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40626 [새벽묵상] 내가 너를 위하여 무엇을 하랴? | What Can Be Done For You? (왕하/2 Kings 4:8~17)



4:8 하루는 엘리사가 수넴에 이르렀더니 거기에 한 귀한 여인이 그를 간권하여 음식을 먹게 하였으므로 엘리사가 그 곳을 지날 때마다 음식을 먹으러 그리로 들어갔더라

4:9 여인이 그의 남편에게 이르되 항상 우리를 지나가는 이 사람은 하나님의 거룩한 사람인 줄을 내가 아노니

4:10 청하건대 우리가 그를 위하여 작은 방을 담 위에 만들고 침상과 책상과 의자와 촛대를 두사이다 그가 우리에게 이르면 거기에 머물리이다 하였더라

[The Shunammite’s Son Restored to Life]

8 One day Elisha went to Shunem. And a well-to-do woman was there, who urged him to stay for a meal. So whenever he came by, he stopped there to eat. 9 She said to her husband, “I know that this man who often comes our way is a holy man of God. 10 Let’s make a small room on the roof and put in it a bed and a table, a chair and a lamp for him. Then he can stay there whenever he comes to us.”


4:11 하루는 엘리사가 거기에 이르러 그 방에 들어가 누웠더니

4:12 자기 사환 게하시에게 이르되 이 수넴 여인을 불러오라 하니 곧 여인을 부르매 여인이 그 앞에 선지라

4:13 엘리사가 자기 사환에게 이르되 너는 그에게 이르라 네가 이같이 우리를 위하여 세심한 배려를 하는도다 내가 너를 위하여 무엇을 하랴 왕에게나 사령관에게 무슨 구할 것이 있느냐 하니 여인이 이르되 나는 내 백성 중에 거주하나이다 하니라

11 One day when Elisha came, he went up to his room and lay down there. 12 He said to his servant Gehazi, “Call the Shunammite.” So he called her, and she stood before him. 13 Elisha said to him, “Tell her, ‘You have gone to all this trouble for us. Now what can be done for you? Can we speak on your behalf to the king or the commander of the army?’”


She replied, “I have a home among my own people.”


4:14 엘리사가 이르되 그러면 그를 위하여 무엇을 하여야 할까 하니 게하시가 대답하되 참으로 이 여인은 아들이 없고 그 남편은 늙었나이다 하니

4:15 이르되 다시 부르라 하여 부르매 여인이 문에 서니라

4:16 엘리사가 이르되 한 해가 지나 이 때쯤에 네가 아들을 안으리라 하니 여인이 이르되 아니로소이다 내 주 하나님의 사람이여 당신의 계집종을 속이지 마옵소서 하니라

14 “What can be done for her?” Elisha asked.

Gehazi said, “She has no son, and her husband is old.”

15 Then Elisha said, “Call her.” So he called her, and she stood in the doorway. 

16 “About this time next year,” Elisha said, “you will hold a son in your arms.”

“No, my lord!” she objected. “Please, man of God, don’t mislead your servant!”


4:17 여인이 과연 잉태하여 한 해가 지나 이 때쯤에 엘리사가 여인에게 말한 대로 아들을 낳았더라

17 But the woman became pregnant, and the next year about that same time she gave birth to a son, just as Elisha had told her.


 

 


청출어람청출어람 청어람 靑出於藍 靑於藍이라는 한자성어의 앞부분으로 푸른색 염료는 쪽에서 얻은 것이지만 쪽보다 푸르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스승과 제자의 관계에서 제자가 스승을 능가할 때 자주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엘리야와 엘리사의 관계가 그렇습니다. 여러분은 누가 더 뛰어난 선지자라고 생각하십니까?

사실은 누가 더 낫다 할 수 없을 정도로 두 사람 모두 훌륭하고 능력 있는 하나님의 사람들입니다.

오늘 본문만으로는 아직은 엘리야가 엘리사보다는 우위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엘리야는 사르밧 과부(왕상 17:17~24)의 죽었던 아들을 살려내는 이적을 행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오늘 본문이 엘리사가 엘리야 못지 않는 선지자임을 보여주는 모형장면 Type-Scene입니다.

오늘 본문에 등장하지는 않지만, 내일 본문에서는 비슷한 사건이 일어납니다. 열왕기 저자는 엘리사가 엘리야를 능가하는 하나님의 사람임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The Korean saying "Cheongchuleoram" (靑出於藍 靑於藍) means that "green is born of blue, but beats blue". It is often used to describe a student surpassing their teacher.

This relationship parallels that of Elijah and Elisha.

