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40628 [새벽묵상] 고치시고 먹이시는 하나님 | God Who Heals and Feeds (왕하/2 Kings 4:38~44)



4:38 엘리사가 다시 길갈에 이르니 그 땅에 흉년이 들었는데 선지자의 제자들이 엘리사의 앞에 앉은지라 엘리사가 자기 사환에게 이르되 큰 솥을 걸고 선지자의 제자들을 위하여 국을 끓이라 하매

[Death in the Pot]

38 Elisha returned to Gilgal and there was a famine in that region. While the company of the prophets was meeting with him, he said to his servant, “Put on the large pot and cook some stew for these prophets.”


4:39 한 사람이 채소를 캐러 들에 나가 들포도덩굴을 만나 그것에서 들호박을 따서 옷자락에 채워가지고 돌아와 썰어 국 끓이는 솥에 넣되 그들은 무엇인지 알지 못한지라

4:40 이에 퍼다가 무리에게 주어 먹게 하였더니 무리가 국을 먹다가 그들이 외쳐 이르되 하나님의 사람이여 솥에 죽음의 독이 있나이다 하고 능히 먹지 못하는지라

39 One of them went out into the fields to gather herbs and found a wild vine and picked as many of its gourds as his garment could hold. When he returned, he cut them up into the pot of stew, though no one knew what they were. 40 The stew was poured out for the men, but as they began to eat it, they cried out, “Man of God, there is death in the pot!” And they could not eat it.


4:41 엘리사가 이르되 그러면 가루를 가져오라 하여 솥에 던지고 이르되 퍼다가 무리에게 주어 먹게 하라 하매 이에 솥 가운데 독이 없어지니라

41 Elisha said, “Get some flour.” He put it into the pot and said, “Serve it to the people to eat.” And there was nothing harmful in the pot.


4:42 한 사람이 바알 살리사에서부터 와서 처음 만든 떡 곧 보리떡 이십 개와 또 자루에 담은 채소를 하나님의 사람에게 드린지라 그가 이르되 무리에게 주어 먹게 하라

[Feeding of a Hundred]

42 A man came from Baal Shalishah, bringing the man of God twenty loaves of barley bread baked from the first ripe grain, along with some heads of new grain. “Give it to the people to eat,” Elisha said.


4:43 그 사환이 이르되 내가 어찌 이것을 백 명에게 주겠나이까 하나 엘리사는 또 이르되 무리에게 주어 먹게 하라 여호와의 말씀이 그들이 먹고 남으리라 하셨느니라

4:44 그가 그들 앞에 주었더니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먹고 남았더라

43 “How can I set this before a hundred men?” his servant asked.


But Elisha answered, “Give it to the people to eat. For this is what the Lord says: ‘They will eat and have some left over.’” 44 Then he set it before them, and they ate and had some left over, according to the word of the Lord.


 

제가 한사랑 교회에 부임한 초창기 일입니다. 출석하는 학생들의 숫자가 많지 않아서 청년부와 청소년부가 연합으로 수련회를 갔습니다. 한국인이 운영하는 수양관이었는데, 교회에서 아이들을 격려해주기 위해 저와 함께 몇몇 장로님, 권사님이 방문하여 아이들과 같이 식사를 했습니다.

그리고 하루 뒤 수련회를 마치고 모두 복귀했는데, 한 두 명씩 배가 아파오더니 쉬지 않고 복통을 동반한 설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잠깐 방문하여 점심을 먹고 온 저 역시 복통과 설사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아마도 그날 점심에 나왔던 돼지 불고기가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단체 식중독에 걸린 것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참가자들이 식중독에 걸리는 참사가 벌어진 것입니다. 지금 생각해도 끔찍합니다. 사실 굉장히 큰 시험거리가 될 수 있는 문제였는데, 다행히도 모든 성도님들이 성숙한 자세로 이해해 주셨습니다.

 

This is from the early days when I first started serving at Hansarang Church. The number of students attending was not large, so the youth and young adults' ministries went on a joint retreat. It was at a retreat center run by Koreans, and to encourage the kids, a few elders and deacons visited with me and had a meal together with them.

The day after the retreat, everyone returned, and one by one, people started experiencing stomach aches followed by continuous diarrhea. I also suffered from stomach ache and diarrhea after having a meal there.

