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40731 [새벽묵상] 이름 값은 하는 인생이 됩시다 | Let's Live a Life Worthy of Our Name (왕하/2 Kings 17:34~41)



17:34 그들이 오늘까지 이전 풍속대로 행하여 여호와를 경외하지 아니하며 또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이라 이름을 주신 야곱의 자손에게 명령하신 율례와 법도와 율법과 계명을 준행하지 아니하는도다

17:35 옛적에 여호와께서 야곱의 자손에게 언약을 세우시고 그들에게 명령하여 이르시되 너희는 다른 신을 경외하지 말며 그를 경배하지 말며 그를 섬기지 말며 그에게 제사하지 말고

17:36 오직 큰 능력과 편 팔로 너희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신 여호와만 경외하여 그를 예배하며 그에게 제사를 드릴 것이며

17:37 또 여호와가 너희를 위하여 기록한 율례와 법도와 율법과 계명을 지켜 영원히 행하고 다른 신들을 경외하지 말며

17:38 또 내가 너희와 세운 언약을 잊지 말며 다른 신들을 경외하지 말고

17:39 오직 너희 하나님 여호와만을 경외하라 그가 너희를 모든 원수의 손에서 건져내리라 하셨으나

34 To this day they persist in their former practices. They neither worship the Lord nor adhere to the decrees and regulations, the laws and commands that the Lord gave the descendants of Jacob, whom he named Israel. 35 When the Lord made a covenant with the Israelites, he commanded them: “Do not worship any other gods or bow down to them, serve them or sacrifice to them. 36 But the Lord, who brought you up out of Egypt with mighty power and outstretched arm, is the one you must worship. To him you shall bow down and to him offer sacrifices. 37 You must always be careful to keep the decrees and regulations, the laws and commands he wrote for you. Do not worship other gods. 38 Do not forget the covenant I have made with you, and do not worship other gods. 39 Rather, worship the Lord your God; it is he who will deliver you from the hand of all your enemies.”


17:40 그러나 그들이 듣지 아니하고 오히려 이전 풍속대로 행하였느니라

17:41 이 여러 민족이 여호와를 경외하고 또 그 아로새긴 우상을 섬기니 그들의 자자 손손이 그들의 조상들이 행하던 대로 그들도 오늘까지 행하니라

40 They would not listen, however, but persisted in their former practices. 41 Even while these people were worshiping the Lord, they were serving their idols. To this day their children and grandchildren continue to do as their ancestors did.


 

제가 어렸을 때 저희 가정은 강남 8학군에 살았던 꽤나 잘 나가는 집안이었습니다. 그런데 어머님이 하시던 사업이 부도가 나서 집안 형편이 점점 어려워졌고, 급기야 제가 중학교 시절에는 형과 저는 이모님과 함께 서울에 살면서 부모님은 경남 마산에 내려가셔서 잠깐 비즈니스를 하신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는 방학이 되기만을 기다렸습니다. 방학이 되면 엄마, 아빠가 있는 마산에 내려가서 함께 살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부모님이 계시던 동네에는 순교자 주기철 목사님이 8대 담임으로 시무하셨던 문창교회라는 유서 깊은 교회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방학 동안에는 당연히 부모님이 다니시던 그 교회를 출석했습니다.

첫 주일에 주보를 보면서 잊을 수 없는 이름을 보았습니다. 전통적인 교회였던 문창교회는 주보에 매주 헌금하신 분들의 이름을 소개했습니다. 그런데 그 주일 주보를 보니 헌금자 명단에 십일조 차판돈 이라고 써 있는 것입니다. 한번 들으면 잊을 수 없는 이름이지만, 그래도 그 장로님은 차를 판 돈에서도 십일조를 하는 자신의 이름 값을 하는 분이리라 생각합니다. 

 

When I was young, my family was quite well-off, living in the prestigious Gangnam 8 School District. However, my mother’s business went bankrupt, and our family’s financial situation gradually worsened. Eventually, when I was in middle school, my brother and I lived in Seoul with our aunt, while our parents moved to Masan in Gyeongnam to run a small business for a while.

During that time, I eagerly awaited school vacations. This was because during the vacations, I could go down to Masan and live with my mom and dad. In the neighborhood where my parents lived, there was a historic church called Munchang Church, where the martyr Pastor Ju Ki-cheol had served as the 8th pastor. So, during my vacations, I naturally attended that church with my parents.

On the first Sunday, while looking at the church bulletin, I saw a name I could never forget. Moonchang Church, being a traditional church, listed the names of those who had donated each week in the bulletin. That Sunday, the bulletin included a name in the donation list that read “Tithe from Car Sale Money.” It’s a name you can't forget once you hear it, but I thought that elder must truly live up to his name by tithing even from the money made from selling his car.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을 가진 자들이 마땅히 해야 할 일 (34~39절)   

야곱은 형 에서를 만나기 전날밤 얍복 강가에서 홀로 남아 하나님의 사자와 씨름을 합니다. 대부분 학자들은 그 사자를 구약에 종종 사람의 형상으로 나타나셨던 제2위 하나님이신 예수님으로 봅니다.

