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4 앗수르 왕이 바벨론과 구다와 아와와 하맛과 스발와임에서 사람을 옮겨다가 이스라엘 자손을 대신하여 사마리아 여러 성읍에 두매 그들이 사마리아를 차지하고 그 여러 성읍에 거주하니라
17:25 그들이 처음으로 거기 거주할 때에 여호와를 경외하지 아니하므로 여호와께서 사자들을 그들 가운데에 보내시매 몇 사람을 죽인지라
17:26 그러므로 어떤 사람이 앗수르 왕에게 말하여 이르되 왕께서 사마리아 여러 성읍에 옮겨 거주하게 하신 민족들이 그 땅 신의 법을 알지 못하므로 그들의 신이 사자들을 그들 가운데에 보내매 그들을 죽였사오니 이는 그들이 그 땅 신의 법을 알지 못함이니이다 하니라
[Samaria Resettled]
24 The king of Assyria brought people from Babylon, Kuthah, Avva, Hamath and Sepharvaim and settled them in the towns of Samaria to replace the Israelites. They took over Samaria and lived in its towns. 25 When they first lived there, they did not worship the Lord; so he sent lions among them and they killed some of the people. 26 It was reported to the king of Assyria: “The people you deported and resettled in the towns of Samaria do not know what the god of that country requires. He has sent lions among them, which are killing them off, because the people do not know what he requires.”
17:27 앗수르 왕이 명령하여 이르되 너희는 그 곳에서 사로잡아 온 제사장 한 사람을 그 곳으로 데려가되 그가 그 곳에 가서 거주하며 그 땅 신의 법을 무리에게 가르치게 하라 하니
17:28 이에 사마리아에서 사로잡혀간 제사장 중 한 사람이 와서 벧엘에 살며 백성에게 어떻게 여호와 경외할지를 가르쳤더라
27 Then the king of Assyria gave this order: “Have one of the priests you took captive from Samaria go back to live there and teach the people what the god of the land requires.” 28 So one of the priests who had been exiled from Samaria came to live in Bethel and taught them how to worship the Lord.
17:29 그러나 각 민족이 각기 자기의 신상들을 만들어 사마리아 사람이 지은 여러 산당들에 두되 각 민족이 자기들이 거주한 성읍에서 그렇게 하여
17:30 바벨론 사람들은 숙곳브놋을 만들었고 굿 사람들은 네르갈을 만들었고 하맛 사람들은 아시마를 만들었고
17:31 아와 사람들은 닙하스와 다르닥을 만들었고 스발와임 사람들은 그 자녀를 불살라 그들의 신 아드람멜렉과 아남멜렉에게 드렸으며
17:32 그들이 또 여호와를 경외하여 자기 중에서 사람을 산당의 제사장으로 택하여 그 산당들에서 자기를 위하여 제사를 드리게 하니라
17:33 이와 같이 그들이 여호와도 경외하고 또한 어디서부터 옮겨왔든지 그 민족의 풍속대로 자기의 신들도 섬겼더라
29 Nevertheless, each national group made its own gods in the several towns where they settled, and set them up in the shrines the people of Samaria had made at the high places. 30 The people from Babylon made Sukkoth Benoth, those from Kuthah made Nergal, and those from Hamath made Ashima; 31 the Avvites made Nibhaz and Tartak, and the Sepharvites burned their children in the fire as sacrifices to Adrammelek and Anammelek, the gods of Sepharvaim. 32 They worshiped the Lord, but they also appointed all sorts of their own people to officiate for them as priests in the shrines at the high places. 33 They worshiped the Lord, but they also served their own gods in accordance with the customs of the nations from which they had been brought.
신학교 시절 비교종교학 수업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하루는 교수님이 타종교와의 대화를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에세이를 써오라는 과제를 주셨습니다. 과연 타종교와의 교류나 대화를 어디까지 할 수 있을까요?
신을 추구하는 문화적인 형태라는 점에서는 타종교와의 대화가 가능하지만, 분명히 다른 점은 여타 종교가 인간에서 출발하여 신을 찾는 것이라면, 기독교는 신이 먼저 인간을 찾아온 종교입니다.
이것을 계시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계시의 종교입니다. 이런 점에서 당연히 다른 종교와 배타적인 부분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이 부분이 타종교와 대화의 한계일 것입니다.
I took a comparative religion class in seminary.
One day, the professor gave us an assignment to write an essay about how far we can go in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How far can we actually go in interacting and conversing with other religions?
While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is possible in terms of the cultural forms that pursue Go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While other religions start with humans and seek God, Christianity is a religion where God first seeks humans.
This is called revelation. That is why Christianity is a religion of revelation.
