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 여섯째 달에 천사 가브리엘이 하나님의 보내심을 받아 갈릴리 나사렛이란 동네에 가서
1:27 다윗의 자손 요셉이라 하는 사람과 약혼한 처녀에게 이르니 그 처녀의 이름은 마리아라
1:28 그에게 들어가 이르되 은혜를 받은 자여 평안할지어다 주께서 너와 함께 하시도다 하니
[The Birth of Jesus Foretold]
26 In the sixth month of Elizabeth’s pregnancy, God sent the angel Gabriel to Nazareth, a town in Galilee, 27 to a virgin pledged to be married to a man named Joseph, a descendant of David. The virgin’s name was Mary. 28 The angel went to her and said, “Greetings, you who are highly favored! The Lord is with you.”
1:29 처녀가 그 말을 듣고 놀라 이런 인사가 어찌함인고 생각하매
1:30 천사가 이르되 마리아여 무서워하지 말라 네가 하나님께 은혜를 입었느니라
1:31 보라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1:32 그가 큰 자가 되고 지극히 높은신 이의 아들이라 일컬어질 것이요 주 하나님께서 그 조상 다윗의 왕위를 그에게 주시리니
1:33 영원히 야곱의 집을 왕으로 다스리실 것이며 그 나라가 무궁하리라
29 Mary was greatly troubled at his words and wondered what kind of greeting this might be. 30 But the angel said to her, “Do not be afraid, Mary; you have found favor with God. 31 You will conceive and give birth to a son, and you are to call him Jesus. 32 He will be great and will be called the Son of the Most High. The Lord God will give him the throne of his father David, 33 and he will reign over Jacob’s descendants forever; his kingdom will never end.”
1:34 마리아가 천사에게 말하되 나는 남자를 알지 못하니 어찌 이 일이 있으리이까
34 “How will this be,” Mary asked the angel, “since I am a virgin?”
1:35 천사가 대답하여 이르되 성령이 네게 임하시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능력이 너를 덮으시리니 이러므로 나실 바 거룩한 이는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어지리라
1:36 보라 네 친족 엘리사벳도 늙어서 아들을 배었느니라 본래 임신하지 못한다고 알려진 이가 이미 여섯 달이 되었나니
1:37 대저 하나님의 모든 말씀은 능하지 못하심이 없느니라
35 The angel answered, “The Holy Spirit will come on you, and the power of the Most High will overshadow you. So the holy one to be born will be called the Son of God. 36 Even Elizabeth your relative is going to have a child in her old age, and she who was said to be unable to conceive is in her sixth month. 37 For no word from God will ever fail.”
1:38 마리아가 이르되 주의 여종이오니 말씀대로 내게 이루어지이다 하매 천사가 떠나가니라
38 “I am the Lord’s servant,” Mary answered. “May your word to me be fulfilled.” Then the angel left her.
크리스마스 주간을 맞이하여 특별한 하나님의 은혜가 넘치기를 기도합니다.
그런데 어떤 하나님의 은혜를 받기를 원하십니까? 여기서 은혜는 하나님이 거저 주시는 선물을 뜻합니다.
오늘 본문을 통해서 우리가 누려야 할 하나님의 은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본문을 살펴 보기 전에 먼저 누가복음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저자인 누가는 사도 바울의 동역자요 조수로서 대필을 했던 헬라인이었습니다.
누가는 당시 학문의 도시인 다소에서 의학을 습득한 것으로 보이며, 복음서에 나타난 역사가적 치밀성이나 신학자적 통찰력은 그의 지식과 학문의 수준이 상당함을 보여줍니다.
그는 실제로 예수님을 만난 적은 없습니다. 그래서 그는 주로 예수님을 직접 목격한 자들의 증언을 통해서 복음서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누가 본인이 직접 서두에 밝힌 바입니다.
처음부터 목격자와 말씀의 일꾼 된 자들이 전하여 준 그대로
내력을 저술하려고 붓을 든 사람이 많은지라 (눅1:2)
As we enter the Christmas season, I pray that God's special grace overflows in your life.
But what kind of grace from God are you hoping to receive? Here, grace refers to the free gift given by God. Through today's passage, let us explore the kind of grace from God that we ought to enjoy.
Before delving into the passage, let us first take a brief look at the Gospel of Luke.
The author, Luke, was a Greek and a companion and assistant of the Apostle Paul, serving as a scribe. Luke is believed to have acquired medical knowledge in Tarsus, a city known for its academic excellence at the time. His Gospel demonstrates a remarkable level of scholarly precision and theological insight, reflecting his extensive knowledge and intellectual depth.
Interestingly, Luke never met Jesus in person. Instead, he composed his Gospel based on the testimonies of those who directly witnessed Jesus. Luke himself acknowledges this in the introduction to his Gospel:
Just as they were handed down to us by those who from the first were eyewitnesses and servants of the word (Luke 1:2).
그런데 어떻게 예수님을 직접 만난 자들이 기록한 것도 아닌 글이 복음서로 채택될 수 있었을까요?
