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 사랑하는 자들아 거류민과 나그네 같은 너희를 권하노니 영혼을 거슬러 싸우는 육체의 정욕을 제어하라
2:12 너희가 이방인 중에서 행실을 선하게 가져 너희를 악행한다고 비방하는 자들로 하여금 너희 선한 일을 보고 오시는 날에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함이라
[Living Godly Lives in a Pagan Society]
11 Dear friends, I urge you, as foreigners and exiles, to abstain from sinful desires, which wage war against your soul. 12 Live such good lives among the pagans that, though they accuse you of doing wrong, they may see your good deeds and glorify God on the day he visits us.
2:13 인간의 모든 제도를 주를 위하여 순종하되 혹은 위에 있는 왕이나
2:14 혹은 그가 악행하는 자를 징벌하고 선행하는 자를 포상하기 위하여 그의 보낸 총독에게 하라
2:15 곧 선행으로 어리석은 사람들의 무식한 말을 막으시는 것이라
2:16 너희는 자유가 있으나 그 자유로 악을 가리는 데 쓰지 말고 오직 하나님의 종과 같이 하라
2:17 뭇 사람을 공경하며 형제를 사랑하며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왕을 존대하라
13 Submit yourselves for the Lord’s sake to every human authority: whether to the emperor, as the supreme authority, 14 or to governors, who are sent by him to punish those who do wrong and to commend those who do right. 15 For it is God’s will that by doing good you should silence the ignorant talk of foolish people. 16 Live as free people, but do not use your freedom as a cover-up for evil; live as God’s slaves. 17 Show proper respect to everyone, love the family of believers, fear God, honor the emperor.
2:18 사환들아 범사에 두려워함으로 주인들에게 순종하되 선하고 관용하는 자들에게만 아니라 또한 까다로운 자들에게도 그리하라
2:19 부당하게 고난을 받아도 하나님을 생각함으로 슬픔을 참으면 이는 아름다우나
2:20 죄가 있어 매를 맞고 참으면 무슨 칭찬이 있으리요 그러나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받고 참으면 이는 하나님 앞에 아름다우니라
2:21 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받았으니 그리스도도 너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사 너희에게 본을 끼쳐 그 자취를 따라오게 하려 하셨느니라
18 Slaves, in reverent fear of God submit yourselves to your masters, not only to those who are good and considerate, but also to those who are harsh. 19 For it is commendable if someone bears up under the pain of unjust suffering because they are conscious of God. 20 But how is it to your credit if you receive a beating for doing wrong and endure it? But if you suffer for doing good and you endure it, this is commendable before God. 21 To this you were called, because Christ suffered for you, leaving you an example, that you should follow in his steps.
2:22 그는 죄를 범하지 아니하시고 그 입에 거짓도 없으시며
2:23 욕을 당하시되 맞대어 욕하지 아니하시고 고난을 받으시되 위협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공의로 심판하시는 이에게 부탁하시며
2:24 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너희는 나음을 얻었나니
2:25 너희가 전에는 양과 같이 길을 잃었더니 이제는 너희 영혼의 목자와 감독 되신 이에게 돌아왔느니라
22 “He committed no sin,
and no deceit was found in his mouth.”
23 When they hurled their insults at him, he did not retaliate; when he suffered, he made no threats. Instead, he entrusted himself to him who judges justly. 24 “He himself bore our sins” in his body on the cross, so that we might die to sins and live for righteousness; “by his wounds you have been healed.” 25 For “you were like sheep going astray,” but now you have returned to the Shepherd and Overseer of your souls.
오늘 본문은 세상 속에 살아가는 하나님의 백성이 구체적인 소망을 가지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새 언약 백성의 삶은 이 땅의 나그네와 같은 삶을 살아가면서 이 땅 사람들처럼 사는 것이 아니라 하늘 백성처럼 살아가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이기적인 세상에서 다른 사람들이 믿는 우리들의 선한 일을 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는 삶입니다.
