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40627 [새벽묵상] 현숙한 여인, 믿음의 여인 | A Virtuous Woman, A Woman of Faith (왕하/2 Kings 4:18~37)



4:18 그 아이가 자라매 하루는 추수꾼들에게 나가서 그의 아버지에게 이르렀더니

4:19 그의 아버지에게 이르되 내 머리야 내 머리야 하는지라 그의 아버지가 사환에게 말하여 그의 어머니에게로 데려가라 하매

4:20 곧 어머니에게로 데려갔더니 낮까지 어머니의 무릎에 앉아 있다가 죽은지라

4:21 그의 어머니가 올라가서 아들을 하나님의 사람의 침상 위에 두고 문을 닫고 나와

18 The child grew, and one day he went out to his father, who was with the reapers. 19 He said to his father, “My head! My head!”


His father told a servant, “Carry him to his mother.” 20 After the servant had lifted him up and carried him to his mother, the boy sat on her lap until noon, and then he died. 21 She went up and laid him on the bed of the man of God, then shut the door and went out.


4:22 그 남편을 불러 이르되 청하건대 사환 한 명과 나귀 한 마리를 내게로 보내소서 내가 하나님의 사람에게 달려갔다가 돌아오리이다 하니

4:23 그 남편이 이르되 초하루도 아니요 안식일도 아니거늘 그대가 오늘 어찌하여 그에게 나아가고자 하느냐 하는지라 여인이 이르되 평안을 비나이다 하니라

22 She called her husband and said, “Please send me one of the servants and a donkey so I can go to the man of God quickly and return.”


23 “Why go to him today?” he asked. “It’s not the New Moon or the Sabbath.”


“That’s all right,” she said.


4:24 이에 나귀에 안장을 지우고 자기 사환에게 이르되 몰고 가라 내가 말하지 아니하거든 나를 위하여 달려가기를 멈추지 말라 하고

4:25 드디어 갈멜 산으로 가서 하나님의 사람에게로 나아가니라  하나님의 사람이 멀리서 그를 보고 자기 사환 게하시에게 이르되 저기 수넴 여인이 있도다

4:26 너는 달려가서 그를 맞아 이르기를 너는 평안하냐 네 남편이 평안하냐 아이가 평안하냐 하라 하였더니 여인이 대답하되 평안하다 하고

24 She saddled the donkey and said to her servant, “Lead on; don’t slow down for me unless I tell you.” 25 So she set out and came to the man of God at Mount Carmel.


When he saw her in the distance, the man of God said to his servant Gehazi, “Look! There’s the Shunammite! 26 Run to meet her and ask her, ‘Are you all right? Is your husband all right? Is your child all right?’”


“Everything is all right,” she said.


4:27 산에 이르러 하나님의 사람에게 나아가서 그 발을 안은지라 게하시가 가까이 와서 그를 물리치고자 하매 하나님의 사람이 이르되 가만 두라 그의 영혼이 괴로워하지마는 여호와께서 내게 숨기시고 이르지 아니하셨도다 하니라

27 When she reached the man of God at the mountain, she took hold of his feet. Gehazi came over to push her away, but the man of God said, “Leave her alone! She is in bitter distress, but the Lord has hidden it from me and has not told me why.”


4:28 여인이 이르되 내가 내 주께 아들을 구하더이까 나를 속이지 말라고 내가 말하지 아니하더이까 하니

28 “Did I ask you for a son, my lord?” she said. “Didn’t I tell you, ‘Don’t raise my hopes’?”


4:29 엘리사가 게하시에게 이르되 네 허리를 묶고 내 지팡이를 손에 들고 가라 사람을 만나거든 인사하지 말며 사람이 네게 인사할지라도 대답하지 말고 내 지팡이를 그 아이 얼굴에 놓으라 하는지라

29 Elisha said to Gehazi, “Tuck your cloak into your belt, take my staff in your hand and run. Don’t greet anyone you meet, and if anyone greets you, do not answer. Lay my staff on the boy’s face.”


4:30 아이의 어머니가 이르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과 당신의 영혼이 살아 계심을 두고 맹세하노니 내가 당신을 떠나지 아니하리이다 엘리사가 이에 일어나 여인을 따라가니라

30 But the child’s mother said, “As surely as the Lord lives and as you live, I will not leave you.” So he got up and followed her.


