shoves another or throws something at them intentionally so that they die 21 or if out of enmity one person hits another with their fist so that the other dies, that person is to be put to death; that person is a murderer. The avenger of blood shall put the murderer to death when they meet.
축복받은 레위 지파 (1~8절)
이스라엘 12지파는 야곱의 아들로 구성되었습니다. 하지만 12지파와 12 아들은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야곱의 아들들은 르우벤(보라 아들이라), 시므온(들으심), 레위(연합), 유다(찬송)까지 레아가 낳은 아들입니다. 단(재판장), 납달리(겨룸)는 라헬의 여종 빌하가 낳은 아들들입니다. 갓(복됨), 아셀(기쁨)은 레아의 여종 실바가 낳은 아들들입니다. 잇사갈(보상), 스불론(더불어 기거함)은 다시 레아가 낳은 아들들입니다. 그리고 요셉(더하다)과 베냐민(오른손의 아들)은 라헬이 낳은 아들들입니다(창 29:31~30:24).
하지만 이스라엘의 영적인 지도자 지파인 레위 지파는 이 땅에서의 기업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그들의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아론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여호와께서 또 아론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의 땅에 기업도 없겠고
그들 중에 아무 분깃도 없을 것이나 내가 이스라엘 자손 중에 네 분깃이요 네 기업이니라 (민 18:20)
The Blessed Tribe of Levi (Verses 1–8)
The twelve tribes of Israel were formed from the sons of Jacob. Howeve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elve tribes and the twelve sons.
Jacob’s sons are: Reuben ("See, a son"), Simeon ("Heard"), Levi ("Joined"), and Judah ("Praise")—these were born from Leah. Dan ("Judge") and Naphtali ("Wrestling") were born to Rachel’s maidservant Bilhah. Gad ("Fortunate") and Asher ("Happy") were born to Leah’s maidservant Zilpah. Issachar ("Reward") and Zebulun ("Dwelling with") were again born from Leah. And Joseph ("May He Add") and Benjamin ("Son of the Right Hand") were born from Rachel (Genesis 29:31–30:24).
However, the tribe of Levi, which became the spiritual leaders of Israel, did not receive an inheritance of land. This is because the Lord Himself was their inheritance. God spoke to Aaron as follows:
The Lord said to Aaron, “You will have no inheritance in their land, nor will you have any share among them; I am your share and your inheritance among the Israelites.”—Numbers 18:20

그래서 레위는 열 두 지파에서 빠집니다. 또한 야곱이 요셉을 자신의 장자로 인정하여 다른 아들보다 두 배의 기업(땅)을 주어 요셉의 두 아들 므낫세와 에브라임을 12지파로 편입시킵니다. 그래서 야곱의 12 아들 중 레위와 요셉이 빠지고, 요셉의 두 아들 므낫세와 에브라임이 12지파가 된 것입니다.
우리가 오해해서는 안 되는 것은 레위 지파가 기업이 없다고 해서 살 집과 먹을 음식이 필요 없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하나님은 12지파가 레위 지파를 위해 십일조를 하나님께 드려 그것으로 그들의 생활을 보장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각 지파가 영토와 인구수에 비례하여 레위 지파를 위한 땅을 기증해서 그들이 전국에 흩어져 살 수 있는 성읍과 목초지를 제공하게 했습니다. 레위자파에게 제공된 성읍은 총 48개이고, 그 중에 트랜스 요르단 지역에 3개의 도피성(골란, 길르앗라못, 베셀), 가나안 지역에 3개의 도피성(게데스, 세겜, 헤브론)이 포함되었습니다.
하나님은 레위 지파의 성읍과 초목지를 율법으로 규정했습니다. 4, 5절입니다. 그런데 그 성읍의 크기가 사방 천 규빗(약450m)인지, 이천 규빗(약900m)인지 두 구절이 모순된 것처럼 보입니다. 이것은 성읍 벽에서 사방으로 천 규빗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성읍을 중심으로 한 변의 길이기 천 규빗인 정사각형 네 개의 목초지가 생긴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니 동서남북 사방으로 이천 규빗이 되는 것입니다.
So the tribe of Levi is excluded from the twelve tribes. In addition, Jacob recognized Joseph as his firstborn and granted him a double portion of inheritance (land) compared to his other sons. As a result, Joseph’s two sons, Manasseh and Ephraim, were incorporated into the twelve tribes. Therefore, among Jacob’s twelve sons, Levi and Joseph are omitted, and Joseph’s two sons, Manasseh and Ephraim, take their place among the twelve tribes.