In this respect, there are bound to be exclusive aspects with other religions. And this is where the limit of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lies.
실제로 팀 켈러 목사님은 생전에 교회에서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과 특별히 현대인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세속주의자(삶의 의미와 지침은 물론 행복의 기준을 현세에서 누리는 경제적 번영, 물질적 안락, 정서적 만족에 두고, 오직 그것만 추구하는 사람이나 삶의 형태)들을 대화하는 장을 만들었습니다.
서로의 신념 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어떤 것이 더 말이 되는지를 평가하는 모임이었습니다.
이 모임은 뉴욕타임스가 기사화할 정도였고, 팀 켈러 목사는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엮어 답이 되는 기독교 Making Sense of God 라는 책을 발매했습니다.
분명히 기독교는 타종교인들과 전도적인 차원과 같은 공간과 사회에서 함께 살아간다는 차원에서 대화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분명한 한계가 있음도 알아야 합니다. 너무 화합이나 통합, 이해와 배려를 강조하다 보면 신앙의 토착화 Inculturation or Indigenization 현상이 일어납니다.
신앙의 토착화는 본래 인도화 Indigenization 라고 하는데, 이것은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 사람들이 그들의 문화와 전통 속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인 것에서 기인한 단어입니다.
신앙의 토착화는 매우 무서운 현상입니다. 기독교의 형태를 띠지만, 전혀 기독교적이지 않은 이상한 종교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요즘 아프리카에서 일고 있는 기독교의 선풍적인 역사가 그래서 조심스러운 것입니다.
In fact, Pastor Tim Keller created a space for dialogue with people of other religions and especially secularists (people or lifestyles who base the meaning and guidance of life, as well as the standard of happiness, on worldly economic prosperity, material comfort, and emotional satisfaction, and pursue only that) in his church during his lifetime.
It was a gathering to compare and analyze each other's belief systems and evaluate which one made more sense.
This gathering was even reported by the New York Times, and Pastor Tim Keller compil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to a book called "Making Sense of God."
Certainly, Christianity needs dialogue with people of other religions in terms of evangelism and living together in the same space and society.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there are clear limits. If we emphasize harmony, integration, understanding, and tolerance too much, the phenomenon of inculturation or indigenization of faith occurs.
Inculturation of faith originally comes from the word "indigenization" which refers to the fact that Indians who were British colonies accepted Christianity within their own culture and traditions.
Inculturation of faith is a very scary phenomen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degenerate into a strange religion that only resembles Christianity but is not at all Christian. That is why the recent sensational history of Christianity in Africa is cautious.
너희는 알지 못하는 것을 예배하나 (24~26절)
우리는 요한복음 4장에서 예수님과 사마리아 여인의 대화를 들으면서 의아한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유대인들과 사마리아 사람들과의 적대적인 관계가 그렇습니다.
그 이유가 바로 오늘 본문에 잘 드러납니다. 포로기에 접어 들기 전부터 남유다와 북이스라엘은 결혼으로 정치적인 관계를 맺은 아합의 오므라 왕조시기를 제외하고는 사이가 좋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그 이후에 북이스라엘이 앗수르에 의해 멸망을 당하고, 오늘 본문에 기록된 것처럼 앗수르 왕이 이방인 이주 정책을 펼치면서 북이스라엘은 이방인과의 혼혈민족이 되었던 것입니다. 피가 섞인 것은 유대인들에게 아주 큰 치욕이고 불명예였습니다.
그러나 그보다 더 큰 문제는 그 수많은 이방인들이 가지고 들어온 이방 종교들이 여호와 유일신앙과 혼합이 되어 요상한 종교의 형태를 가진 것이었습니다. 열왕기 저자는 이것을 이렇게 요약합니다.
이와 같이 그들이 여호와도 경외하고 또한 어디서부터 옮겨 왔든지
그 민족의 풍습대로 자기의 신들도 섬겼더라 (33)
이것이 신앙의 토착화의 무서움입니다. 여호와 유일신 사상이 무너지고, 잡신들과 함께 하나님을 경배하는 것은 사실 여호와를 몰라서 믿지 않는 것보다 더 나쁜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은 사마리아 여인에게 너희는 알지 못하는 것을 예배한다(요 4:22)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You Worship What You Do Not Know (verses 24-26)
When we read the conversation between Jesus and the Samaritan woman in John 4, we often wonder about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Jews and the Samaritans. The reason for this is clearly revealed in today’s passage. Even before the exile, Judah and Israel had a strained relationship, except during the reign of King Ahab and Omri who established a political alliance through marriage. However, after Israel was destroyed by Assyria, the Assyrian king implemented a policy of resettling foreigners, as recorded in today’s passage, making Israel a mixed-race nation. Intermarriage was a great shame and disgrace for the Jews. But the bigger problem was that the many foreign religions brought in by these foreigners were mixed with the monotheistic faith of Yahweh, resulting in a strange form of religion. The author of Kings summarizes this as follows:
“They worshiped the Lord, but they also served their own gods in accordance with the customs of the nations from which they had been brought.” (verse 33).