It seems that the pork bulgogi served for lunch that day was the culprit. Almost all participants suffered from food poisoning. It was a horrifying experience, but fortunately, all the congregants showed a mature attitude and understood the situation.



쓴 맛 인생을 고치시는 하나님 (38~41절)

열왕기하 4장과 5장은 엘리사의 5가지 이적이 기록된 장입니다. 한 과부와 한 귀부인에게 벌어진 이적이 앞서 기록되었고, 이제 오늘 본문은 세번째, 네번째 이적이 연달아 등장합니다.

이스라엘 땅에 흉년이 들었습니다. 이것은 왕하 8:1절에 등장하는 7년의 흉년과 동일한 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을 의지하는 백성인 의인들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그들은 환난 때에 부끄러움을 당하지 아니하며

기근의 날에도 풍족할 것이나 (시 37:19)

 

쉽지 않은 일입니다만, 오늘 본문이 이 말씀이 사실임을 증명합니다.

엘리사는 선지자 학교를 방문하였고, 생도들은 선지자 앞에 앉아 말씀에 집중했습니다.

식사 때가 되어 선지자는 게하시에게 큰 솥을 걸고는 선지생도들을 위하여 스프를 끓이라고 말합니다. 


God Who Heals Bitter Life (Verses 38-41)

2 Kings chapters 4 and 5 record five miracles of Elisha. Miracles involving a widow and a noblewoman were recorded earlier, and today's passage includes the third and fourth miracles.

There was a famine in the land of Israel, the same seven-year famine mentioned in 2 Kings 8:1. However, God spoke about the righteous people who rely on Him:


"In times of disaster they will not wither;

in days of famine they will enjoy plenty." (Psalm 37:19)


Although it is not easy, today's passage proves this statement to be true.

Elisha visited the school of prophets, and the students were sitting in front of him, focusing on the word. When it was time to eat, the prophet instructed Gehazi to set a large pot and cook stew for the prophets.



한 학생이 들에서 채소를 캐 왔습니다. 오늘 본문에서는 들포도 덩굴 들호박(39)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어떤 식물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벌 게이트역70인역은 이것을 콜로신스 Colocynth 라는 식물이라고 번역합니다.

한편 다른 학자들은 이것이 소위 소돔의 사과 Apple of Sodom 라고 불리는 식물이라고 주장합니다.

두 식물 모두 섭취할 때 쓴 맛을 내고, 설사와 복통을 유발하며,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른다고 합니다.

그래서 스프를 먹던 생도들이 솥에 죽음의 독이 있다(40)고 외친 것입니다. 도저히 먹을 수 없을 정도로 쓴 맛이 났던 것이 분명합니다.

그러자 엘리사는 가루를 가져오라고 합니다. 이 가루는 특별한 가루가 아닌 스프를 걸쭉하게 만들기 위한 밀가루나 평소에 사용하던 곡식 가루입니다. 그러니까 엘리사가 뭔가 특별한 행위를 한 것이 아닌, 그저 간이나 농도를 맞추기 위해 요리하는 일반적인 요리 행위를 한 것입니다.

그리고는 다시 떠다 먹게 했습니다. 그랬더니 쓴 맛이 사라지고 아주 맛있는 스프가 되었습니다.  

이 장면은 마치 예수님의 가나 혼인잔치에 포도주 이적을 보는듯한 느낌입니다.

하나님은 이처럼 독이 가득한 인생을 고치시는 분입니다. 쓴 맛 나는 인생에 예수님이 들어오셔서 단 맛나는 인생으로 바꾸셨습니다. 이것이 우리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One student gathered vegetables from the field. Today's passage mentions wild gourds, identified as colocynths.

However, some scholars claim these were the "apples of Sodom," known to be very bitter and cause diarrhea and stomach aches, sometimes even death.

Hence, the students exclaimed that there was death in the pot (verse 40), indicating the stew was too bitter to eat.

Elisha then asked for some flour. This flour was not special but just the regular flour used for cooking. By adding it, he made the stew palatable, transforming the bitter taste into a delicious one, reminiscent of Jesus turning water into wine at the Cana wedding.

God heals lives filled with bitterness. When Jesus enters our bitter lives, He turns them into sweet ones. This is the grace of our God.



가난한 인생을 먹이시는 하나님 (42~44절)

네번째 이적은 어떤 사람이 떡 20개와 채소를 가져다 주면서 시작됩니다. 그 사람의 고향인 바알 살리사(42a)는 유세비우스제롬벧 살리사라고 부르는 지역으로 세 계곡의 집이라는 의미입니다.