What we must not misunderstand is that just because the Levites had no land inheritance does not mean they had no need for housing or food. God instructed the twelve tribes to give a tithe to Him, which was then used to support the livelihood of the Levites. Furthermore, each tribe was commanded to donate land proportionally based on their territory and population so that the Levites could live throughout the land. These included cities and pasturelands provided for them. In total, the Levites were given 48 cities, among which were six cities of refuge: three in the Transjordan region (Golan, Ramoth in Gilead, and Bezer), and three in the land of Canaan (Kedesh, Shechem, and Hebron).
God regulated the size of the Levite cities and their surrounding pasturelands through the law, specifically in verses 4 and 5. However, it appears there is a contradiction in the measurement—whether the size is 1,000 cubits (about 450 meters) or 2,000 cubits (about 900 meters). The clarification is this: the 1,000 cubits refer to the distance measured outward in every direction from the city walls. So, envisioning the city at the center, it creates four square pasturelands, each 1,000 cubits in length on one side. Thus, from edge to edge (north, south, east, and west), the full range would be 2,000 cubits.

분명한 것은 레위인들은 일반 백성들보다 훨씬 풍족한 삶을 살았을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이스라엘 전체의 영성을 책임지는 영광과 풍성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축복을 받은 지파가 레위입니다. 레위는 세겜이 여동생 디나를 욕보이자 그 족속을 칼로 응징하여 야곱의 저주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아론의 금송아지 사건 때 모세의 말에 순종하여 여호와의 편에 서서 형제를 칼로 심판합니다. 그 때 하나님의 복을 받습니다.
모세가 이르되 각 사람이 자기의 아들과 자기의 형제를 쳤으니 오늘 여호와께 헌신하게 되었느니라
그가 오늘 너희에게 복을 내리시리라 (출 32:29)
What is certain is that the Levites likely lived more abundantly than the general population. The tribe of Levi was blessed with both the honor of being responsible for the spiritual well-being of all Israel and the privilege of a rich life. Though Levi was once cursed by Jacob for his violent retaliation against the people of Shechem after the disgrace of their sister Dinah, the tribe later stood on the Lord’s side during the incident of the golden calf. They obeyed Moses’ call, even to the point of executing judgment on their own relatives. It was then that they received God’s blessing.
Then Moses said, “You have been set apart for the Lord today, for you were against your own sons and brothers, and He has blessed you this day.”—Exodus 32:29

도피성과 고엘 (9~21절)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이스라엘에는 6개의 도피성이 있습니다. 이는 이스라엘 전역 어디에서든 단 며칠이면 도피성에 도착할 수 있는 거리라고 합니다. 또한 유대인들의 전승에 의하면 도피성으로 가는 길에는 미클라트(도피성) מקלט 라는 팻말이 붙어 있었고, 그 길은 매우 넓게 잘 정리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알다시피 도피성은 고의가 아닌 부지중에 살인을 저지른 자, 곧 과실치사한 자가 피하여 목숨을 부지할 수 있는 치외법권의 제도입니다(11).
하지만 도피성에 피한다고 무조건 보호받는 것이 아닙니다. 반드시 율법에 근거한 재판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니까 재판을 받아 그의 살인이 고의성이 있는지, 아닌지 가릴 때까지 그를 보호해 주는 제도입니다.
만일 그가 실수로 사람을 죽인 것이라면, 그는 도피성에 머무는 동안에는 얼마든지 생명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피성을 벗어 났을 때는 그의 생명을 누구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이 제도는 이스라엘 사람이든 타국인이든 예외 없이 적용되는 법률입니다.
당시 고대에 이미 이와 비슷한 제도가 있었지만, 살인자를 보호하는 기간이나 모든 면에서 구약의 법은 다른 고대의 법보다 월등히 뛰어나게 인권을 보호합니다. 무죄로 입증된 자는 대제사장이 살아있는 날 동안 도피성에 머물다가 그가 죽으면 자유를 얻습니다. 피해자의 가족들이 절대로 보복해서는 안 됩니다.
반면에 하나님은 그 살인자가 고의로 사람을 죽였다면, 반드시 사형에 처할 것을 명령합니다. 그런데 그를 죽이는 사람은 피를 보복하는 자, 고엘입니다. 고엘은 구속할 자, 기업 무를 자, 회복할 자라는 의미입니다.
