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 내가 보니 바다에서 한 짐승이 나오는데 뿔이 열이요 머리가 일곱이라 그 뿔에는 열 왕관이 있고 그 머리들에는 신성 모독 하는 이름들이 있더라
13:2 내가 본 짐승은 표범과 비슷하고 그 발은 곰의 발 같고 그 입은 사자의 입 같은데 용이 자기의 능력과 보좌와 큰 권세를 그에게 주었더라
13:3 그의 머리 하나가 상하여 죽게 된 것 같더니 그 죽게 되었던 상처가 나으매 온 땅이 놀랍게 여겨 짐승을 다르고
13:4 용이 짐승에게 권세를 주므로 용에게 경배하며 짐승에게 경배하여 이르되 누가 이 짐승과 같으냐 누가 능히 이와 더불어 싸우리요 하더라
[The Beast out of the Sea]
1 The dragon stood on the shore of the sea. And I saw a beast coming out of the sea. It had ten horns and seven heads, with ten crowns on its horns, and on each head a blasphemous name. 2 The beast I saw resembled a leopard, but had feet like those of a bear and a mouth like that of a lion. The dragon gave the beast his power and his throne and great authority. 3 One of the heads of the beast seemed to have had a fatal wound, but the fatal wound had been healed. The whole world was filled with wonder and followed the beast. 4 People worshiped the dragon because he had given authority to the beast, and they also worshiped the beast and asked, “Who is like the beast? Who can wage war against it?”
13:5 또 짐승이 과장되고 신성 모독을 말하는 입을 받고 또 마흔두 달 동안 일할 권세를 받으니라
13:6 짐승이 입을 벌려 하나님을 향하여 비방하되 그의 이름과 그의 장막 곧 하늘에 사는 자들을 비방하더라
13:7 또 권세를 받아 성도들과 싸워 이기게 되고 각 족속과 백성과 방언과 나라를 다스리는 권세를 받으니
13:8 죽임을 당한 어린 양의 생명책에 창세 이후로 이름이 기록되지 못하고 이 땅에 사는 자들은 다 그 짐승에게 경배하리라
5 The beast was given a mouth to utter proud words and blasphemies and to exercise its authority for forty-two months. 6 It opened its mouth to blaspheme God, and to slander his name and his dwelling place and those who live in heaven. 7 It was given power to wage war against God’s holy people and to conquer them. And it was given authority over every tribe, people, language and nation. 8 All inhabitants of the earth will worship the beast—all whose names have not been written in the Lamb’s book of life, the Lamb who was slain from the creation of the world.
13:9 누구든지 귀가 있거든 들을지어다
9 Whoever has ears, let them hear.
13:10 사로잡힐 자는 사로잡혀 갈 것이요 칼에 죽을 자는 마땅히 자기도 칼에 죽을 것이니 성도들의 인내와 믿음이 여기 있느니라
10 “If anyone is to go into captivity,
into captivity they will go.
If anyone is to be killed with the sword,
with the sword they will be killed.”
This calls for patient endurance and faithfulness on the part of God’s people.
여러분 요한계시록을 편지의 형태로 받았을 초대교회는 매우 심한 핍박과 박해를 받고 있었습니다. 로마황제 네로때부터 시작된 핍박과 박해는 요한이 살던 당시의 로마황제 도미티아누스때에 그 절정에 치달아 단순히 우상숭배가 아닌 황제숭배를 하지 않으면 옥에 갇히거나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절체절명의 상황이었습니다. 그들이 우러러보던 많은 사도들이 순교를 하였습니다. 사도 요한조차도 복음을 전하다 정치범으로 몰려 밧모섬에 갇히게 되었습니다. 이런 심한 환난과 고통속에서 어찌해야할지 모르는 교회들에게 오늘 사도요한은 이들이 받고 있는 핍박은 실로 고통스러운 것이지만 결코 영원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들의 눈에는 로마제국과 그 황제가 세상을 영원히 지배할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모든 것은 하나님의 주권 아래 있으며 그들은 잠시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시간동안만 활개를 치는 것임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이 진정으로 충성을 맹세하며 경배해야 할 대상은 오직 예수님 뿐입니다. 십자가에서 우리를 대신하여 죽으시고 하늘 보좌에 앉으신 하나님의 어린양 뿐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성도에게 이러한 고난과 환난의 때가 올때에는 인내와 믿음으로 이 시간이 지날때까지 충성으로 견뎌야하는 것입니다. 이 시간은 반드시 지나갈 것입니다.
