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40801 [새벽묵상] 놋 뱀까지 부수는 신앙 | Faith that Breaks even the Bronze Snake (왕하/2 Kings 18:1~12)



18:1 이스라엘의 왕 엘라의 아들 호세아 제삼년에 유다 왕 아하스의 아들 히스기야가 왕이 되니

18:2 그가 왕이 될 때에 나이가 이십 오세라 예루살렘에서 이십구 년간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아비요 스가리야의 딸이더라

18:3 히스기야가 그의 조상 다윗의 모든 행위와 같이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여

18:4 그가 여러 산당들을 제거하며 주상을 깨뜨리며 아세라 목상을 찢으며 모세가 만들었던 놋뱀을 이스라엘 자손이 이때까지 향하여 분향하므로 그것을 부수고 느후스단이라 일컬었더라

18:1 In the third year of Hoshea son of Elah king of Israel, Hezekiah son of Ahaz king of Judah began to reign. 2 He was twenty-five years old when he became king, and he reigned in Jerusalem twenty-nine years. His mother’s name was Abijah daughter of Zechariah. 3 He did what was right in the eyes of the Lord, just as his father David had done. 4 He removed the high places, smashed the sacred stones and cut down the Asherah poles. He broke into pieces the bronze snake Moses had made, for up to that time the Israelites had been burning incense to it. (It was called Nehushtan.)


18:5 히스기야가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의지하였는데 그의 전후 유다 여러 왕 중에 그러한 자가 없었으니

18:6 곧 그가 여호와께 연합하여 그에게서 떠나지 아니하고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계명을 지켰더라

18:7 여호와께서 그와 함께 하시매 그가 어디로 가든지 형통하였더라 저가 앗수르 왕을 배반하고 섬기지 아니하였고

18:8 그가 블레셋 사람들을 쳐서 가사와 그 사방에 이르고 망대에서부터 견고한 성까지 이르렀더라

5 Hezekiah trusted in the Lord, the God of Israel. There was no one like him among all the kings of Judah, either before him or after him. 6 He held fast to the Lord and did not stop following him; he kept the commands the Lord had given Moses. 7 And the Lord was with him; he was successful in whatever he undertook. He rebelled against the king of Assyria and did not serve him. 8 From watchtower to fortified city, he defeated the Philistines, as far as Gaza and its territory.


18:9 히스기야 왕 제사년 곧 이스라엘의 왕 엘라의 아들 호세아 제칠년에 앗수르의 왕 살만에셀이 사마리아로 올라와서 에워쌌더라

18:10 삼 년 후에 그 성읍이 함락되니 곧 히스기야 왕의 제육년이요 이스라엘 왕 호세아의 제구년에 사마리아가 함락되매

18:11 앗수르 왕이 이스라엘을 사로잡아 앗수르에 이르러 고산 강 가에 있는 할라와 하볼과 메대 사람의 여러 성읍에 두었으니

18:12 이는 그들이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아니하고 그의 언약과 여호와의 종 모세가 명령한 모든 것을 따르지 아니하였음이더라

9 In King Hezekiah’s fourth year, which was the seventh year of Hoshea son of Elah king of Israel, Shalmaneser king of Assyria marched against Samaria and laid siege to it. 10 At the end of three years the Assyrians took it. So Samaria was captured in Hezekiah’s sixth year, which was the ninth year of Hoshea king of Israel. 11 The king of Assyria deported Israel to Assyria and settled them in Halah, in Gozan on the Habor River and in towns of the Medes. 12 This happened because they had not obeyed the Lord their God, but had violated his covenant—all that Moses the servant of the Lord commanded. They neither listened to the commands nor carried them out.


 

 

이번 휴가는 앨라배마까지 로드트립을 해서 다녀왔습니다. 지나친 State만 해도 14개에 달합니다.

언제 다시 올까 싶어 시간이 가능했던 주에서는 스타벅스에 들러 기념품으로 그 지역의 명물을 그려 넣은 시리즈 컵을 구입했습니다. 집에 와서 세어보니 6개 정도였습니다.

나중에 저희 집에 방문하시는 분은 그 컵에 커피 한 잔 내려 드리겠습니다.

그리 비싸지 않은 컵이지만, 그것을 구입하면서도 혹시 하나님이 기뻐하시지 않는 것은 아닌지 조심스러웠습니다. 너무 하찮은 것에 집중하여 나의 기념비를 세우는 것은 아닌지… 왜냐하면 하나님은 우리가 하나님보다 더 집중하는 것은 무엇이든 기쁘시게 생각하지 않으시기 때문입니다.