살리사라는 지역은 사울이 아버지의 나귀를 찾기 위해 헤매던 지역이기도 합니다(삼 9:4).

처음 만든 떡(42b)이란 그 해 처음 소산으로 만들어 하나님께 드리고, 제사장들이 먹는 음식을 의미합니다(출 34:26; 레 23:9~14; 민 18:13; 신 18:4~5).  

그 사람은 제사장이 없는 북이스라엘에서 그들을 대신하는 선지자에게 첫 소산을 가지고 온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 그 양이 적었습니다. 엘리사가 사람들에게 주어 먹게 하라고 게하시에게 명령하자, 게하시는 내가 어찌 이것을 백 명에게 주겠나이까? 라고 반문합니다. 믿음이 없는 사람은 이렇게 항상 불평과 불만을 말합니다. 흉년에 때에 음식을 가져다 준 성도의 마음에 감사는 커녕 볼 맨 소리를 한 것입니다.

그러자 엘리사는 여호와의 말씀이 그들이 먹고 남을 것이라고 하셨고(43), 음식을 나눠 주었더니 실제로 먹고 남았습니다(44).

어떤 무신론자들은 떡 20개로 얼마든지 100명이 먹을 수 있다고 설명하려 합니다. 서로 눈치를 보면서 먹다가 남은 것이라고… 하지만 배고픔 앞에는 장사가 없습니다. 이 이적 역시 예수님의 오병이어 이적을 생각하게 합니다. 하나님은 가난한 인생을 먹이고 입히시는 분입니다.

 

God Who Feeds the Poor (Verses 42-44)

The fourth miracle began when someone brought twenty loaves of barley bread and some fresh ears of grain. The man's hometown, Baal Shalisha, means "house of three valleys." It was where Saul once wandered searching for his father's donkeys (1 Samuel 9:4).

The first fruits mentioned (verse 42b) were the offerings made from the first harvest, given to God and eaten by priests (Exodus 34:26; Leviticus 23:9-14; Numbers 18:13; Deuteronomy 18:4-5).

This man brought the first fruits to Elisha, a prophet standing in place of the priests in northern Israel. The problem was the quantity. When Elisha instructed Gehazi to give it to the people to eat, Gehazi doubted it would be enough for a hundred men, reflecting a lack of faith. But Elisha reiterated the word of the Lord, saying they would eat and have some left over. Indeed, they ate and had leftovers, similar to Jesus feeding the five thousand with five loaves and two fish.



사실 우리 대부분의 문제는 먹고 사는 것에 대한 문제입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말씀처럼 우리는 염려하지 말고 믿어야 합니다. 사람이 떡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입에서 나오는 말씀으로 사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우리의 아버지이시기 때문에 우리의 먹고 사는 것을 책임지시는 분입니다.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가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라는 것을 믿는 것이 진정한 믿음입니다.

고아들의 아버지 죠지 뮬러는 평생 5만번의 기도에 응답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기도의 대부분은 고아들을 먹이고 입히는 일을 위한 기도였습니다. 한번은 주일아침 먹을 빵과 우유가 없는데도, 모든 원생들을 식당에 모아 식사준비를 하였습니다. 식사기도를 마치자 누군가 문을 두드렸고, 많은 빵과 우유를 가져왔습니다. 근처 회사에서 야유회를 준비했는데, 비가 와서 취소가 되어 고아원에 기부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하나님의 역사는 지금도 벌어집니다.

굶주린 우리 인생을 먹이시고, 쓴 맛 나는 인생을 단 맛으로 바꾸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을 우리는 아버지라고 부릅니다.  


Most of our problems concern sustenance, but as Jesus said, we should not worry but believe. Man lives not by bread alone but by every word from God's mouth.

God is our Father, responsible for our sustenance. Believing in this father-child relationship with God is true faith.

George Müller, known as the father of orphans, received answers to fifty thousand prayers in his lifetime, most of which were for feeding and clothing orphans. Once, there was no bread and milk for breakfast, yet he gathered the children and prepared for the meal. After the prayer, someone knocked on the door with a donation of bread and milk. It turned out a nearby company picnic was canceled due to rain, leading to the donation. Such acts of God still happen today.

God feeds our hungry lives and turns our bitter lives into sweet ones.

We call Him our Father.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