Brothers and sisters, when the early church received the Book of Revelation in letter form, they were experiencing severe persecution. The persecution that began under Emperor Nero reached its peak during Emperor Domitian's reign, when John was alive. It wasn't just about idol worship anymore - refusing to worship the emperor could lead to imprisonment or death. It was truly a life-or-death situation. Many apostles they looked up to had been martyred. Even the Apostle John was imprisoned on the island of Patmos as a political prisoner for preaching the gospel. To these churches suffering in severe tribulation and uncertainty, the Apostle John declares that while their persecution is indeed painful, it is not eternal. Though in their eyes the Roman Empire and its emperor seemed to rule the world forever, in reality, everything was under God's sovereignty. These persecutors could only operate within the time God had allowed them. Therefore, the only one they should truly pledge allegiance to and worship is Jesus - the Lamb of God who died for us on the cross and now sits on the heavenly throne. This means that when such times of suffering and tribulation come upon believers, we must endure with patience and faith until these times pass. And they will surely pass.
오늘 말씀에서 짐승으로 대표되는 이 세상의 권세에 대해 알아보시겠습니다. 오늘 말씀 1-2절을 보니 용, 즉 사탄이 바다에서 한 짐승을 불러옵니다. 그 짐승의 모습은 표범과 비슷하고 곰의 발, 또 사자의 입을 가졌다고 합니다. 다니엘서 7:1-7까지의 말씀을 보시면 다니엘이 이와 비슷한 환상을 봅니다. 다니엘의 환상에서는 한 짐승이 아니라 네 짐승이 바다에서 나오는데 첫째는 사자, 둘째는 곰, 셋째는 표범과 같고 넷째 짐승은 전의 모든 짐승과 다르고 열 뿔이 있더라라고 합니다. 그런데 다니엘서에서는 이 환상에 대해 천사가 직접 해석을 해주는 장면이 나옵니다. 다니엘서 7:17입니다.“그 네 큰 짐승은 세상에 일어날 네 왕이라” 다니엘서 예언의 네 짐승은 이스라엘을 괴롭힌 네 제국을 가르킵니다. 각각 아수르제국, 바빌론제국, 페르시아 제국, 그리고 로마 제국을 상징합니다. 그런데 오늘 계시록에서의 짐승은 이 네 짐승을 합한 모습을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짐승은 요한의 시대에 교회를 박해하였던 로마제국 뿐만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초대교회의 때부터 예수님의 재림까지 하나님과 교회를 대적하며 활동할 악한 나라들과 통치자들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In today's message, we'll examine the worldly power represented by the beast. Looking at verses 1-2, we see the dragon - Satan - calling forth a beast from the sea. This beast resembles a leopard, has feet like a bear, and a mouth like a lion. If we look at Daniel 7:1-7, Daniel sees a similar vision. In Daniel's vision, not one but four beasts emerge from the sea - the first like a lion, the second like a bear, the third like a leopard, and the fourth beast different from all others, having ten horns. In Daniel, an angel interprets this vision. Daniel 7:17 states, "The four great beasts are four kings that will rise from the earth" (NIV). The four beasts in Daniel's prophecy represent four empires that oppressed Israel: the Assyrian, Babylonian, Persian, and Roman empires. In today's passage from Revelation, the beast combines characteristics of all four beasts. Therefore, this beast symbolizes not only the Roman Empire that persecuted the church in John's time but also all evil nations and rulers who will oppose God and the church from the early church era until Christ's return.