Who do you think was the greater prophet? In reality, both were extraordinary and powerful men of God.

Based on today’s scripture, Elijah appears to have the upper hand since he performed the miracle of reviving the son of the widow of Zarephath (1 Kings 17:17-24). However, today's passage serves as a type-scene showcasing Elisha as a prophet on par with Elijah. Though not mentioned in today’s passage, tomorrow’s scripture recounts a similar event. The author of Kings intends to show that Elisha is a man of God who surpasses even Elijah.



대가를 바라지 않는 순수한 섬김 (8~13절)

엘리사가 자주 이동하는 경로인 갈멜산에서 길갈로 가는 길에 잇사갈 지파에 속한(수 19:18) 수넴이라는 지역이 있습니다. 성경에는 수넴 여인이 두 명 등장하는데, 한 명은 노인 다윗의 몸종이었던 아비삭이고 (왕상 1:3), 다른 한 명이 오늘 본문에 등장하는 귀부인입니다.

귀한 여인(8a)에서 귀하다는 히브리어 גדולה 게돌라위대한, 존귀한이라는 의미입니다. 한편 랍비들의 구전에 의하면 본문에 등장하는 귀한 여인이 아비삭의 여동생으로 선견자 잇도의 아내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확정적인 증거는 없습니다.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일 뿐입니다.

그녀는 남편의 허락 하에 선지자 엘리사를 간권하여 식사를 대접하였고, 나중에는 다락방을 만들어 엘리사와 종 게하시가 여행중에 편히 쉴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합니다.

그녀가 귀한 것은 그녀는 나그네를 대접할 줄 아는 선한 여성이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율법은 나그네를 대접(사랑)하라고 명령합니다(신10:19).

그러므로 그녀는 하나님의 말씀을 잘 알고, 그것에 순종하는 사람이었던 것입니다.

다음으로 그녀의 귀한 점은 거룩한 하나님의 사람을 알아보는 영적인 민감함과 그를 귀하게 여기는 겸손한 마음입니다. 

그녀는 나이 많아 거의 생산능력을 상실한 남편보다 영적이며, 민감합니다. 그렇다고 그녀는 결코 남편을 무시하거나 남편을 우습게 여기는 지혜롭지 못한 여인이 아닙니다. 더 나아가 그녀는 하나님의 사람을 귀하게 여기고 마음을 다해서 자발적으로 세심하게 배려하는 그런 귀한 여인이었던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그녀의 귀함은 대가를 바라지 않는 순수한 섬김에 있습니다.

섬김이란 그런 것입니다.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섬김에 상응하는 대가가 없어도 섬기는 그 자체가 나에게 기쁨이 될 때, 비로소 그 섬김은 진정으로 하나님만 의식한 섬김이 되는 것입니다.

그녀의 섬김이 너무 고마웠던 엘리사는 자신의 종 게하시를 시켜서 그녀의 필요에 대해서 묻습니다.

겸손한 자는 자신에게 베풀어진 호의를 귀하게 여기는 사람입니다.

하나님의 사람으로 남의 호의를 받기만 하고 감사할 줄 모르는 것은 참으로 합당치 못한 일입니다.



한편 엘리사의 종 게하시는 이곳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그 이름의 의미는 환상의 골짜기valley of vision로 해석되지만, 휘둥그래한 눈Goggle-eyed이 더 적합한 해석입니다.

엘리사가 내가 너를 위하여 무엇을 하랴 라고 물었습니다. 엘리사의 영향력은 세명의 연합군 왕이 그를 직접 찾아와 물을 정도입니다. 그녀의 집안에 풀어야 할 정치적이나 사회적인 문제가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그녀는 나는 내 백성 중에 거하나이다(13b) 답합니다.

이것의 의미는 백성들과 함께 살면서 전혀 부족하거나, 필요한 것이 없을 정도로 지금의 삶에 만족하며 감사한다는 의미입니다. 참으로 귀한 여인입니다. 감사와 만족, 자족을 아는 것은 은혜입니다.

 

Pure Service Without Expectation (Verses 8-13)

On the path from Mount Carmel to Gilgal, Elisha often traveled through Shunem, a region belonging to the tribe of Issachar (Joshua 19:18). Two women from Shunem appear in the Bible: Abishag, the attendant of old King David (1 Kings 1:3), and the noblewoman in today's passage. The Hebrew word for noble, "gedolah," means great or honorable. According to rabbinic tradition, this noblewoman was Abishag's sister and the wife of the seer Iddo, but this remains unconfirmed.