This is the danger of syncretism. When the monotheistic belief in Yahweh collapses and people worship God along with other deities, it is actually worse than not knowing or believing in Yahweh. That is why Jesus told the Samaritan woman, “You worship what you do not know” (John 4:22).
잘못된 정책의 결과 (27~33절)
앗수르 왕의 이주정책은 하나님 보시기에 악한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사자를 보내어 몇 사람을 죽이게 하였습니다. 그러자 어떤 사람이 이 사실을 보고하였고, 앗수르 왕은 사로잡아 온 사람 중에서 제사장 한 사람을 보내어 여호와를 경외하는 법을 지도하게 합니다. 그 제사장은 벧엘에 살면서 사람들에게 여호와를 경외하는 법을 가르쳤습니다. 그런데 앞서 말했지만 그 결과는 혼합종교입니다(33).
어째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요?
매튜 헨리는 제사장이 아니라 차라리 선지라를 보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북이스라엘 선지자들은 아합과 이세벨의 영향을 받아 타락할 때로 타락하여 이미 우상숭배를 하는 혼합주의 신앙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것을 증명하는 것이 보냄 받은 제사장이 벧엘에 거했다는 사실입니다.
벧엘이 어디입니까? 바로 우상숭배의 본거지입니다. 금송아지를 만들어 섬겼던 바로 그곳입니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은 이렇게 하는 거야, 하지만 너희들이 믿는 신들을 섬기는 것도 문제없어, 왜냐하면 여호와 하나님은 인자하신 하나님이고, 상대방을 존중하는 세련된 하나님이거든!
유대인 학자들의 전승에 의하면 숙곳브놋은 암닭과 병아리의 모양으로, 네르갈은 수닭의 모양으로, 아시마는 매끈매끈한 염소의 모양으로, 닙하스는 개의 모양으로, 다르닥은 당나귀의 모양으로, 아드람멜렉은 공작의 모양으로, 그리고 아남멜렉은 꿩의 모양으로 형상화 되었다고 합니다.
사마리아 사람들은 이러한 것들과 함께 또 여호와를 경외한 것(32)입니다.
우리 삶에 여호와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섬기는 암닭과 병아리, 수닭과 염소, 개, 당나귀, 공장, 꿩은 무엇입니까? 세상 사람들은 세속주의는 합리적이며 신앙이 아니라고 말하지만, 세속주의야말로 성공과 행복, 돈과 명예만을 추구하는 일종의 신앙입니다.
오직 우리 인생에 답이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만 섬기는 종교가 기독교입니다.
그래서 기독교는 답이 되는 것입니다. 오직 하나님만, 오직 예수만 섬기는 우리가 되기를 원합니다.
The Consequences of a Flawed Policy (verses 27-33)
The Assyrian king's policy of resettlement was evil in the sight of God. Therefore, God sent lions to kill several people. When someone reported this, the Assyrian king sent one of the captured priests to teach the people to fear the Lord. This priest lived in Bethel and taught the people to fear the Lord.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the result was a mixed religion (33).
Why did this happen? Matthew Henry suggests that a prophet, rather than a priest, should have been sent. This is because the prophets of northern Israel, corrupted by the influence of Ahab and Jezebel, had already adopted a syncretistic faith that included idol worship. The fact that the sent priest lived in Bethel proves this. Where is Bethel? It is the very stronghold of idol worship. It is the place where the golden calf was made and worshiped.
"This is how you fear the Lord," they said, "but you may also serve your own gods according to the custom of the nations from which you were brought.
Jehovah God is a kind God and a refined God who respects others!"
Jewish tradition holds that Succoth-benoth was represented as a hen and her chicks, Nergal as a rooster, Ashima as a smooth he-goat, Nibhaz as a dog, Tartak as a donkey, Adrammelech as a peacock, and Anammelech as a partridge. The Samaritans feared the Lord along with these things (32).
What are the hens, roosters, goats, dogs, donkeys, peacocks, and partridges that we serve alongside the Lord God and Jesus Christ in our lives? Secularists claim that secularism is rational and not a religion, but secularism is a kind of religion that pursues only success, happiness, money, and fame.
Christianity is the only religion that has the answer in Jesus Christ.
Therefore, Christianity makes sense. Let us be people who serve only God, only Jesu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