Today’s passage shows how God’s people should live with concrete hope in the world. The life of the new covenant people is like that of strangers in this world, living not like the people of this world, but like citizens of heaven. In other words, it is a life that leads others to glorify God by seeing the good deeds of believers in a selfish world.
주님이 바라시는 삶(11~12절)
본문 11절에서 말하는 ‘육체의 정욕’의 삶은 의미상 1장 14절에 나오는 “너희가 순종하는 자식처럼 전에 알지 못할 때에 따르던 너희 사욕을 본받지 말고”와 평행 관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여기서 육체적 정욕이란 영과 육의 이분법적으로 말하는 육체의 죄성을 가리키기보다, 본능에 따라 사는 육체적이고 물리적인 단순한 삶, 즉 복음의 진리를 알지 못하고 사는 의미 없는삶 속에서 나타나는 욕심을 말합니다.
또 11절에 ‘영혼’이란 하나님 앞에 놓여 있는 화평과 안정, 즉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살아가는 영적인 삶을 가리키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본능에 따라 사는 물리적이고도 육체적인 삶은, 무지 가운데 행해졌던 이전의 삶을 말하며, 우리가 추구하는 삶은 하나님의 부르심에 따라 이뤄진 새로운 삶, 즉 거룩하고 선한 행실의 삶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1~12절에서 말하는 것은 하나님이 원하시고 바라시는 삶, 샬롬의 삶, 거룩한 삶의 방식을 이방인들에게 보여줌으로써 본능에 따른 이전의 삶의 방식을 벗어버리라고 권면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삶을 살아야 하고 또 살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막상 저와 여러분의 삶 속에서는 어떠한가요? 쉽지 않고, 녹록하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세상의 기준에 맞추어 살려고 하면 우리의 마음에 불편함이 있고, 또 말씀대로 살려고 하니 나의 삶에 손해, 불이익, 따가운 시선이 많고 걱정이 되는 게 사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내 생각과 지식, 경험과 사람을 의지하려는 것이 아닌, 주님과 함께 주님이 주시는 능력과 살아 움직이고 작동되고 있는 말씀을 붙들고 믿고 나아가야 합니다. 저와 여러분의 삶 가운데 이러한 작동되는 말씀을 붙잡고 믿고 경험되어지는 삶을 살아내시기를 소망합니다.
The Life the Lord Desires (Verses 11-12)
The “fleshly desires” mentioned in verse 11 parallel the “former lusts in your ignorance” from 1 Peter 1:14. Here, fleshly desires refer not just to sinful tendencies in a dualistic sense of spirit and flesh but to a simple, physical life driven by instincts—a life of greed arising from not knowing the truth of the gospel.
Moreover, the “soul” in verse 11 refers to the peace and stability before God, that is, a spiritual life lived through God’s grace. Thus, the physical, instinct-driven life refers to our former life lived in ignorance, while the life we now pursue is a new life in accordance with God’s calling—a life of holiness and good deeds.
Therefore, verses 11-12 urge us to show the way of life that God desires, a life of shalom and holiness, to the Gentiles, urging them to abandon their previous ways of living according to instinct. We are called to live such a life and strive to do so.
But how is it in your and my lives? It is not easy and often quite challenging. Aligning with worldly standards causes discomfort in our hearts, while living according to the Word often brings disadvantages, losses, and critical looks.
Thus, we should rely not on our thoughts, knowledge, experiences, or people, but on the Lord, holding onto and believing in the power and the living, active Word that the Lord provides. I hope that you and I live lives where we experience and hold onto this active Word.
주인에게 순종하라(13~21절)
다음으로 13~21절 가운데 13절에 말하는 ‘순종’은 선을 행하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순종의 선한 행동은 세상의 규범이나 제도 그리고 통치자들의 도움을 통해 선한 행동을 비방하고 조롱하는 악한 자들의 입과 행동을 잠잠케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순종은 우리가 아는 순종이 아닌 복종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순복을 의미합니다.
그러면서 베드로는 16절에 수신자들을 ‘자유가 있는 자’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자유는 정치적 의미의 자유가 아니라 이전의 삶의 존재 방식이었던 육체적 본능에서 자유하게 된 사람들을 말합니다. 이러한 자들이 바로 저와 여러분들입니다.
