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 아람과 이스라엘 사이에 전쟁이 없이 삼 년을 지냈더라
22:2 셋째 해에 유다의 여호사밧 왕이 이스라엘의 왕에게 내려가매
22:3 이스라엘의 왕이 그의 신하들에게 이르되 길르앗 라못은 본래 우리의 것인 줄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우리가 어찌 아람의 왕의 손에서 도로 찾지 아니하고 잠잠히 있으리요 하고
1 For three years there was no war between Aram and Israel. 2 But in the third year Jehoshaphat king of Judah went down to see the king of Israel. 3 The king of Israel had said to his officials, “Don’t you know that Ramoth Gilead belongs to us and yet we are doing nothing to retake it from the king of Aram?”
22:4 여호사밧에게 이르되 당신은 나와 함께 길르앗 라못으로 가서 싸우시겠느냐 여호사밧이 이스라엘 왕에게 이르되 나는 당신과 같고 내 백성은 당신의 백성과 같고 내 말들도 당신의 말들과 같으니이다
22:5 여호사밧이 또 이스라엘의 왕에게 이르되 청하건대 먼저 여호와의 말씀이 어떠하신지 물어 보소서
4 So he asked Jehoshaphat, “Will you go with me to fight against Ramoth Gilead?”
Jehoshaphat replied to the king of Israel, “I am as you are, my people as your people, my horses as your horses.” 5 But Jehoshaphat also said to the king of Israel, “First seek the counsel of the Lord.”
22:6 이스라엘의 왕이 이에 선지자 사백 명쯤 모으고 그들에게 이르되 내가 길르앗 라못에 가서 싸우랴 말랴 그들이 이르되 올라가소서 주께서 그 성읍을 왕의 손에 넘기시리이다
6 So the king of Israel brought together the prophets—about four hundred men—and asked them, “Shall I go to war against Ramoth Gilead, or shall I refrain?”
“Go,” they answered, “for the Lord will give it into the king’s hand.”
22:7 여호사밧이 이르되 이 외에 우리가 물을 만한 여호와의 선지자가 여기 있지 아니하니이까
7 But Jehoshaphat asked, “Is there no longer a prophet of the Lord here whom we can inquire of?”
22:8 이스라엘의 왕이 여호사밧 왕에게 이르되 아직도 이믈라의 아들 미가야 한 사람이 있으니 그로 말미암아 여호와께 물을 수 있으나 그는 내게 대하여 길한 일은 예언하지 아니하고 흉한 일만 예언하기로 내가 그을 미워하나이다 여호사밧이 이르되 왕은 그런 말씀을 마소서
8 The king of Israel answered Jehoshaphat, “There is still one prophet through whom we can inquire of the Lord, but I hate him because he never prophesies anything good about me, but always bad. He is Micaiah son of Imlah.”
“The king should not say such a thing,” Jehoshaphat replied.
22:9 이스라엘의 왕이 한 내시를 불러 이르되 이믈라의 아들 미가야를 속히 오게 하라 하니라
9 So the king of Israel called one of his officials and said, “Bring Micaiah son of Imlah at once.”
22:10 이스라엘의 왕과 유다의 여호사밧 왕이 왕복을 입고 사마리아 성문 어귀 광장에서 각기 왕좌에 앉아 있고 모든 선지자가 그들의 앞에서 예언을 하고 있는데
22:11 그나아나의 아들 시드기야는 자기를 위하여 철로 뿔들을 만들어 가지고 말하되 여호와의 말씀이 왕이 이것들로 아람 사람을 찔러 진멸하리라 하셨다 하고
10 Dressed in their royal robes, the king of Israel and Jehoshaphat king of Judah were sitting on their thrones at the threshing floor by the entrance of the gate of Samaria, with all the prophets prophesying before them. 11 Now Zedekiah son of Kenaanah had made iron horns and he declared, “This is what the Lord says: ‘With these you will gore the Arameans until they are destroyed.’”