With her husband's permission, she persuaded Elisha to have a meal, later providing a room for Elisha and his servant Gehazi to rest during their travels. This woman was noble because she knew how to serve strangers, reflecting God’s command to love and host strangers (Deuteronomy 10:19). She was spiritually sensitive and humble, recognizing and respecting the holy man of God.


Her husband, being older, had almost lost his productive ability, but she was more spiritually perceptive. However, she was wise, never belittling her husband. She honored God’s servant, showing careful and voluntary hospitality without expecting anything in return. Genuine service comes from the joy of serving itself, regardless of recognition or reward. Elisha, grateful for her kindness, asked Gehazi to inquire about her needs. The truly humble value the kindness shown to them. Accepting and being thankful for others' kindness is fitting for a man of God.


Gehazi, whose name can mean "valley of vision" but more aptly "goggle-eyed," appears here for the first time. When Elisha asked, "What can I do for you?" his influence was so great that even three allied kings sought his counsel. Any political or social issues she faced could be resolved significantly with his help. Yet, she responded, "I dwell among my own people" (verse 13), indicating her contentment and gratitude for her current life, feeling no lack among her people. This noblewoman embodies grace through gratitude, satisfaction, and contentment.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 여인이 받은 기쁨 (14~17절) 

하지만 모든 인생은 반드시 한 두가지 깊은 고민이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는 가난한 자나 부자를 가리지 않습니다. 그녀에게는 이제 생각조차 하기 싫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그녀에게 자녀가 없는 것이었습니다. 

이미 남편은 생산 능력을 상실한 것처럼 보일 나이에 이르렀습니다(14). 당시 문화에서 자식이 없이 죽는 것은 하나님의 축복을 받지 못한 것입니다. 또한 여인이 아이를 낳지 못하는 것은 큰 핸디캡이었습니다. 

아이를 바라는 그녀의 열망은 인정할 수 없을 만큼 깊이 숨겨져 있었습니다.

많은 부와 명예도 그녀의 진정한 필요를 채워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녀는 혹시라도 자녀에 대해 희망을 가지게 하는 희망고문이 싫어서, 일년이 지나고 아이가 있을 것이라 예언하는 하나님의 사람에게 계집종을 속이지 말라고 부탁한 것입니다(16).

이처럼 사람들은 각자의 고난과 고통이 있습니다. 어제 본문에 등장하는 과부와는 전혀 다른 문제이지만 그녀들은 동일하게 삶에 고난과 고통을 가지고 있었고, 하나님은 그녀들의 고통에 귀를 기울이셨습니다.

하나님은 과부의 기도이든, 귀부인의 기도이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믿음의 여인들을 기뻐하십니다.

지혜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나를 사랑하는 자들이 나의 사랑을 입으며 나를 간절히 찾는 자가 나를 만날 것이니라 (잠 8:17)

 

진정으로 그렇습니다. 하나님이 지으신 세상의 법칙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는 그의 사랑을 입는 것이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자가 하나님의 기뻐하심을 입는 것입니다. 나보다 나를 더 잘 아시며, 내가 이미 포기한 나의 필요도 아시는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을 존중하는 자는 하나님의 사람과 그의 자녀들을 존중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자는 하나님의 존중함을 받는 것입니다. 오늘 하나님을 기쁘시게 함으로 하나님께서 내가 너를 위하여 무엇을 하랴? 물으시는 질문을 듣는 날이 되기를 바랍니다. 


The Joy Received by a Woman Who Pleased God (Verses 14-17)

Every person has one or two deep concerns. God's grace is impartial, extending to both the poor and the wealthy. The noblewoman's hidden sorrow was her childlessness, as her husband seemed beyond reproductive age (verse 14). In that culture, dying without children was seen as missing God’s blessing, and a woman's inability to bear children was a significant handicap. Her longing for a child was so deeply buried that she couldn't admit it. Even wealth and honor couldn't fulfill her true need, so she pleaded with God's prophet not to deceive her with false hope (verse 16).


Everyone faces suffering and hardship in their unique way. Though different from the widow in yesterday’s scripture, the noblewoman also carried her own burdens, and God listened to both their pains. God delights in women of faith, whether they are widows or noblewomen. As the wise man said:


"I love those who love me, and those who seek me diligently find me." (Proverbs 8:17)


This is true indeed. In God's world, those who love Him receive His love, and those who please Him receive His favor. God, who knows us better than we know ourselves, understands our needs even after we have given up. Those who honor God also honor His people and His children, receiving God's honor in return. May today be a day when you hear God asking, "What can I do for you?" by pleasing Him.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