즉 육체적 본능에서 해방된 자유를 더 이상 예전 삶의 존재 방식인 본능적 삶에 대한 변명에 사용하지 말고, 16절에 이야기한 것처럼 하나님의 거룩한 통치 가운데 속해있고, 종속 되어있는 종으로서 모든 사람들을 존중하고 왕을 존경하며 무엇보다 자신처럼 하나님을 믿는 형제자매들을 사랑하고 하나님을 경외하라고 명령하고 있는 것입니다.
특별히 16절 끝에 나오는 ‘하나님의 종”이라는 표현은 과거에 있었던 육체적 본능의 사로잡힌 삶 속에서 자유하게 되어, 하나님의 자녀가 된 저와 여러분의 새로운 정체성을 말해주고 있는 단어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앞서 말하고 있는 것들을 이해해야 한다고 본문은 말하는 것입니다.
Submit to Masters (Verses 13-21)
In verses 13-21, the “submission” mentioned in verse 13 is expressed through doing good. The good deeds of submission silence the mouths and actions of evil people who slander and mock such deeds. However, the submission here implies obedience with a deeper sense of subordination.
Peter describes the recipients as “free people” in verse 16. This freedom does not refer to political freedom but to liberation from the former mode of existence driven by fleshly instincts. This describes you and me.
We should not use this freedom, liberation from fleshly instincts, as an excuse for our former instinct-driven lives. Instead, as mentioned in verse 16, we should live as God’s holy, governed servants, respecting everyone, honoring the king, loving fellow believers, and fearing God.
The term “servants of God” at the end of verse 16 reflects our new identity as children of God, freed from the former instinct-driven life. We need to understand the preceding instructions from this perspective.
그리고 17절에 네 가지 명령은 11~16절에 말하는 세상의 규범과 제도 통치자들의 권력에 순종하라는 것과 일종의 수미상관의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순종’이라는 단어는 베드로전서에서 주로 그리스도의 메시지를 받아들여 그리스도와 인격적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순종은 그리스도에 대한 일차적이고도 근본적인 헌신을 의미합니다. 이에 반해 13절부터 사용되는 ‘순복’은 경외와 존경을 표시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입니다.
인간의 규범, 제도나 통치자들에 대한 존중과 주어진 질서 가운데 책임감 있게 살아야 한다는 내용이 18절에 등장하는 주인에게 속해 있는 사환에 대한 순종의 명령 가운데서 구체적인 적용을 말하고 있습니다. 18~21절에 말하는 사환들의 순종에 대한 명령은 순복 곧 그들이 놓여 있는 역사적 삶의 의미에 순응하고 주어진 질서를 지키며, 그 안에서 책임감 있게 살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뿐 아니라, 책임감 있는 삶이 수반되는 고난의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별히 주인들에 대한 순종의 명령이 “하나님에 대한 모든 경외”에 의해 표현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 주인에 대한 순종은 바로 앞절 17절 끝에 말하고 있는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즉 ‘하나님의 경외’라는 문맥 속에서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런 경외는 19절에 나오는 ‘하나님에 생각”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The four commands in verse 17 form a structural parallel with the command to submit to earthly authorities and rulers in verses 11-16. In 1 Peter, “submission” often means accepting Christ’s message and establishing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Him. Thus, submission implies primary and fundamental dedication to Christ. In contrast, “subordination” from verse 13 onwards refers to acts of reverence and respect.
Living responsibly within human norms, systems, and authorities is concretely applied in the command for servants to submit to their masters in verse 18. The command for servants’ submission in verses 18-21 emphasizes conformity to their historical context, maintaining order, and living responsibly, addressing the issue of suffering that comes with responsible living.
Notably, the command to submit to masters is expressed with “reverence for God” in verse 18, directly linked to “fear God” in verse 17. This reverence is also connected to “mindful of God” in verse 19.