4:31 게하시아 그들보다 앞서 가서 지팡이를 그 아이의 얼굴에 놓았으나 소리도 없고 듣지도 아니하는지라 돌아와서 엘리사를 맞아 그에게 말하여 아이가 깨지 아니하였나이다 하니라

31 Gehazi went on ahead and laid the staff on the boy’s face, but there was no sound or response. So Gehazi went back to meet Elisha and told him, “The boy has not awakened.”


4:32 엘리사가 집에 들어가 보니 아이가 죽었는데 자기의 침상에 눕혔는지라

4:33 들어가서는 문을 닫으니 두 사람 뿐이라 엘리사가 여호와께 기도하고

4:34 아이 위에 올라 엎드려 자기 입을 그의 입에, 자기 눈을 그의 눈에, 자기 손을 그의 손에 대고 그의 몸에 엎드리니 아이의 살이 차차 따뜻하더라

4:35 엘리사가 내려서 집 안에서 한 번 이리 저리 다니고 다시 아이 위에 올라 엎드리니 아이가 일곱 번 재채기 하고 눈을 뜨는지라

32 When Elisha reached the house, there was the boy lying dead on his couch. 33 He went in, shut the door on the two of them and prayed to the Lord. 34 Then he got on the bed and lay on the boy, mouth to mouth, eyes to eyes, hands to hands. As he stretched himself out on him, the boy’s body grew warm. 35 Elisha turned away and walked back and forth in the room and then got on the bed and stretched out on him once more. The boy sneezed seven times and opened his eyes.


4:36 엘리사가 게하시를 불러 저 수넴 여인을 불러오라 하니 곧 부르매 여인이 들어가니 엘리사가 이르되 네 아들을 데리고 가라 하니라

4:37 여인이 들어가서 엘리사의 발 앞에서 땅에 엎드려 절하고 아들을 안고 나가니라

36 Elisha summoned Gehazi and said, “Call the Shunammite.” And he did. When she came, he said, “Take your son.” 37 She came in, fell at his feet and bowed to the ground. Then she took her son and went out.


 


르무엘 왕의 어머니는 누가 현숙한 여인을 찾아 얻겠느냐 그의 값은 진주보다 더 하니라 (잠 31:10) 말했습니다. 어느 학자들의 주장처럼 르무엘이 솔로몬의 다른 이름이라면 그의 어머니는 밧세바입니다.

밧세바는 아들 솔로몬에게 현숙한 여인의 가치에 대해서 그 값이 진주보다 귀하다고 알려줍니다.

정말로 그렇습니다. 남성도 마찬가지이지만, 현숙한 여인의 중요함은 자녀를 양육하는 주 양육자라는 점에서 절대적입니다. 아내이자, 어머니이자, 며느리이자 딸로서 한 여성이 끼치는 영향력은 막대합니다.

이름을 알 수 없는 귀한 부인은 하나님의 사람 선지자를 극진하게 대접하여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였고, 그녀의 마음 속 깊이 감추어 두었던 마음의 소원을 주께서 이루어 주셨습니다.

 

King Lemuel's mother said, "A wife of noble character who can find? She is worth far more than rubies." (Proverbs 31:10). If we follow the claims of some scholars that Lemuel is another name for Solomon, then his mother is Bathsheba.

Bathsheba taught her son Solomon that the value of a virtuous woman is far above rubies. Indeed, this is true. While it is also important for men, the significance of a virtuous woman is absolute because she is the main caregiver in raising children. The influence a woman exerts as a wife, mother, daughter-in-law, and daughter is immense.

An unnamed noblewoman pleased God by graciously hosting the man of God, the prophet, and the Lord fulfilled her deep, hidden desire.



너 예수께 조용히 나아가 (18~25a)

하나님께서 주신 아이가 이제는 말하고, 아빠를 따라서 밭에 나가서 놀 정도로 자랐습니다. 그 아이를 지칭할 때 사용한 단어나, 말을 하는 것, 어머니의 무릎에 앉아 있는 상황 등을 종합할 때 그 아이는 3~5살 사이의 어린아이입니다.

그런데 그 아이가 오전에 머리가 아프다고 하더니, 낮이 되자 어머니 무릎에서 죽었습니다. 이것은 아이가 없을 때보다 더 큰 절망이고 고통이며 슬픔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 귀부인은 믿음이 있었습니다.

죽은 아이를 포기한 것이 아니라, 선지자의 방 침상에 뉘였습니다. 이것은 분명히 그가 아이를 살릴 것이라는 기대감에 의한 행동입니다. 그녀는 진정 아브라함의 딸이었습니다! 부활 신앙을 가지고 있었던 것입니다.

