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4 [새벽묵상] 겉모양이 아닌 중심으로 하나님의 뜻을 판단하라 | Judge God's Will by Heart, not Appearances (요/Jhn 7:14-24)
- Seattle Hansarang Church 시애틀 한사랑 교회
- 1월 24일
- 7분 분량

7:14 이미 명절의 중간이 되어 예수께서 성전에 올라가사 가르치시니
7:15 유대인들이 놀랍게 여겨 이르되 이 사람은 배우지 아니하였거늘 어떻게 글을 아느냐 하니
[Jesus Teaches at the Festival]
14 Not until halfway through the festival did Jesus go up to the temple courts and begin to teach. 15 The Jews there were amazed and asked, “How did this man get such learning without having been taught?”
7:16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 교훈은 내 것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의 것이니라
7:17 사람이 하나님의 뜻을 행하려 하면 이 교훈이 하나님께로부터 왔는지 내가 스스로 말함인지 알리라
7:18 스스로 말하는 자는 자기 영광만 구하되 보내신 이의 영광을 구하는 자는 참되니 그 속에 불의가 없느니라
7:19 모세가 너희에게 율법을 주지 아니하였느냐 너희 중에 율법을 지키는 자가 없도다 너희가 어찌하여 나를 죽이려 하느냐
16 Jesus answered, “My teaching is not my own. It comes from the one who sent me. 17 Anyone who chooses to do the will of God will find out whether my teaching comes from God or whether I speak on my own. 18 Whoever speaks on their own does so to gain personal glory, but he who seeks the glory of the one who sent him is a man of truth; there is nothing false about him. 19 Has not Moses given you the law? Yet not one of you keeps the law. Why are you trying to kill me?”
7:20 무리가 대답하되 당신은 귀신이 들렸도다 누가 당신을 죽이려 하나이까
20 “You are demon-possessed,” the crowd answered. “Who is trying to kill you?”
7:21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한 가지 일을 행하매 너희가 다 이로 말미암아 이상히 여기는도다
7:22 모세가 너희에게 할례를 행했으니 (그러나 할례는 모세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조상들에게서 난 것이라) 그러므로 너희가 안식일에도 사람에게 할례를 행하느니라
7:23 모세의 율법을 범하지 아니하려고 사람이 안식일에도 할례를 받는 일이 있거든 내가 안식일에 사람의 전신을 건전하게 한 것으로 너희가 내게 노여워하느냐
7:24 외모로 판단하지 말고 공의롭게 판단하라 하시니라
21 Jesus said to them, “I did one miracle, and you are all amazed. 22 Yet, because Moses gave you circumcision (though actually it did not come from Moses, but from the patriarchs), you circumcise a boy on the Sabbath. 23 Now if a boy can be circumcised on the Sabbath so that the law of Moses may not be broken, why are you angry with me for healing a man’s whole body on the Sabbath? 24 Stop judging by mere appearances, but instead judge correctly.”
우리는 겉모습을 무척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옷을 고를 때도 이 옷을 입으면 내가 어떻게 보일까 고민하면서 어울리는 옷을 신중하게 고르지요. 유튜브를 보니 같은 사람을 가지고 옷차림이나 헤어스타일을 바꾸는 챌린지를 하더라구요. 지나가는 행인에게 이 사람이 어떤 직업을 가졌을까 물어보니 그 사람의 외모만으로 홈리스라고도 평가했다가 같은 사람인데도 외모만 바뀌자 그 사람의 직업을 변호사로까지 평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 뿐만이 아닙니다. 심리학자 스탠리 밀그램 (Stanley Milgram) 박사의 ‘권위에 대한 복종실험’에서 사람들은 흰색 가운만 보아도 권위와 위압감을 느끼며, 출신 대학을 듣는 것만으로 그 사람의 지적능력을 평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지요. 이렇듯 우리는 외모, 출신, 학벌 등과 같은 겉모양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오늘 말씀의 유대인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의 가르침을 듣고 매우 놀랍게 여기지요. 아니 저 사람은 글을 배운 사람이 아닌데 어떻게 이런 통찰을 가지고 가르치는가? 그들의 눈에는 예수님의 겉모양 밖에는 보이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들에게 예수님의 말씀 가운데 계신 하나님의 교훈을 이야기하십니다. 오늘 말씀은 이렇게 겉모양을 보는 유대인들과 그 안의 중심을 말씀하시는 예수님의 이야기가 반복됩니다. 오늘은 겉모양이 아닌 중심으로 하나님의 뜻을 판단하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나누어 보겠습니다.
We place tremendous importance on outward appearances. When choosing clothes, we carefully consider how we'll look, selecting what suits us best. Recently on YouTube, I saw challenges where they changed someone's clothes and hairstyle to see how people's perceptions changed. When passersby were asked to guess the person's profession, they labeled them as homeless based on one appearance, but when the same person was dressed differently, they were perceived as a lawyer.
This isn't just about clothes. In Dr. Stanley Milgram's famous "Obedience to Authority" experiment, people felt authority and intimidation just by seeing a white lab coat. Similarly, people often judge someone's intellectual capability merely by hearing which university they attended. We cannot deny how much we value external appearances, credentials, and background.
The Jews in today's Scripture were no different. They were amazed at Jesus's teaching, wondering, "How can this man teach with such insight when he hasn't had formal education?" They could only see Jesus's outward appearance. However, Jesus speaks to them about God's teaching present in His words. Today's message repeatedly contrasts the Jews who focused on appearances with Jesus who spoke about what's in the heart. Let's explore this message titled "Judge God's Will by Heart, Not Appearances."