하나님의 사자는 야곱의 골반뼈를 쳐서 위골 되게 하였고, 그 이후로 야곱은 평생 장애를 얻게 됩니다.

하지만 그가 얻은 또 다른 것이 있었는데, 그것은 새로운 그의 이름 이스라엘이었습니다.

이후로는 구약성경에서 야곱은 이스라엘과 야곱이라고 번갈아 불리게 됩니다.

이스라엘은 새로운 야곱의 신분을 담은 이름입니다. 이스라엘의 의미는 하나님과 겨루어 이긴 자입니다.

인생 가운데 하나님과 겨루어 이길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당연히 없습니다. 온 우주에서 하나님과 겨루어 이길 자는 단 한 존재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왜 하나님은 야곱을 이길 수 없었을까요?

그것은 어린 아이와 그 아이를 사랑하는 아빠와의 씨름 또는 팔씨름을 생각해보면 됩니다.

사실 아빠와 아들의 씨름은 게임이 안 됩니다. 하지만 이기는 쪽은 늘 아들입니다.

아빠 하나님과 겨루어 이긴 자는 곧 하나님의 아들입니다. 하나님은 야곱의 허리에서 나오는 12지파를 하나님의 자녀 삼으신 것입니다. 바로 이스라엘은 그런 존재였던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자손에게 오직 여호와만 경외하며, 그의 율례를 지킬 것을 말씀하셨습니다.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What Those Called Israel Should Rightly Do (Verses 34-39)

The night before Jacob met his brother Esau, he was left alone at the Jabbok River and wrestled with the angel of God. Most scholars view this angel as Jesus, the second person of the Trinity, who often appeared in human form in the Old Testament.

The angel struck Jacob’s hip socket, causing it to be dislocated, and from then on, Jacob lived with a disability.

However, he gained something else: his new name, Israel.

From then on, in the Old Testament, Jacob was referred to alternately as Israel and Jacob.

Israel is a name that embodies Jacob's new identity. The meaning of Israel is "one who wrestles with God and prevails."

Is there anyone in life who can wrestle with and prevail over God? Of course not. There is no one in the entire universe who can wrestle with and prevail over God. So, why was God unable to prevail against Jacob?

It can be understood by thinking of a wrestling match or arm wrestling between a child and a loving father.

In truth, a match between a father and son is not a fair game. Yet, the son always wins.

The one who prevails against Father God is thus a child of God. God made the twelve tribes that came from Jacob His children. That was what Israel was.

God commanded the descendants of Israel to fear only the Lord and to keep His statutes.

The reasons why Israel should obey God's commands are as follows:



첫째로 하나님이 그들을 구속하셨기 때문입니다(35).  

하나님의 일방적인 은혜로 그들은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고, 또한 하나님의 일방적인 은혜로 그들은 애굽 400년 종살이에서 구원을 얻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당연히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백성, 자녀가 되었다면 이제는 그 신분에 걸맞은 삶을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십계명을 주신 것은 애굽에서 구원을 하시기 전이 아닌, 구원하신 후에 주셨습니다.

그러므로 계명이란 것은 구원을 얻기 위해 지키는 것이 아니라, 이미 구원을 받았기 때문에 지켜야 하는 것입니다. 왕의 자녀는 왕의 율법대로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First, because God redeemed them (verse 35).

By God's unilateral grace, they became His children, and by His unilateral grace, they were saved from 400 years of slavery in Egypt. Therefore, they must obey God's commands.

As God's people and children, they must now live lives befitting their new identity.

God gave the Ten Commandments not before He saved them from Egypt, but after He saved them.

Therefore, the commandments are not something to keep in order to be saved, but something to keep because they have already been saved. The children of the King must live according to the King's law.



둘째로 하나님의 율법을 지키는 것이 우리에게 유익이기 때문입니다(37).

열왕기 저자는 율법, 율례, 법도, 계명이라는 다양한 표현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강조합니다.

모두 하나님의 말씀을 의미하지만 그래도 분류해보자면, 율법은 히브리어 토라로 하나님의 명령을 포괄하는 단어입니다. 율례는 히브리어 후카로 도덕법, 의식법, 시민법, 사회법 등 세부적인 법규를 의미합니다. 법도는 히브리어 미쉬파트로 율례로부터 파생된 인간과 인간,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발생하는 모든 공적, 사적인 권리와 의무를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계명은 히브리어 미츠와로 십계명과 같이 법규화 되거나 성문화된 하나님의 말씀을 의미합니다. 