바로 사도 바울의 사도적 권위 때문입니다. 사도 바울이 순교할 때까지 곁을 지키면 동고동락했던 누가는 사도 바울과 사도들을 통해 들은 바를 전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초대교회의 변증가이자, 라틴 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터툴리안Tertullianus은 누가복음은 바울복음이다 라고 말할 정도였습니다.
이러한 누가의 복음서는 다른 복음서에 비해서 독특한 특성이 있습니다.
복음서가 4개인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보는지 관점에 따른 다양성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초대교회 신학자들은 각 복음서의 특징에 따라 각 복음서를 동물에 비유하여 불렀습니다.
학자들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마태는 유대인의 왕으로 오신 예수에 집중하여 백수의 왕인 사자 복음으로, 마가는 종으로 오신 예수에 집중하여 묵묵히 자기의 길을 가는 황소 복음으로, 요한은 하나님이신 예수에 집중하여 전혀 다른 관점이기에 독수리 복음으로 불립니다.
그리고 누가는 인간으로 오신 예수에 집중하여 인자의 복음으로 불립니다.
이처럼 누가는 인간 예수에 집중하여 복음서를 기록하고 있으며, 의사로서 직업적인 그의 특성과 당시 사회적으로 신분이 낮고 천한 사람들에게 그의 관심이 집중된 특성을 보여줍니다.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10:29~42), 미련한 부자 비유(12:13~21), 부자와 나사로 비유(16:19~31)가 오직 누가복음에만 등장하는 것이 이러한 누가복음만의 특성을 잘 반영합니다.
But how could writings from someone who had never met Jesus directly be included in the canon of Scripture? The answer lies in the apostolic authority of Paul. Luke, who stayed by Paul's side until his martyrdom, faithfully conveyed what he learned from Paul and the other apostles. As a result, Tertullian, an early Church apologist and father of Latin theology, referred to Luke's Gospel as "Paul's Gospel."
Luke's Gospel also stands out with its uniqu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other Gospels.
The existence of four Gospels reflects the diversity of perspectives on Jesus Christ. Early Church theologians symbolized each Gospel with an animal, highlighting its distinct attributes. While interpretations differ slightly among scholars, the general consensus is as follows:
Matthew focuses on Jesus as the King of the Jews, symbolized by a lion, the king of beasts. Mark emphasizes Jesus as a servant, represented by an ox, a hardworking and steadfast animal. John highlights Jesus as God, offering a transcendent perspective, symbolized by an eagle. Luke centers on Jesus as the Son of Man, representing humanity and is symbolized by a human figure.
Thus, Luke’s Gospel emphasizes the humanity of Jesus. As a physician, Luke demonstrates a professional sensitivity to detail and a particular concern for those of low social status or marginalized positions in society.
This is reflected in parables unique to Luke's Gospel, such as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Luke 10:29–42), the Parable of the Rich Fool (Luke 12:13–21), and the Parable of the Rich Man and Lazarus (Luke 16:19–31). These stories showcase Luke's distinct focus and compassionate perspective.
하나님의 은혜라고? (26~33절)
오늘 본문은 여섯째 달에(26) 라고 시작합니다.
이것은 제사장 사가랴와 엘리사벳 가정에 세례 요한이 잉태된 후 6개월이 지난 것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전령인 천사장 가브리엘이 이번에도 마리아에게 수태고지를 합니다. 누가가 정확하게 마리아가 처녀임을 밝히는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죄성을 가진 인간으로 오신 것이 아닌 성령의 능력에 의해 잉태된 것(35)입니다. 이것은 우리 기독교의 매우 중요한 교리입니다.
이 교리가 무너지면 구원은 없습니다.
현대인들도 그렇고, 당시 초대교회 성도들도 그렇고, 수태고지를 받는 마리아도 남자를 알지 못하는 처녀가 임신을 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성경은 분명히 성령이 네게 임하시고 지극히 높으신 이의 능력이 너를 덮으리니(35)라고 독자들의 의문에 정답을 제시합니다.
가브리엘은 마리아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마리아여 무서워하지 말라 네가 하나님께 은혜를 입었느니라 (30) 너무 기쁜 일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입다니요. 그런데 문제는 다음으로 전하는 말입니다.
보라!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31)
요즘 말로 헐~ 입니다. 아니 어떻게 처녀가 잉태를 한 것이 하나님의 은혜입니까?
당시 샴마이 학파 랍비들은 약혼한 여인이 부정을 저지르면 투석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어떻게 은혜가 됩니까? 우리는 복음서의 결국을 알기 때문에 이것이 왜 은혜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예수는 여호와는 구원이시다 라는 의미로 히브리어 여호수아 의 이름을 헬라어로 발음한 것입니다. 온 인류의 구원자이신 예수가 마리아를 통해서 이 땅에 오시기에 이것은 은혜입니다.
하지만 당시 처녀인 마리아에게는 천정벽력과 같은 소식인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우리는 자주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기도를 합니다. 그런데 그 때 하나님이 마리아와 같은 응답을 주신다면 어떨 것 같습니까?