22:12 모든 선지자도 그와 같이 예언하여 이르기를 길르앗 라못으로 올라가 승리를 얻으소서 여호와께서 그 성읍을 왕의 손에 넘기시리이다 하더라
12 All the other prophets were prophesying the same thing. “Attack Ramoth Gilead and be victorious,” they said, “for the Lord will give it into the king’s hand.”
열왕기상 21장에서 ‘나봇의 포도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아합왕이 나봇의 포도원으로 채소밭을 만들고 싶어 했습니다. 하지만 나봇은 조상의 유산이여서 아합왕의 제안을 거절했고, 그로 인해 아합왕은 시금을 전패하게 됩니다. 이러한 모습을 본 이세벨이 자기가 그 포도원을 가질 수 있게 해 주겠다고 말합니다.
어떻게 나봇의 포도원을 빼앗게 됩니까? 악당들이 하는 것과 같이 사람들 앞에서 모함하고 폭행으로 죽음에 이르게 해서, 그 포도원을 빼앗게 됩니다. 하지만 오늘 본분은 나봇의 이야기와 연결되는 부분이 아닌 그 앞에 있는 20장과 연결되는 내용입니다.
아람의 벤하닷왕은 두 번에 걸쳐서 북이스라엘을 침략합니다. 벤하닷은 북이스라엘의 은이나 금과 같은 재산은 물론 부인들과 자녀들까지 모두 자기 것이니 보내라고 했습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벤하닷왕은 온 사마리아를 잿더미로 만들겠다고 장담하며, 승리의 술을 마시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서도 이 전쟁은 북이스라엘이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북이스라엘과 함께하셨고,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 가운데서 이루어진 일이라고밖에는 설명할 길이 없습니다. 이것이 북이스라엘과 아람의 첫 번째 전쟁이었습니다.
첫 번째 전쟁이 끝나고 한 선지자가 아합왕에게 20:22절에서 “힘을 기르고 미리 할 일을 하고 있으라”라고 조언합니다. 왜냐하면 아람이 또 쳐들어올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아람왕의 신하들도 벤하닷왕에게 조언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신은 산의 신이기 때문에 평지에서 싸우면 우리가 이길 것입니다”라고 말합니다. 그 조언이 그들에게는 최선이었지만, 그들은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는 몰랐습니다.
In 1 Kings 21, we hear about “Naboth’s Vineyard.” King Ahab wanted to turn Naboth’s vineyard into a vegetable garden. However, Naboth refused the king’s offer because it was an inheritance from his ancestors, which led King Ahab to become sullen and angry. Jezebel, seeing Ahab’s distress, promised to get the vineyard for him. How did they take Naboth’s vineyard? Like villains, they falsely accused him, had him stoned to death, and took his vineyard. However, today’s passage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Naboth’s story but to the events leading up to chapter 20.
King Ben-Hadad of Aram invaded Northern Israel twice. He demanded that Israel send him their silver, gold, wives, and children, threatening to turn Samaria into rubble if they did not comply. While celebrating what he thought would be his victory, the Northern Israelites miraculously won the war because God was with them, fulfilling His divine plan. This marked the first war between Israel and Aram.
After the first war, a prophet advised King Ahab in 20:22, “Strengthen your position and see what must be done, because next spring the king of Aram will attack you again.” The Arameans believed that Israel’s God was a god of the hills, thinking they could win on the plains. They did not understand who God truly was.