뭐 그런 것까지 신경 쓰면 어떻게 사냐? 고 반문하시는 분도 있을 수 있지만, 이것이 우리 그리스도인이 사는 방식입니다. 조금이라도 하나님을 추구하는 것에 방해가 된다면 가차 없이 버릴 수 있는 것이 우리 크리스천의 삶의 태도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행히도 하나님께서 아직까지는 사온 컵들을 버려야 한다는 사인을 주시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다행입니다.


This Vacation, my family took a road trip all the way to Alabama. We passed through 14 states. In each state where time allowed, I stopped by Starbucks to purchase a series cup featuring the region's highlights. Upon returning home, I realized I had collected about six of them. If you visit my house, I’ll serve you a coffee in one of these cups.

Even though these cups aren't expensive, I wondered if buying them might not please God. I worried that I might be focusing too much on trivial things and creating my own monuments...God isn’t pleased with anything that takes more of our focus than Him.

Some might argue that worrying about such things is excessive, but this is how we Christians live. We should be ready to discard anything that hinders our pursuit of God. Fortunately, God hasn’t given me any sign that I need to get rid of these cups yet.



형통의 길 (1~8절)

우리는 본문에서 다윗 왕에 버금가는 왕을 만납니다. 유다의 13대 왕인 히스기야입니다.

열왕기저자는 그를 한마디로 그의 조상 다윗의 모든 행위와 같이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여(3)라고 소개합니다. 더 놀라운 것은 그의 아버지 아하스는 자신의 자식, 곧 히스기야의 형제 중 하나를 이방신에게 불로 태워 제사 지낸 유다 최악의 왕 중 하나입니다(16:3).

그럼에도 히스기야가 선왕과 달리 거룩한 왕이 될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밖에는 설명할 길이 없습니다. 매튜 헨리는 제사장 우리야가 그를 가르쳤을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여하튼 그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는 형통의 길이었습니다(7). 그렇다면 그의 형통의 비결이 무엇일까요?

첫째로 그는 오직 여호와만 의지하는 사람이었습니다(5). 

내가 의지하는 그것이 곧 나의 하나님입니다. 내 힘이나, 내 물질, 또는 내 경험을 의지한다면 그것이 나의 하나님입니다. 히스기야는 오직 여호와 하나님만 의지했습니다.

둘째로 그는 오직 여호와와 연합했습니다(6).

사람이 누구와 함께하느냐가 자신의 정체성입니다. 나에게 지금 영향력을 행사하는 존재는 누구입니까?

그 대상을 잘 정하는 것이 너무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평생을 함께 할 배우자를 정하는 것은 너무도 중요한 일입니다. 히스기야는 열국의 왕도 아닌, 강한 용병들도 아닌 오직 여호와와 연합했습니다.

셋째로 그는 오직 여호와의 말씀에 순종했습니다(3, 6b).

이것은 정확하게 죄와 반대되는 행위입니다. 죄는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도 않고, 듣지 않음으로 순종하지 않는 것입니다. 내가 지금 듣는 그것이 곧 나의 믿음입니다. 부정적이고 악하고, 음란한 말만 듣는 다면 그것이 곧 나의 믿음이 될 것이고, 긍정적이고, 선하며 빛에 속한 소망의 말씀을 듣는다면 그것이 곧 나의 믿음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듣는 그 말에 나도 모르게 순종하게 될 것입니다.

히스기야는 여호와의 말씀을 듣고 따르다 보니 구체적인 행위에 이르게 됩니다.


Path of Prosperity (Verses 1-8)

In today's scripture, we meet a king who rivals King David. Hezekiah, the 13th king of Judah, is introduced as one who “did what was right in the eyes of the Lord, just as his father David had done” (v. 3). It’s remarkable considering his father Ahaz was one of Judah's worst kings, even sacrificing one of Hezekiah’s brothers to foreign gods (16:3). Hezekiah’s righteousness can only be attributed to God’s grace.

Matthew Henry suggests that the priest Uriah might have mentored him. Regardless, Hezekiah walked the path that the Lord blessed (v. 7). What was his secret to prosperity?


  1. He Trusted Only in the Lord (v. 5) What we trust in becomes our god. If we rely on our strength, wealth, or experience, these become our gods. Hezekiah trusted only in the Lord.

  2. He United Only with the Lord (v. 6) One’s identity is shaped by whom they associate with. Who influences you the most? It’s crucial to choose the right association, especially in choosing a lifelong partner. Hezekiah united not with other kings or mercenaries but with the Lord.

  3. He Obeyed Only the Lord’s Commands (v. 3, 6b) This is the opposite of sin, which is ignoring and disobeying God’s word. What we listen to shapes our faith. If we listen to negativity and evil, that’s what we’ll believe. If we listen to positive, hopeful words from the Lord, that’s what we’ll believe. We inevitably obey what we listen to. Hezekiah listened to and followed the Lord’s commands, leading to specific actions.