그렇다면 하나님을 따르는 헌신 속에서 사환의 순종에는 고난이 따른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사환들의 순종을 통해 부당한 고난이 21절에서 저와 여러분의 부르심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즉 선을 행하는 중에 부당하게 고통을 당하는 것은 그리스도인들의 부르심 곧 소명의 본질적 일부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이 고난은 일차적으로 하나님의 종으로서 하나님께 헌신하여 사는 삶과 동시에 인간의 제도와 권력에 대한 순종이 우리들로 하여금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끌어갈 때 생겨나는 고난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고난은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의 고난과 연결되고 있습니다.
예수님은 죄가 없으신 분으로, 하나님의 의로운 판단에 자신을 온전히 의탁하고 헌신함으로써 또 동시에 불의한 인간 제도와 권력들에 대한 말 없는 순종 가운데 고난을 겪었습니다. 물론 이러한 예수님의 고난은 일차적으로 죄에 대한 우리의 죽음과 의에 대한 구속의 역사이지만, 동시에 우리에게 주어진 질서 속에서 책임감 있는 삶 때문에 당하는 고난에 대한 하나의 모범적 예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삶이 고난의 연속이라 말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고난을 통과하는 과정과 분명한 고난의 끝이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 주님의 자녀 된 자로서 순종의 삶을 살아갈 때 세상은 우리를 고난 가운데로 밀어 넣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그 고난에는 분명한 끝이 있고 이러한 고난 가운데에서 우리는 주님의 인도하심과 함께하심을 더 강하게 느끼며 내 안에 살아계시는 진정한 주님을 붙잡고 만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Submission to masters under God’s devotion involves suffering. Such unjust suffering of servants is connected to our calling in verse 21. Suffering unjustly while doing good is an intrinsic part of the Christian calling.
This suffering arises from the tension between living a devoted life to God and submitting to human systems and authorities. This suffering ultimately connects to Christ’s suffering.
Jesus, sinless, entrusted Himself entirely to God’s righteous judgment and suffered silently under unjust human systems and authorities. His suffering was primarily for our redemption from sin and for righteousness, but it also serves as an exemplary model for suffering in a responsible life under given order.
Our lives are described as continuous suffering, but we must remember that there is a process and a definite end to suffering. As children of the Lord, living obediently leads to suffering in this world. Yet, we must recognize that this suffering has an end, and through it, we experience the Lord’s guidance and presence more profoundly, holding onto and encountering the true Lord within us.
지금 각자 어떠한 고난을 통과하고 계시는가요? 그 고난의 터널이 길게 보이고 끝이 없이 보일지라도 그 터널은 언젠가는 끝날 것이고 그 끝에는 주님께서 두 팔 벌리고 계실 것입니다. 주님은 저와 여러분에게 바라시고 원하시는 삶의 모습이 있으십니다.
우리는 주님의 이러한 바램과 주님의 마음을 위해, 죽으시고 부활하신 그 십자가의 능력을 붙잡고 믿으며, 저와 여러분의 삶의 모습이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늘 우리 안에 있는 죄성과 유혹, 고난 가운데서 주님이 베풀어 주신 그 은혜를 생각하며 순종하는 삶을 살아내야 합니다.
이러한 삶을 위해 우리는 늘 주님 앞에 진심 어린 마음으로 엎드리며 말씀의 거울로 저와 여러분의 내면의 모습을 마주하여 진정으로 주님 담기를 원하며, 지금보다 더욱 주님을 알기를 간절히 원하는 저와 여러분이 되시기를 기도합니다.
What suffering are you currently going through? Even if the tunnel of suffering seems long and endless, it will eventually end, with the Lord waiting with open arms at the end. The Lord has a vision and a desired way of life for you and me.
We must hold onto and believe in the power of the cross—Christ’s death and resurrection—so that our lives do not revert to the past. Continuously remember the grace the Lord has provided amidst our sinful nature, temptations, and suffering, living a life of obedience.
For this life, let us continually come before the Lord with sincere hearts, confronting our inner selves through the mirror of the Word, truly desiring to be like Him, and earnestly seeking to know the Lord more deeply than before.
Komen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