2차 전쟁에서도 북이스라엘은 벤하닷왕의 군대를 결코 이길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결국에는 크게 승리하였습니다. 아합왕은 이처럼 2번에 걸쳐서 이길 수 없는 전쟁에서 하나님의 전적인 역사와 섭리로 승리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에 전쟁 후 아합왕은 진멸해야 할 벤하닷을 살려주었습니다. 그로 인해 아합왕에게 심판의 경고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고를 듣고도 아합왕은 하나님을 등진 삶을 사는 일에는 한결같았습니다. 아람과의 전쟁 가운데 결코 이길 수 없는 전쟁에서 이긴 것이 하나님의 함께하심이며, 하나님의 섭리였음에도 그는 그것이 자신의 능력과 지략이 뛰어나서 이룬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본문 2절에 보면 3년째 되는 해에 남유다의 여호사밧 왕이 북이스라엘의 아합왕을 방문합니다. 또한 여호사밧 왕이 아합왕을 방문했다고 하는 것은 지금 두 나라의 관계가 우호적임을 보여줍니다. 왜냐하면 여호사밧 왕의 아들 여호람이 아합왕의 딸 아달랴와 결혼했기 때문입니다. 남쪽 왕가와 북쪽 왕가가 결혼하여 서로 싸우지 않게 된 것은 좋은 일이지만, 그로 인해 남쪽도 북쪽을 닮아 하나님을 등지고 사는 기초가 되고 말았습니다.
또한 북이스라엘 모든 왕 중에서 단 한 명도 하나님을 위해 살았던 사람이 없었습니다. 모든 왕들이 하나님을 등지고 살았기 때문에 악한 왕들로 평가를 받습니다. 그래서 여호사밧 왕이 아합왕을 찾아간 것은 바르지 못한 선택이었습니다.
여호사밧의 모습을 통해 우리의 행동과 말, 생각이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고 있는지, 또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서 살아가고 있는지, 늘 확인하는 것은 믿음 생활의 지혜이자, 성숙으로 가는 디딤돌과 같습니다. 이렇게 우리의 삶의 모든 부분에서 믿음의 지혜자처럼 살아내시는 저와 여러분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In the second war, Israel again, against all odds, achieved a great victory. Despite these divine interventions, King Ahab spared Ben-Hadad’s life, resulting in a warning of judgment against him. Despite this, Ahab continued to turn away from God, attributing his victories to his own abilities and strategies rather than recognizing God’s hand in them.
In today’s text, verse 2 states that in the third year, King Jehoshaphat of Judah visited King Ahab of Israel. This visit indicated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nations, likely due to the marriage of Jehoshaphat’s son Jehoram and Ahab’s daughter Athaliah. Although this alliance prevented war, it also led Judah to follow Israel’s path of turning away from God.
None of Israel’s kings lived for God; they were all judged as evil because they turned away from Him. Jehoshaphat’s visit to Ahab was a poor choice. From Jehoshaphat’s example, we should constantly check if our actions, words, and thoughts align with God’s will and His word. Such vigilance in our faith life leads to wisdom and maturity. May we live wisely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의기투합 (3-4절)
여호사밧 왕이 아합왕을 방문했을 때, 아합왕은 자기 신하들에게 길르앗 라못은 우리 땅인데도 다시 찾아올 생각조차 하지 않고 있다고 질책합니다. 그 땅을 빼앗긴 것도 사실이었고, 두 번의 전쟁에서 패한 아람이 돌려주겠다고 약속했음에도, 3년이 지나도록 돌려주지 않고 있었던 것입니다.
또한 아합왕이 자신의 신하들에게 이렇게 말하는 것은, 자신들에게 그 땅을 되찾을 능력이 있다고 확신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하나님께서 함께하시고 싸워주신 것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아합왕의 일관된 모습으로 신하들에게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호사밧에게 자신과 함께 길르앗 라못을 치러가지 않겠느냐는 말에 4절 하반절에 “나는 당신과 같고 내 백성은 당신의 백성과 같고 내 말들도 당신의 말들과 같으니이다”라고 말하며, 전적으로 동의하였습니다. 이렇게 두 사람의 연대가 얼마나 강했는지를 지금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의기투합은 바르지 못한 것이었으며, 결국에는 아합왕을 죽음으로 몰아넣고 말았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통해서 역사하시는 분이십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통로인 것은 결코 아닙니다. 하나님의 함께 하심이 없이 단순히 사람과 사람 간의 의기투합, 세상적인 생각만으로 함께하는 것은 오히려 자신을 죽음의 길로 몰고 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무엇을 하든, 바른 분별력을 가져야 하며, 그 분별력은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지혜에서 비롯됨을 잊지 않기를 바랍니다.