먼저는 그 어떤 왕도 하지 않았던 산당을 제거하고, 주상과 아세라 목상을 깨뜨렸습니다(4).

심지어 그의 이러한 순결한 말씀에 대한 순종은 미디안 광야에서 불평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이 불뱀에 물려 죽어갈 때 모세가 만들어 그들을 살렸던 놋 뱀(민 21:9)까지 부수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그는 이것을 느후스단, 곧 놋 조각이라고 불렀습니다. 놀랍습니다! 만일 이 놋 뱀이 오늘까지 남아있었다면, 이것은 분명이 루브르박물관이나 대영제국박물관에 전시되어 매년 수만명의 관광객을 모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 유서 깊은 영적인 유물을 그는 왜 가루로 만들어 버리고 놋 조각에 불과하다고 말했을까요?

송병현 교수는 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세월이 지나면서 어느새 하나님이 아닌 구리 뱀 자체를 기념하고 그 앞에 분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은혜를 기념하는 도구가 우상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그 어떤 종교적 유물이라도 오직 하나님을 경배하고 그분께 영광 돌리는 일에 걸림돌이 된다면 없애야 하기 때문이다.

 

놋 뱀은 더 이상 은혜의 상징이 아닌 우상이 된 것입니다. 그래서 그는 그것을 없앤 것입니다.

히스기야는 우상숭배를 없앨 뿐 아니라, 또한 앗수를 왕을 배신하고 조공을 바치지 않습니다.

오직 여호와만 섬기며, 그와 연합하고, 그의 말씀에 순종하는 모습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그가 어디로 가든지 형통할 수 있었던 비결입니다.

 

He removed the high places, smashed the sacred stones, and cut down the Asherah poles (v. 4).


Even his obedience to this pure word led him to destroy the bronze serpent that Moses had made to save the Israelites from the fiery serpents in the wilderness of Midian (Num. 21:9). He called it Nehushtan, meaning "piece of bronze." It's amazing! If this bronze serpent had survived until today, it would certainly have been on display at the Louvre or the British Museum, attracting tens of thousands of visitors every year.

Why did Hezekiah destroy this significant religious artifact?

Professor Song Byung-hyun explains:

Over time, the Israelites started worshiping the bronze serpent itself instead of God… The tool commemorating grace had become an idol… Any religious artifact that hinders worshiping and glorifying God must be removed.

The bronze serpent had become an idol rather than a symbol of grace, so Hezekiah destroyed it. He not only removed idols but also stopped paying tribute to Assyria, demonstrating his sole devotion to the Lord. This total devotion and obedience were the secrets to his prosperity.



멸망의 길 (9~12절)

앗수르의 왕 살만에셀은 사마리아를 침공하여 3년만에 사마리아 성을 함락합니다.

하지만 그는 그 와중에(B.C.722년) 사망하고, 그의 형제 사르곤 2세가 앗수르의 왕이 되어 사마리아 함락을 마무리하고 이주정책을 펼쳐 이스라엘을 혼혈화 합니다.

이렇게 북이스라엘이 멸망한 이유를 열왕기저자는 다음과 같이 정확하게 설명합니다.

 

이는 그들이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아니하고 그의 언약과

여호와의 종 모세가 명령한 모든 것을 따르지 아니하였음이더라 (12)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아니하고, 그의 명령에 순종하지 않는 것, 그것이 곧 멸망의 길입니다.

 

히스기야는 왕들 가운데 다윗과 함께 유일하게 여호와께서 그와 함께 하셨다는 표현이 사용된 자입니다.

그렇게 될 수 있었던 이유는 하나님의 은혜요, 다음은 그가 모세의 놋 뱀까지도 부술 정도로 철저하게 말씀에 순종했기 때문입니다.

내가 부서 버려야 할 놋 뱀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일까요? 깨닫게 하시고, 깨달었으면 철저하게 순종하게 하시는 은혜가 히스기야에게 임했던 것처럼 우리게도 넘쳐 나기를 기도합니다.


Path of Destruction (Verses 9-12)

King Shalmaneser of Assyria invaded Samaria, and after three years, the city fell. Shalmaneser died during this period (722 B.C.), and his brother Sargon II completed the conquest and implemented policies to mix the Israelite race.

The author of Kings explains why northern Israel was destroyed:

This happened because they had not obeyed the Lord their God, but had violated his covenant—all that Moses the servant of the Lord commanded. They neither listened to the commands nor carried them out (v. 12).

Ignoring and disobeying the Lord’s commands leads to destruction.


Hezekiah was one of the few kings, along with David, who the Lord was with him.

This was due to God’s grace and Hezekiah’s strict obedience, even to the point of destroying the bronze serpent.

What “bronze serpent” do you need to destroy in your life? Pray for the grace to realize and thoroughly obey, just as Hezekiah did.

Comenta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