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 또 그가 수정 같이 맑은 생명수의 강을 내게 보이니 하나님과 및 어린 양의 보좌로부터 나와서
22:2 길 가운데로 흐르더라 강 좌우에 생명나무가 있어 열두 가지 열매를 맺되 달마다 그 열매를 맺고 그 나무 잎사귀들은 만국을 치료하기 위하여 있더라
22:3 다시 저주가 없으며 하나님과 그 어린 양의 보좌가 그 가운데에 있으리니 그의 종들이 그를 섬기며
22:4 그의 얼굴을 볼 터이요 그의 이름도 그들의 이마에 있으리라
22:5 다시 밤이 없겠고 등불과 햇빛이 쓸 데 없으니 이는 주 하나님이 그들에게 비치심이라 그들이 세세토록 왕 노릇 하리로다
[Eden Restored]
1 Then the angel showed me the river of the water of life, as clear as crystal, flowing from the throne of God and of the Lamb 2 down the middle of the great street of the city. On each side of the river stood the tree of life, bearing twelve crops of fruit, yielding its fruit every month. And the leaves of the tree are for the healing of the nations. 3 No longer will there be any curse. The throne of God and of the Lamb will be in the city, and his servants will serve him. 4 They will see his face, and his name will be on their foreheads. 5 There will be no more night. They will not need the light of a lamp or the light of the sun, for the Lord God will give them light. And they will reign for ever and ever.
얼마 전에 교회를 다니지 않는 무신론자 집에 초대를 받아 식사대접을 받고 오랫동안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매우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며 선하신 분들이었습니다.
또한 굉장히 똑똑한 분이어서 성경과 신앙에 대해서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모든 이야기를 나누고 그 분 댁에서 나오면서 느낀 것은 창조주 하나님과 구세주 예수님이 믿어지는 것이 크신 하나님의 은혜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고 감사할 수 있었습니다.
사실 무신론자들과 신앙인들의 차이는 창세기 1장 1절이 그 키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 하셨다는 사실을 믿기만 한다면, 모든 성경은 술술 풀립니다. 반면에 거기서 멈춰 버리면 성경은 그저 단군신화와 다를 바 없는 소설입니다. 실제로 무신론자들에게 있어서 성경과 단군신화, 그리스-로마신화는 전혀 다르지 않은 이야기들입니다.
그러니 믿음과 성경의 열쇠인 창세기 1장 1절이 믿어지는 우리들은 참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받은 자들이다 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것이 어찌 사람의 의지로 가능하겠습니까? 그러니 더욱 믿음을 귀히 여기고, 예수를 전해야 하겠습니다. 하지만 우격다짐이 아닌 관계로부터 전도를 시작해야 합니다.
메신저인 우리가 교회를 다니지 않는 분들에게 호감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럴 때 우리의 메시지에 설득력과 신뢰성이 생깁니다. 기독교가 실패한 부분이 사실 이 부분입니다. 정말 그들을 존중하면서도 우리의 입장을 흔들리지 않고 잘 고수하면서, 삶으로 예수의 메시지를 보여줄 때 하나님께서 친히 역사하시리라 믿습니다. 우리에게 그렇게 하셨던 것처럼 말입니다.
Not long ago, I was invited to the home of some atheists who don’t attend church, where I was treated to a meal and had a long conversation. They were very rational, reasonable, and good-hearted people. Moreover, they were incredibly intelligent, which allowed us to have an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Bible and faith.
As I left their home after sharing all those conversations, I was reminded again and deeply grateful that believing in God the Creator and Jesus the Savior is truly a great grace from God.
In fact, the key difference between atheists and believers lies in Genesis 1:1. If one simply believes in the fact that "In the beginning,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then the entirety of the Bible becomes clear and understandable. On the other hand, if one stops at that point, the Bible is no different from myths like the Dangun legend or Greek-Roman mythology. To atheists, the Bible, the Dangun legend, and Greek-Roman myths are no different—they are all just stories.
Therefore, for those of us who believe in Genesis 1:1, which is the key to faith and Scripture, it is evident that we have received God's grace. How could this be possible by human will alone? This makes us cherish our faith all the more and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sharing Jesus with others. However, evangelism must begin with relationships, not coercion.
As messengers, we must present ourselves in a way that is appealing to those who do not attend church. When we do so, our message gains persuasiveness and credibility. This is where Christianity has often failed. By genuinely respecting others while steadfastly maintaining our own stance and demonstrating Jesus' message through our lives, I believe God will personally work in their hearts, just as He has done for us.