동시에 그녀는 지혜로운 여인이었습니다. 남편에게는 굳이 사실을 그대로 말하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아이가 살아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또한 남편의 믿음이 아내의 믿음에는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는 생각해야 합니다. 내가 이 말을 했을 때 이 사람의 믿음에 과연 도움이 될 것인지 아닌지를. 그리고 만일 내가 하는 말이 이 믿음 약한 사람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구태여 말할 필요가 없음을 알아야 합니다. 그것을 구별하는 것이 지혜입니다.

하지만 그녀는 남편을 존중하는 여인이었고, 남편 역시 아내를 믿고 사랑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녀는 남편의 동의를 얻고 선지자를 만나러 갑니다. 남편은 집회가 있는 초하루나 안식일도 아닌데, 선지자를 만나러 가는 것이 이상했지만 아내가 평안한 일, 곧 아무 일도 아니라고 하기에 믿고 보내줍니다.

그녀는 25mile(40km)을 달려 갈멜산에 도착합니다. 나귀는 한시간에 15마일을 달립니다.

하지만 하인이 나귀를 끌고, 그녀를 나귀 위에 태웠습니다. 아무리 빨라도 세시간 이상이 소요되었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그녀는 누구에게도 자신의 아픔과 놀람과 절망을 쏟아내지 않고 곧장 하나님의 사람에게로 달려 갔다는 사실입니다. 이것은 곧 하나님 앞으로 나간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이런 답답함과 고통과 두려움과 아픔이 있을 때 누구에게로 가서 그것들을 쏟아냅니까?

오직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 앞에 나아가 나의 아픔을 쏟아내야 합니다. 물론 우리는 연약한 인간이기에 엘리사와 같은 하나님의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역할을 대행하는 것입니다.

 

Go Carry Your Burden to Jesus (Verses 18-25a)

The child, whom God had given, had grown enough to speak and play, following his father out to the field. When considering the terms used to describe him, the child was likely between 3 to 5 years old. However, the child complained of a headache in the morning and died on his mother's lap by noon. This was a greater despair and sorrow than having no child at all. But the noblewoman had faith. She did not give up on the dead child but laid him on the prophet's bed, indicating her expectation that he would revive the child. She truly was a daughter of Abraham, possessing faith in the resurrection.

Simultaneously, she was a wise woman. She did not inform her husband of the exact situation, probably because she believed the child would be revived and her husband's faith did not match hers. We must consider whether sharing certain information will help someone's faith. If our words do not aid the faith of someone weaker, it is wise not to speak unnecessarily. Discerning this is wisdom.

Nevertheless, she respected her husband, and he trusted and loved her. She received his consent and went to meet the prophet. Despite finding it strange that she was going to the prophet when it was neither the new moon nor the Sabbath, he trusted her assurance that everything was fine and let her go.

She traveled 25 miles (40 km) to Mount Carmel. Given that a donkey travels 15 miles per hour, it would have taken over three hours, even at the fastest pace. The important point is that she did not pour out her pain, shock, or despair to anyone but went straight to the man of God, symbolizing going to God. When we face such anguish and fear, to whom do we turn to pour out our hearts? We must go only to God, Jesus Christ, to pour out our pain. Indeed, as humans, we seek God's representatives, like Elisha, in times of need.



네 마음을 쏟아 놓으라 (25b~31절)

엘리사는 이미 그녀가 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무엇 때문인지는 여호와께서 알려주시지 않아 몰랐습니다(27). 아무리 위대한 선지자라도 그저 하나님의 종일 뿐 입니다. 잊지 말아야 합니다.

엘리사는 게하시를 보내어 그녀를 맞이하며 가족들의 평안을 묻게 했지만, 그녀는 모두 평안하다고 답합니다. 과연 평안한 상황인가요? 이것 역시 그녀의 믿음에 의한 의지적 답변입니다.

우리는 쓸데없는 곳에 입을 벌리지 말고, 오직 하나님께 입을 열어야 합니다. 그녀는 게하시에게 말하지 않고, 오직 하나님을 대신하는 엘리사의 발 앞에 이르러 그녀의 고통을 쏟아내기 시작합니다. 체면도 없습니다. 그저 선지자의 발에 매달려 자신의 울분을 토해냅니다(28).

그녀의 말이 옳습니다. 그녀가 아들을 달라고 요청하지 않았건만, 하나님은 주시고, 다시 빼앗으셨습니다.