아까 나누었던 대로 예수님께서 성전에 올라가셔서 가르치시니 유대인들이 이를 놀랍게 여기지요. 그러나 가만히 보면 그들은 예수님이 무엇을 가르치시는 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들 눈에는 그저 제대로 된 교육도 받지 못한 나사렛의 목수가 어떻게 글을 아는가 이게 중요했죠. 이게 놀라웠던 것입니다. 만약 그들이 예수님의 겉모양에 집중하지 않고 예수님이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들었다면 그들은 예수님의 말씀 안에 계신 하나님의 교훈을 들었을 것입니다. 16절입니다.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 교훈은 내 것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의 것이니라” 즉, 이들이 겉모양이 아닌 중심으로 하나님의 뜻을 판단했다면 그들은 예수님의 말씀 안에서 하나님의 교훈을 들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17절에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사람이 하나님의 뜻을 행하려 하면 이 교훈이 하나님께로부터 왔는지 내가 스스로 말함인지 알리라” 이 말씀의 뜻, 사람이 하나님의 뜻을 행하려 하면이라는 말이 무슨 말일까요? ‘사람이 율법을 지키려 하면’ 이 아닙니다. ‘사람이 하나님의 뜻을 행하려 하면.’ 이 말씀은 아마도 이런 말씀일 것입니다. 사람이 겉치레가 아닌, 겉모양이 아닌 중심으로 하나님의 뜻을 행하려 하면 오늘 예수님의 말씀 안에 계신 하나님을 알아 볼 것이다라는 말씀이시죠. 즉 예수님께서는 이들에게 겉모양이 아닌 중심으로 하나님의 뜻을 판단하라고 말씀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As we discussed earlier, when Jesus went up to the temple courts and began to teach, the Jews were amazed. But looking carefully, they weren't interested in what Jesus was teaching. They were fixated on how an uneducated carpenter from Nazareth could be so learned. That's what amazed them. If they had focused not on Jesus's appearance but on His message, they would have heard God's teaching in His words. Verse 16 says, "Jesus answered, 'My teaching is not my own. It comes from the one who sent me.'" In other words, if they had judged God's will by heart rather than appearances, they would have recognized God's teaching in Jesus's words. That's why Jesus says in verse 17, "Anyone who chooses to do the will of God will find out whether my teaching comes from God or whether I speak on my own."
What does it mean to "choose to do the will of God"? It doesn't mean "if someone tries to keep the law." Rather, it likely means this: if someone seeks to do God's will from their heart rather than for show, they will recognize God in Jesus's words. Jesus is telling them to judge God's will by heart, not by appearances.

자 그리고 이제 예수님께서 이들에게 역으로 말씀하십니다. 19절에 “모세가 너희에게 율법을 주지 아니하였느냐 너희 중에 율법을 지키는 자가 없도다 너희가 어찌하여 나를 죽이려 하느냐.” 이들이 유대인이고 이들이 율법을 지키는 것에 목숨을 걸고 있다는 것을 예수님이 모르실리 없습니다. 예수님께서 이 말씀을 하신 것은 바로 이들이 율법을 지키는 겉모습만 있을 뿐 그 율법의 진정한 의미를 모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율법을 지킨다 하였지만 정작 그들의 중심은 율법의 완성이신 예수님을 죽이는 것이었던 것입니다. 요한복음 1:45에 “모세가 율법에 기록하였고 여러 선지자가 기록한 그이”, 5:46 “모세를 믿었더라면 또 나를 믿었으리니 이는 그가 내게 대하여 기록하였음이라” 이들의 율법의 문자적인 겉모습만을 이해했을 뿐 그 율법이 누구를 향하고 있는지 알지 못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께서는 이들에게 “너희 중에 율법을 지키는 자가 없도다”라고 말씀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Then Jesus challenges them directly in verse 19: "Has not Moses given you the law? Yet not one of you keeps the law. Why are you trying to kill me?" Jesus certainly knew they were Jews who staked their lives on keeping the law. He said this because they only maintained the appearance of keeping the law without understanding its true meaning. While claiming to keep the law, their hearts were set on killing Jesus, who was the fulfillment of the law. John 1:45 speaks of "the one Moses wrote about in the Law," and in 5:46 Jesus says, "If you believed Moses, you would believe me, for he wrote about me." They only understood the law's literal surface but missed who it pointed to. That's why Jesus tells them, "Not one of you keeps the law."