하나님의 선물은 내가 원하는 대로가 아니라, 주시고 싶은 분의 마음대로 주시는 것입니다.
내 마음에 들지 않는 은혜, 더 나아가 너무도 위험하고 부담스러운 선물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God's Grace? (Verses 26–33)
Today's passage begins with the phrase, "In the sixth month" (v.26).
This refers to six months after John the Baptist had been conceived in the household of the priest Zechariah and Elizabeth. Now, God’s messenger, the archangel Gabriel, delivers another announcement, this time to Mary. Luke explicitly emphasizes Mary's virginity to affirm the divinity of Jesus Christ. Jesus was not conceived as a man with a sinful nature but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v.35). This is a foundational doctrine of Christianity.
Without this doctrine, there is no salvation.
Both modern individuals and the people of the early church, including Mary herself, would have found it inconceivable for a virgin to become pregnant. Yet, the Bible provides the clear answer: "The Holy Spirit will come upon you, and the power of the Most High will overshadow you" (v.35). Gabriel reassures Mary by saying, "Do not be afraid, Mary; you have found favor with God" (v.30). What an incredible statement! To find favor with God! However, the next part of Gabriel’s message raises a significant question:
"Behold, you will conceive in your womb and bear a son, and you shall call his name Jesus" (v.31). To put it in modern terms, one might exclaim, "What?! How is a virgin conceiving a child supposed to be God's grace?"
At the time, the rabbinical Shammai school taught that an engaged woman found guilty of infidelity was to be stoned to death.
So how could this possibly be considered grace?
We, as readers, can understand why this is grace because we know the ultimate outcome of the Gospel. The name "Jesus" means "Yahweh is salvation," derived from the Hebrew name Joshua and pronounced in Greek as "Iēsous." Jesus, the Savior of all humanity, came to this world through Mary, making this a profound act of grace.
However, for Mary, a virgin at that time, this news must have felt like a bolt from the blue.
Here, we need to reflect on the concept of God’s grace. Often, we pray for God’s grace. But what if God responded with an answer like the one Mary received?
God’s gifts are not given according to our desires but according to His will and purpose.
What would you do if the grace you received didn’t align with your expectations—or if it came in the form of a gift so challenging and overwhelming that it seemed almost unbearable?
순종 (34~38절)
어린 소녀의 반응을 주목해 보십시오. 하나님의 능력으로 이미 엘리사벳이 임신을 했고, 마리아 역시 성령의 임재와 하나님의 능력으로 잉태할 것을 천사가 말합니다. 그리고는 대저 하나님의 모든 말씀은 능하지 못하심이 없느니라(37) 라는 천사의 선포에 그녀는 다음과 같이 대답합니다.
주의 여종이오니 말씀대로 내게 이루어지이다(38)
이것은 죽으면 죽으리이다(에 4:16) 라고 고백하며 왕 앞에 나갔던 에스더 여왕과 같은 고백입니다.
이런 고백을 위해서는 능하지 못함이 없는 전능하신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강력한 믿음이 필요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계속되는 은혜를 베풀고 계십니다. 우리에게 요구되는 믿음은 내가 받고 싶고, 내가 원하는 은혜만을 구하는 믿음이 아닙니다. 어떤 은혜든지 간에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라면 아멘! 하고 받는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마리아처럼 주의 여종이오니 말씀대로 내게 이루어지이다 라고 입술로 고백하고 시인하는 믿음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Obedience (Verses 34–38)
Pay attention to the response of this young girl. The angel tells Mary that Elizabeth has already conceived through God’s power, and Mary herself will conceive by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and God’s mighty power. Then, the angel declares, “For no word from God will ever fail” (v.37). In response, Mary answers:
“I am the Lord’s servant. May your word to me be fulfilled” (v.38).
This response is reminiscent of Queen Esther’s declaration, “If I perish, I perish” (Esther 4:16), when she approached the king. Such a confession requires unwavering faith in the omnipotent Word of God, who can accomplish anything.
God continues to pour out His grace upon us. The faith required of us is not one that seeks only the grace we desire or wish to receive. Rather, it is the faith that accepts any grace God chooses to give with a heartfelt “Amen!” We must have the faith to declare, as Mary did, “I am the Lord’s servant. May your word to me be fulfilled.”
하나님의 은혜와 말씀은 계속 선포될 것입니다. 내가 인정하든 하지 않든 상관없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선포되고 전능하신 이의 말씀은 이루어질 것입니다.
선택은 우리의 믿음의 고백에 달렸습니다. 그 은혜를 누리든, 거부하든…
믿음으로 전능하신 이의 말씀에 아멘 하고, 입술로 고백하여, 놀라우신 하나님의 은혜를 누리는 성도 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God’s grace and Word will continue to be proclaimed, whether we acknowledge them or not. The Word of God will be declared, and the Word of the Almighty will be fulfilled.
The choice lies in our confession of faith—whether to embrace or reject that grace...
May you, by faith, respond to the Word of the Almighty with an “Amen!” and confess with your lips, so that you may experience the amazing grace of God. In the name of the Lord, I bless you to be a believer who enjoys His boundless grac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