오늘 말씀에 드러나는 대적의 힘은 실로 막강합니다. 3절을 보니 그 머리 하나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납니다. 그 모습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이 짐승을 따릅니다. 이 모습은 마치 부활하신 예수님의 모습을 따라하는 것 같습니다. 이는 그리스도를 따라하지만 그리스도를 대적하는 존재. 즉, 적그리스도의 상징입니다. 실제로 요한계시록이 쓰여질 당시의 로마에서는 황제였던 네로가 부활한다는 전설이 있었습니다. 네로는 교회를 극렬하게 박해했던 황제였습니다. 그는 AD68년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지만 2세기초까지도 많은 사람들은 그의 죽음을 믿지 않았습니다. 그가 살아 있다고 믿거나 죽었지만 부활해서 돌아오리라고 믿었습니다. 이런 해석은 요한계시록 17:9-10에서 짐승의 일곱머리가 로마의 일곱 황제를 가리킨다는 말씀으로 뒷받침 됩니다. 즉 로마의 황제였던 그러니까 짐승의 머리중 하나였던 네로가 마치 적그리스도처럼 부활하는 것이지요. 그러나 적그리스도는 비단 네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것입니다. 실지로 네로는 부활하지 못하였지요. 1세기 교회의 입장에서는 네로가 적그리스도와 같은 존재였을지 모르나 우리는 역사를 통해서 어떠한 한 시대의 인물이나 특정국가와 같은 통치체계를 ‘마지막 적그리스도’라고 부르는 것은 어려움이 있음을 보아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이러한 해석을 통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네로와 같이 교회를 핍박하고 부활하신 주님을 흉내내는 적그리스도의 존재가 역사를 통해 재림의 순간까지 계속 나타날 것임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또는 최후의 심판이 임하는 마지막때에 이 예언의 적그리스도가 성취되는 것을 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The power of this adversary revealed in today's passage is truly overwhelming. Verse 3 shows that one of its heads appeared to be fatally wounded but was healed. Many people follow the beast because of this. This seems to mimic Christ's resurrection. It represents an anti-Christ figure - one who imitates Christ while opposing Him. In fact, during the time Revelation was written, there was a legend in Rome that Emperor Nero would resurrect. Nero was an emperor who severely persecuted the church. He took his own life in 68 AD, but many people until the early second century didn't believe in his death. They either believed he was still alive or would resurrect and return. This interpretation is supported by Revelation 17:9-10, where the beast's seven heads represent seven Roman emperors. However, the anti-Christ doesn't solely refer to Nero. We know historically that Nero never actually resurrected. While Nero might have been like an anti-Christ figure to the first-century church, history has shown us that it's difficult to identify any single historical figure or specific governmental system as the 'final anti-Christ.' Therefore, what we can understand from this interpretation is that anti-Christ figures like Nero, who persecute the church and imitate the risen Lord, will continue to appear throughout history until Christ's return. Or perhaps we might see this prophecy of the anti-Christ fulfilled in the final days before the last judgment.
다시 짐승으로 돌아옵니다. 이 짐승의 권세가 얼마나 대단한지 4절을 보니 사람들이 용과 짐승에게 경배를 하고 7절을 보니 성도들과의 싸움에서도 승리합니다. 그에게 각 족속과 백성과 방언과 나라를 다스리는 권세가 주어지는데 8절을 보니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한 이 땅에 사는 사람들은 모두 그 짐승에게 경배한다고 나와있습니다.
Returning to the beast - its power is extraordinary. Verse 4 shows people worshiping both the dragon and the beast, and verse 7 shows it victorious in its war against the saints. It was given authority over every tribe, people, language, and nation. Verse 8 tells us that all inhabitants of the earth whose names are not written in the book of life will worship the beast.