고엘 제도는 땅을 빼앗긴 형제를 위해 땅을 찾아주거나, 후손이 없이 죽은 형제를 위해 자녀를 낳아 주거나, 살해당한 형제를 위해 반드시 동해보복Lax Talionis을 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Cities of Refuge and the Kinsman-Redeemer (Verses 9–21)
As mentioned earlier, there were six cities of refuge in Israel. These cities were strategically located so that anyone in Israel could reach one within a few days. According to Jewish tradition, along the roads leading to the cities of refuge, there were signs marked Miklat (מקלט), meaning "Refuge," and the roads were said to be wide and well-maintained.
As you may know, the city of refuge was a legal sanctuary for someone who had killed another unintentionally—what we would call manslaughter (verse 11). It served as a place of asylum, outside the ordinary legal jurisdiction.
However, fleeing to a city of refuge did not automatically guarantee protection. The individual was required to undergo a legal trial based on the Law.
The system was designed to protect the accused until it could be determined whether the killing was intentional or accidental. If found to be unintentional, the person could remain in the city of refuge and be assured of their safety as long as they stayed within its boundaries. If they stepped outside, their life could no longer be guaranteed.
This law applied without exception, whether the person was an Israelite or a foreigner residing among them.
While similar legal customs existed in other ancient civilizations, the biblical system was remarkably more advanced in terms of protecting human rights. If the person was found innocent, they were required to remain in the city of refuge until the death of the high priest—after which they were free to leave and live without fear of revenge. The victim's family was strictly prohibited from seeking retribu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person had committed murder intentionally, God commanded that they must be put to death. The person who was to carry out this justice was known as the goel, or avenger of blood.
The term goel means "redeemer"—one who restores, reclaims, or avenges. The role of the goel extended to several areas: redeeming land that a brother had lost, providing offspring for a deceased brother who had no children, and carrying out justice through the principle of lex talionis (the law of retaliation) for a murdered brother.

오늘 본문을 자세히 보면 두렵습니다. 반드시 죽일 것이요(16, 17, 18, 21)가 반복적으로 등장합니다. 또한 피를 보복하는 자는 살인자를 만나면 죽이라(19, 21)고 명령합니다. 분노가 느껴집니다. 하나님은 이렇게 죄에 대해서, 특히 하나님의 형상을 가진 인간을 죽이는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십니다.
동시에 실수로 사람을 죽인 자에게는 한없는 긍휼을 베푸십니다. 이것이 우리 하나님입니다. 우리의 연약함은 감추어 주시지만, 우리의 죄는 반드시 심판하시는 하나님. 사랑의 하나님은 동시에 공의의 하나님이십니다.
억울하게 살해당한 가족들에게는 그 살인자가 반드시 죄 값을 치르게 하는 것이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그래서 공의와 사랑은 동일한 것입니다. 하나님을 오해하면 안 됩니다. 만일 하나님이 모든 것을 무조건 용서하시는 사랑의 하나님이라면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실 필요도 없었을 것입니다.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시지만, 우리의 죄 때문에 당신의 독생자라도 반드시 죽여야 하는 공의의 하나님이십니다. 그분이 우리의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도피성과 고엘은 십자가를 닮았습니다. 그 두개의 제도를 겹쳐놓을 때 사랑과 공의의 십자가가 되는 것입니다.
바로 완전한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 만난 십자가 보입니다.
When we look closely at today’s passage, it is quite sobering. The phrase “He must surely be put to death” (verses 16, 17, 18, 21) is repeated multiple times. Additionally, the command for the avenger of blood to “put the murderer to death when he meets him” (verses 19, 21) is clear and forceful. We can sense the intensity—perhaps even the wrath—in these words. God takes sin very seriously, especially the act of killing someone made in His image.
At the same time, for the one who killed unintentionally, God shows boundless mercy. This is who our God is—He covers our weaknesses, but He never ignores our sin. The God of love is also a God of justice.
To the families of those wrongfully slain, God’s love means ensuring that the murderer pays for his crime. This shows that love and justice are not opposites—they are one and the same in God. We must not misunderstand God's character. If God were only a God of unconditional forgiveness without justice, there would have been no need for Jesus to come to this world.
God loves us deeply, yet because of our sin, even His only begotten Son had to die. That is the justice of God. And we must never forget that this is the God we serve.
The city of refuge and the goel (kinsman-redeemer) both point us to the cross. When we bring these two institutions together, we see the cross of both love and justice.
Indeed, the cross reveals the perfect meeting of God’s justice and love.
Commen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