22절과 23절의 말씀도 마찬가지입니다. 유대인들은 안식일에도 할례를 행하였습니다. 이는 모세의 율법에 할례는 태어난지 8일만에 받는 것인데 그 날이 안식일과 겹치면 할례를 행하기 위해 안식일을 범하든가 아니면 안식일을 지키기 위해 할례를 미루거나 앞당길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였기 때문입니다. 둘 다 반드시 지켜야 하는 율법인데 두 율법이 충돌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자,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안식일을 택하시겠습니까? 아니면 할례를 택하시겠습니까? 유대인들이 택한 방법은 안식일을 어기더라도 할례를 행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할례가 하나님의 언약의 백성이 된다는 약속의 상징이었기 때문입니다. 즉, 할례란 하나님의 구원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죠. 자 그러면 예수님은 또다시 질문하십니다. 너희가 사람의 일부분을 잘라내는 할례가 안식일보다 중요하다고 한다면, 23절입니다, “내가 안식일에 사람의 전신을 건전하게 한 것으로 너희가 내게 노여워하느냐?” 몸의 일부를 잘라내는 할례조차도 안식일에 받는 일이 있는데 어떻게 사람의 몸 전체를 회복하셨던 예수님의 구원의 역사를 너희가 비난하느냐는 말씀이시지요. 마찬가지입니다. 이들은 율법을 지킨다는 겉모양에 치중하느라 그 율법이 정작 무엇을 향하고 있는지는 알지 못하였던 것입니다. 그래서 주님은 이들에게 겉모양이 아닌 중심으로 하나님의 뜻을 판단하라고 24절에 “외모로 판단하지 말고 공의롭게 판단하라” 하신것입니다.
The same principle applies in verses 22 and 23. Jews performed circumcision even on the Sabbath. According to Mosaic law, circumcision had to be performed on the eighth day after birth, which sometimes fell on the Sabbath. This created a dilemma: either break the Sabbath to perform circumcision or delay/advance circumcision to keep the Sabbath. Both were essential laws that sometimes conflicted. What would you choose? The Sabbath or circumcision? The Jews chose to perform circumcision even if it meant breaking the Sabbath because circumcision symbolized becoming God's covenant people – it signified being objects of God's salvation. Then Jesus asks in verse 23, "Now if a boy can be circumcised on the Sabbath so that the law of Moses may not be broken, why are you angry with me for healing a man's whole body on the Sabbath?" If they allowed cutting off part of the body through circumcision on the Sabbath, how could they condemn Jesus's act of healing a whole person? Again, they were so focused on keeping the law's appearance that they missed what it pointed to. That's why in verse 24, Jesus tells them, "Stop judging by mere appearances, but instead judge correctly."

말씀을 맺습니다. 교회생활을 하다 보면 그럴 때가 있습니다. 우리는 늘 하지 말아야 할 것, 해야 할 것 등의 겉으로 보이는 신앙생활에 치중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 예수님께서는 반복해서 말씀하십니다. 겉모양이 아닌 중심으로 하나님의 뜻을 판단하라. 하나님께서는 늘 외형보다 사람들에게 관심을 두셨습니다. 예배보다 마음의 중심을 보셨습니다.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겉모양이 아닌 중심. 겉모습이 아닌 사람. 율법이 아닌 사랑에 열심을 내야 합니다
In closing, this happens in church life too. We often focus on the visible aspects of faith – what we shouldn't do, what we should do. But Jesus repeatedly tells us today: Judge God's will by heart, not by appearances. God has always cared more about people than outward forms, more about the heart than worship rituals. The same applies to the church. We must focus not on appearances but on the heart, not on outward shows but on people, not on law but on lov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