만국을 치료하는 잎사귀 (1~3a)
요한은 새 하늘과 새 땅, 새 성 예루살렘의 환상에 이어 이제는 천국의 본질인 새 에덴의 환상을 봅니다.
김세윤 박사는 자신의 책, 구원이란 무엇인가에서 구원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합니다.
인생이 죽음에 ‘걸려’있다는, 죽음의 권세 아래 놓여 있다는, 또는 죽음의 ‘병균’에 의해
점령당하여 가는 상태에 놓여 있다는 의미로 성경은 인생이 죽어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이 죽음과 그 증상들인 모든 악과 고난에서 해방되는 것이 ‘구원’입니다. 우리가 이 ‘구원’을
받아야 할 이유는 우리가 이렇게 죽음과 그 증상들인 악과 고난에 ‘걸려’ 있기 때문입니다.
아담과 하와의 범죄 이후에 인류 가운데 들어온 사망의 권세는 우리를 아프고, 병들고, 늙고 죽게 만들었습니다. 그 인생에 모든 과정에 드리운 것들이 고통이요, 아픔이요, 괴로움이요, 외로움입니다.
그런데 구원은 바로 그런 상태와 상황에서 우리를 건져내는 것입니다. 곧 에덴으로 회복하는 것입니다. 아니 에덴의 회복을 넘어 그보다 더 좋은 상태로 변화되는 것이 구원입니다.
요한은 인생에 생명을 주는 강물을 목격합니다. 마치 에덴 동산에 흘렀던 강들과 같습니다. 이 강물의 생명적인 근원은 하나님과 어린양의 보좌입니다. 모든 생명은 오직 하나님으로부터 말미암습니다.
The Leaves that Heal the Nations (1–3a)
After the vision of the new heaven, new earth, and the New Jerusalem, John now sees the vision of the New Eden, which represents the essence of heaven.
Dr. Seyoon Kim, in his book What Is Salvation?, describes salvation as follows:
The Bible describes human life as being "caught" by death, under the power of death, or in a state of being taken over by the "germs" of death. Salvation is the liberation from death and all its symptoms—evil and suffering. The reason we need this salvation is that we are "caught" in death and its symptoms, which are evil and suffering.
Since the sin of Adam and Eve, the power of death that entered humanity has made us suffer, become ill, age, and die. The shadows of life’s journey are filled with pain, anguish, suffering, and loneliness.
However, salvation is about rescuing us from such states and circumstances. It is the restoration to Eden—or rather, the transformation into an even better state than Eden.
John witnesses the river of life that gives life to humanity, reminiscent of the rivers that flowed in the Garden of Eden. The life-giving source of this river is the throne of God and the Lamb. All life comes solely from God.
회복된 에덴 동산에서 누리게 되는 성도들의 삶의 특징은 첫번째로 풍성함입니다.
생명수 강의 좌우에 생명나무가 있습니다. 에덴에서는 동산 중앙에 하나 있었던 것이, 새 에덴 천국에는 강가에 그득합니다. 그리고 매달 생명의 열매를 맺습니다. 그리고 그 잎사귀들은 만국을 치유하는 약재입니다. 이것은 에스겔 선지자의 예언을 고스란히 반영합니다.
강 좌우 가에는 각종 먹을 과실나무가 자라서 그 잎이 시들지 아니하며 열매가 끊이지 아니하고
달마다 새 열매를 맺으리니 그 물이 성소를 통하여 나옴이라
그 열매는 먹을 만하고 그 잎사귀는 약 재료가 되리라(겔 47:12)
이미 선지자는 천국을 보았던 것입니다. 바로 새 에덴의 첫번째 특징이 이런 풍성함입니다.
만국을 치료하는 잎사귀가 정말 필요한 때가 지금입니다. 죄인들이 통치하는 나라의 모습은 정쟁과 전쟁, 암투와 미움이 가득합니다. 제발 만국을 치유하는 잎사귀로 치유되는 역사가 있기를 기도합니다.
다시는 이러한 저주가 없는 새 에덴이 속히 임하기를 기도합시다(3a).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lives of believers in the restored Eden is abundance.