도대체 왜?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습니다. 결과를 보아하니 그녀의 믿음을 더 강하게, 그녀의 믿음을 시험하시기 위해서 일수도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하나님 역시 아들을 잃으실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그녀의 쏟아지는 진실한 원망은 기도가 되어 응답됩니다. 엘리사는 자신의 지팡이를 게하시에게 주어 보내며, 급히 가서 아이의 얼굴 위에 지팡이를 올려놓으라고 합니다. 하지만 그녀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엘리사가 함께 가지 않으면 자신은 떠나지 않겠다고 간절하게 요청합니다. 이에 엘리사는 그녀와 함께 나섭니다(30). 

 

To Him Let Your Heart be Out-Poured (Verses 25b-31)

Elisha saw her coming but did not know why, as the Lord had not revealed it to him (verse 27). Even the greatest prophet is merely a servant of God, and we must not forget this. Elisha sent Gehazi to meet her and inquire about her family's wellbeing, to which she responded that all was well. Was this true? This too was a response of faith. We should not open our mouths needlessly but speak only to God. She did not tell Gehazi but reached Elisha's feet and began to pour out her suffering, showing no regard for propriety. Clinging to the prophet's feet, she expressed her anguish (verse 28).

Her words were just; she had not asked for a son, yet God had given and then taken him away. Why? We cannot explain precisely, but it might have been to test and strengthen her faith. Clearly, God also experienced the loss of a son. Her honest outpouring of sorrow became a prayer answered by Elisha. He sent Gehazi with his staff to lay on the child's face, but she insisted on Elisha coming with her, showing her determination and faith, leading him to go with her (verse 30).



늘 은밀히 보시는 주님 큰 은혜를 베푸시리 (32~37절)

지팡이는 능력을 상징합니다. 그런데 게하시가 가져간 지팡이를 아이 얼굴에 올려놓아도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학자들은 그녀가 엘리사와 함께 가기를 원했을 때, 지팡이는 무용지물이 되었다고 해석합니다.

이 문제는 그녀의 믿음대로 엘리사가 직접 가서 해결하는 것으로 하나님께서 정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녀의 집에 도착한 엘리사는 자신의 침상에 누워있는 아이를 발견합니다(32).

엘리사는 여호와께 기도합니다. 그렇습니다. 뒤따라 나오는 구절에 엘리사의 다양한 행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엘리야가 사르밧 과부의 아들을 살릴 때 했던 행동과 비슷하면서도 다릅니다.

왜냐하면 그 행동이 아이를 살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아이를 살리는 것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입니다. 하나님은 나중에 당신의 손으로 죽인 아들을 살리실 것입니다. 죽은 아들을 바라보는 어미의 마음을 공유하고 싶으셨던 것일까요? 죽음에서 살아나 죽음의 권세를 물리치는 하나님의 아들을 자랑하고 싶으셨던 것일까요? 이제 여인은 죽음에서 아들을 돌려받습니다.

이것이 믿음으로 오직 예수 앞에 나와 부르짖는 자에게 주시는 은혜입니다.  

성경이 말하는 현숙한 여인은 다름아닌, 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말을 분별하는 지혜로운 여인입니다.

동시에 지혜로운 여인은 오직 하나님께(하나님 사람 앞에) 나아가 아픔을 쏟아내고, 놀라운 은혜를 경험하는 믿음의 여인입니다. 그래서 히브리서 기자는 이렇게 말한 것입니다.

여자들은 자기의 죽은 자들을 부활로 받아들이기도 하며 (히 11:35) 이런 강력한 믿음을 소유한 여성이 됩시다. 그리고 이런 여성에게 잘 어울리는 더 강력한 믿음의 남성이 되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The Lord Who Sees in Secret Will Bestow Great Grace (Verses 32-37)

The staff symbolized power, but laying it on the child's face brought no change. Scholars interpret that her insistence on Elisha's presence rendered the staff ineffective. The matter was to be resolved by Elisha directly, as determined by God. Elisha found the child lying dead on his bed (verse 32) and prayed to the Lord.

The subsequent actions recorded mirror those of Elijah when reviving the widow's son at Zarephath, yet they differed, as the act of revival is solely by God's sovereign grace. Perhaps God wanted to share the heartache of a mother losing her child, boasting of His son conquering death's power.

The woman received her son back from death, a grace given to those who come before Jesus in faith, crying out. The Bible describes a virtuous woman as one who wisely discerns when to speak. A wise woman pours out her pain before God (or God's representative) and experiences God's amazing grace.

Therefore, the writer of Hebrews states, "Women received back their dead, raised to life again" (Hebrews 11:35). Let us become women of strong faith and, correspondingly, men of even stronger faith who suit such women.

コメント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