그러나 이 짐승에게 권세가 주어진다고 하는 부분이 본문에 계속 반복되는데, 본문에서 2절과 4절에서 용이 직접 권세를 주었다고 하는 부분을 제외한 5절과 7절의 권세를 받았다고 하는 표현은 신적수동태입니다. 즉, 하나님께서 그에게 권세를 주셨다는 것이지요. 결국 하나님의 뜻과 통치 아래에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5절을 보면 그가 마흔 두 달 동안 일할 권세를 받았다고 하지 않습니까? 그의 권세는 일시적인 것입니다. 그리고 그의 승리는 일시적인 결과입니다. 비록 그가 성도들을 박해하고 죽인다고 할지라도 역설적으로 성도들은 박해와 순교를 통해 궁극적으로 승리하는 것입니다. 8절의 말씀을 다르게 말하면 생명책에 기록된 자들은 짐승에게 경배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은 죽임당하신 하나님의 어린양, 하늘 보좌에 앉으신 예수님께 경배하는 이들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9절에 “누구든지 귀가 있거든 들을지어다”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10절에 “성도들의 인내와 믿음이 여기 있느니라” 라는 말씀은 선언인 동시에 명령입니다. 어떤 고난과 어려움에도 끝까지 믿음을 지키는 성도에 대한 칭찬인 동시에 이러한 성도가 되는 것을 바라는 명령인 것입니다.
However, while the text repeatedly mentions that the beast is "given" authority, it's important to note the passive voice used in verses 5 and 7 (apart from verses 2 and 4 where the dragon directly gives authority). This is the divine passive - meaning God is the one giving this authority. Everything remains under God's sovereign will and rule. That's why verse 5 specifically mentions that the beast was given authority for forty-two months. Its authority is temporary. Its victories are temporary. Though it may persecute and kill believers, paradoxically, the saints achieve ultimate victory through persecution and martyrdom. Verse 8, read another way, implies that those whose names are written in the book of life will not worship the beast. They worship the slain Lamb of God, Jesus Christ, who sits on the heavenly throne. That's why verse 9 says, "Whoever has ears, let them hear" (NIV). The declaration in verse 10 that "This calls for patient endurance and faithfulness on the part of God's people" (NIV) is both a commendation and a command - praising those who keep their faith through all hardships while calling all believers to such faithfulness.
말씀을 맺습니다. 초대교회는 로마제국의 핍박아래 자신들이 겪고 있는 고통과 어려움이 바로 종말의 때에 겪게되는 박해와 핍박이라고 생각했을지 모릅니다. 그들의 눈으로는 영원할 것 같았던 로마제국의 위상과 신으로 추앙받을만큼 대단했던 황제의 권력을 바로 이 짐승의 모습으로 투영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도요한은 이들에게 말하고 있습니다. 천상의 보좌에 앉아계신 하나님만이 진정한 주권자이시다. 용과 짐승은 하나님의 주권아래에서 허락하신 제한된 시간만큼만 활동 할 수 있다. 어떤 고난과 어려움 가운데서도 인내와 믿음을 지켜라 라고 말입니다. 우리는 역사를 통해 로마제국을 비롯하여 많은 제국들이 서고 무너지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마지막 때는 오지 않았습니다. 그때에는 오늘 말씀의 초대교회가 겪었던 것보다 더한 박해와 핍박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요한이 우리에게 전하는 메세지는 그가 초대교회에 전하였던 메세지와 동일합니다. 바로 주님께서 성도들에게 고난과 환난의 때에 구하시는 것은 인내와 믿음인것입니다. 어쩌면 여러분 중에는 이러한 마지막 때가 아닐지라도 지금 고난과 환난의 때를 지나고 게시는 분이 계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인내하십시오. 그리고 믿으십시오. 이 시간은 반드시 지나갈 것입니다. 기도하시겠습니다.
Let me conclude. The early church might have thought their suffering under Roman persecution was the tribulation of the end times. Through their eyes, they might have seen the beast as representing the seemingly eternal Roman Empire and its emperor's god-like power. Nevertheless, John tells them this: God alone, seated on the heavenly throne, is the true Sovereign. The dragon and beast can only operate within the limited time God allows. Keep your patience and faith through any hardship. Through history, we've seen the fall of many empires, including Rome. Yet the end times haven't come. When they do come, the persecution might be even worse than what the early church experienced. However, John's message to us is the same as his message to the early church: what the Lord requires from believers in times of tribulation and hardship is patience and faith. Perhaps some of you might be going through times of hardship and tribulation right now, even if it's not the end times. Be patient. Keep believing. This time will surely pass. Let us pray.
コ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