On both sides of the river of life are the trees of life. While there was only one tree in the center of Eden, in the New Eden of heaven, these trees fill the banks of the river. They bear the fruit of life every month, and their leaves are for the healing of the nations. This reflects the prophecy of the prophet Ezekiel:
"Fruit trees of all kinds will grow on both banks of the river. Their leaves will not wither, nor will their fruit fail. Every month they will bear fruit, because the water from the sanctuary flows to them. Their fruit will serve for food and their leaves for healing" (Ezekiel 47:12).
The prophets already had a glimpse of heaven.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New Eden is this abundance.
The leaves that heal the nations are needed now more than ever. The state of nations ruled by sinners is one of conflict, war, intrigue, and hatred. Let us pray for the healing of the nations through the leaves that heal.
Let us also pray for the swift coming of the New Eden, where there will no longer be any curses (3a).
세세토록 왕노릇 하리라 (3b~5절)
회복된 에덴에서 누리게 되는 성도들의 삶의 두번째 특징은 존귀함입니다.
사람이 갑자기 부자가 되어 풍성하게 되면, 물질적인 것은 풍성한데 인격이나 삶의 수준이 물질의 풍성함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들이 자주 있습니다. 보통 이런 사람들은 졸부라고 하지요.
하지만 천국의 성도들의 삶은 풍성함과 더불어 존귀함이 있습니다. 먼저는 성도들이 하는 일 자체가 존귀합니다. 그것은 하나님과 어린양을 예배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면할 수 없는 하나님의 영광의 얼굴을 볼 수 있습니다(4a). 그리고 하나님과 어린양의 이름이 우리들의 이마에 새겨집니다(4b).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님의 소유권을 의미함과 동시에 우리의 이마에 그의 이름이 새겨졌다는 의미는 우리의 모든 생각과 가치관이 온전히 하나님 중심이 될 것을 의미합니다.
새 에덴의 가장 큰 특징은 빛이 필요 없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빛의 근원되시는 하나님이 그곳에 빛이시기 때문입니다. 우리들은 그곳에서 세세토록 왕 노릇 할 것입니다. 왕노릇이란, 종노릇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그동안 죄와 사망의 노예였다면, 이제는 복음 안에서 영원한 자유인이 된 것입니다.
사실 왕국에서는 왕만이 자유인입니다. 우리가 예수로 말미암아 진정한 왕, 곧 자유인이 되는 것입니다. 속히 새 에덴에 가고 싶지 않습니까?
They Will Reign Forever and Ever (3b–5)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the lives of believers in the restored Eden is honor.
It is not uncommon for people who suddenly become wealthy to enjoy material abundance but fail to match this with a corresponding maturity in character or lifestyle. Such individuals are often referred to as "nouveau riche."
However, the lives of the saints in heaven are marked not only by abundance but also by honor. First, the work that believers engage in is inherently honorable because it involves worshiping God and the Lamb. Furthermore, they will behold the glorious face of God, which no one could previously see (4a). The name of God and the Lamb will also be inscribed on their foreheads (4b).
The name of God signifies His ownership, and having His name written on our foreheads means that all our thoughts and values will be fully centered on God.
One of the greatest features of the New Eden is that it requires no external light, for God, the source of all light, will Himself be the light there. In this place, we will reign forever and ever.
The concept of reigning is the opposite of being enslaved. While we were once slaves to sin and death, we are now eternally free in the gospel.
In a kingdom, only the king is truly free. Through Jesus, we become true kings—that is, truly free individuals.
Don’t you long to enter the New Eden soon?
에덴은 하나님의 풍성함과 존귀함이 넘치는 곳이었습니다. 곧 생명력이 넘치는 곳이었습니다.
그런데 인간의 범죄로 모든 것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어린양이 이것을 십자가 은혜로 회복시켰습니다.
이제 우리가 누리게 될 새 에덴은 이전 에덴보다 더욱 완전한 풍성함과 존귀함, 곧 생명력으로 가득한 곳일 것입니다. 이 땅에서 새 에덴의 맛보기가 교회요, 우리의 가정이어야 합니다. 예수께 순종함으로 이 땅에서도 치유하는 잎사귀, 새 에덴의 생명력의 풍성함과 존귀함을 맛보기 원합니다.
Eden was a place overflowing with God’s abundance and honor—a place full of life.
However, humanity lost everything due to sin. Yet the Lamb restored it through the grace of the cross.
The New Eden we will one day enjoy will be a place even more perfect, filled with greater abundance, honor, and life than the original Eden. On this earth, the church and our families should serve as a foretaste of the New Eden.
By obeying Jesus, may we experience here and now the healing leaves, the abundance of life, and the honor of the New Eden.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