이 모든 율법은 하나님을 위한 것이 아닌, 우리 자신을 위한 것입니다. 율법은 우리를 위해서 하나님이 주신 사랑의 선물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지킬 때 우리는 영적, 정서적, 육체적인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참으로 신기한 것이 하나님께서 제물의 기름을 좋아하신다고 구약 성경은 기록합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영이시기 때문에 소나 양의 기름을 드시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왜, 제물의 기름을 다 태워 하나님께 먼저 드리기를 원하셨을까요? 아마도 우리의 건강까지 생각하신 것은 아닐까요?

의학이 발전한 현대 사회에서는 하나님께 먼저 드리라는 그 기름이 우리의 건강에 심각한 악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상식이 되었습니다. 모든 것을 아시는 하나님은 자녀의 건강까지도 배려하십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는 것은 우리에게 유익합니다.

이 계약의 기간은 영원입니다. 그리고 계약의 내용은 오직 여호와만 경외하는 것입니다(37~39).


Second, because keeping God's law benefits us (verse 37).

The author of the Kings emphasizes God's word using various expressions such as law, statutes, ordinances, and commandments.

While all these terms mean God's word, they can be categorized: the law (Torah in Hebrew) encompasses God's commands. Statutes (Hukah in Hebrew) refer to specific laws such as moral, ceremonial, civil, and social laws. Ordinances (Mishpat in Hebrew) derive from statutes and pertain to all public and private rights and duties between humans, and between God and humans. Lastly, commandments (Mitzvah in Hebrew) refer to codified or written laws like the Ten Commandments.

All these laws are for our benefit, not for God's. The law is a gift of love given by God for our sake. When we keep God's word, we can maintain spiritual, emotional, and physical health.

It's truly fascinating that the Old Testament records that God likes the fat of sacrifices.

However, since God is Spirit, He doesn't consume the fat of oxen or sheep. So why did He want the fat of sacrifices to be burned and offered to Him first? Perhaps He was considering our health?

In modern society, with advanced medicine, it is common knowledge that the fat God wanted offered first has a serious adverse effect on our health. God, who knows everything, even cares about His children's health.

Therefore, keeping God's word is beneficial to us.

The duration of this covenant is eternal. And the content of the covenant is to fear only the Lord (verses 37-39).



이름값도 못하는 이스라엘 (40~41절)

40절을 연결하는 접속사는 그러나 입니다. “그러나”가 나오면 불안합니다.

월요일 본문에서 말한 것처럼 죄의 첫번째 특징은 듣지 않는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사랑의 음성을 듣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다음은 이전 풍속대로 행했습니다.

오늘 현대인들의 모습과 다르지 않습니다.

듣지 않고, 세속주의에 물들어 나의 평안과 성공만을 추구하는 모습은 너무도 동일합니다.   

사도행전 11장을 보면 안디옥에서 바울이 사역을 하면서 사람들이 교회에 다니는 성도들에게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는 호칭을 사용합니다. 우리나라가 기독교 초기에 예수쟁이라는 호칭을 사용한 것돠 동일한 것입니다. ~쟁이라는 접미사는 보통 어떤 일에 미쳐서 그 일에 몰두한 사람을 비아냥거릴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그 어감 자체가 나쁘지 않습니다. 

마치 저 사람들은 말릴 수 없다! 대단하다 라는 느낌입니다. 우리에게 붙여진 이름 역시 이스라엘입니다.

한국식 표현은 예수쟁이입니다. 예수와 같은, 예수처럼, 예수에 미친 사람들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좋고 거룩한 이름 값을 하는 인생이 되고 싶습니다.

아빠 하나님을 닮은 하나님의 진정한 아들 딸이기를 원합니다.


Israel That Fails to Live Up to Its Name (Verses 40-41)

The conjunction that connects to verse 40 is "however." When "however" appears, it makes us uneasy.

As mentioned in Monday's scripture, the first characteristic of sin is not listening. The Israelites did not listen to God's loving voice. And next, they acted according to their former customs.

This is no different from the way modern people behave.

Not listening, being influenced by secularism, and only pursuing our own peace and success are all too similar.

In Acts 11, we see that when Paul was ministering in Antioch, people began to use the term "Christian" for those attending the church. This is similar to how, in the early days of Christianity in Korea, people used the term "Jesus freak." The suffix "-freak" (쟁이) is usually a derogatory term used to mock someone who is obsessed with a particular thing. However, the connotation itself is not entirely negative.

It conveys a sense of "Those people are unstoppable! They are remarkable." The name given to us is also Israel.

The Korean expression is "Jesus freak." It means people who are like Jesus, who are obsessed with Jesus, and who are like Jesus.

Let us live a life that honors this good and holy name.

Let us be a true son or daughter of God, resembling our Father God.

Comenta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