Unity (Verses 3-4)
When Jehoshaphat visited Ahab, Ahab rebuked his officials, saying they had not reclaimed Ramoth Gilead, which rightfully belonged to them. Despite Aram’s promise to return it after their defeats, three years had passed without action. Ahab’s insistence on his ability to reclaim the land without acknowledging God’s help was typical of his attitude. He then asked Jehoshaphat to join him in battle. Jehoshaphat agreed, saying, “I am as you are, my people as your people, my horses as your horses.” This agreement showed their strong alliance, but it ultimately led to Ahab’s demise.
God works through people, but not all people are His instruments. Without God’s guidance, human alliances and plans can lead to destruction. Therefore, we must seek discernment from God and His wisdom in all we do.
듣기 좋은 소리 (5-8절)
여호사밧이 함께 하겠다는 말을 들은 아합왕은 당장 길르앗 라못을 찾아오기 위해 출정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5~6절에서 여호사밧 왕이 출정에 제동을 걸었던 것입니다.
여호사밧은 출정하기 전 5절에 ‘먼저’라고 말합니다. 먼저의 문자적 의미는 오늘, 지금, 당장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지금 당장 하나님의 뜻을 물어보자고 제안한 것입니다. 여호사밧의 제안에 아합왕이 선지자 400명을 부릅니다. 이 선지자들이 바알이나 아세라와 같은 우상을 섬기던 선지자였는지 아니었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다만 언제나 왕이 원하는 답만을 주는 선지자라는 것입니다. 아마 아합왕은 사람들의 반대를 자신의 뜻대로 밀어붙일 때, 이러한 선지자들을 동원해서 하나님의 뜻이 이러하다고 밀어붙였을 것입니다. 선지자 400명은 한목소리로 “길르앗 라못을 왕의 손에 넘겨주셨으니 올라가라”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여호사밧은 선지자 400명이 한목소리로 말하는 것을 보고 뭔가 이상함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7절에 “이 외에 우리가 물을 만한 여호와의 선지자가 여기 있지 아니하니이까”라고 묻게 됩니다. 그 질문에 아합왕의 대답은 사뭇 충격적입니다.
8절에 새번역 “주님의 뜻을 물어 볼 사람으로서, 이믈라의 아들 미가야라고 하는 예언자가 있기는 합니다만, 나는 그를 싫어합니다. 그는 한 번도 나에게 무엇인가 길한 것을 예언한 적이 없고, 언제나 흉한 것만 예언하곤 합니다”라고 말합니다.
즉 하나님을 등진 사람들 가운데서도 신실하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고 선포하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400명의 선지자와 다른 길을 걸으며 이야기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람은 자신이 말하고 싶은 것이나 상대가 원하는 것만을 들려주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을 올바르며 지혜 있게 전하는 사람입니다.
또한 하나님의 참된 자녀는 자신이 듣고 싶은 것만을 들으려고 하는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하시는 어떠한 말씀이라도 청종하며 듣는 사람입니다. 저와 여러분은 지금 어떠한 말에 더 귀를 귀울이고 계시나요?
Hearing What We Want to Hear (Verses 5-8)
Upon hearing Jehoshaphat’s agreement, Ahab was eager to march on Ramoth Gilead. However, Jehoshaphat insisted on seeking God’s will first. Ahab summoned 400 prophets, who likely were not true prophets of God but those who told the king what he wanted to hear. They unanimously proclaimed, “Go, for the Lord will give it into the king’s hand.”
Jehoshaphat sensed something was wrong and asked if there was another prophet of the Lord to inquire of. Ahab admitted there was one, Micaiah son of Imlah, but he disliked him because he never prophesied anything good about him, only bad. This shows that while Ahab had surrounded himself with yes-men, Micaiah stood firm in delivering God’s true message, regardless of its popularity.
A true servant of God does not say what people want to hear but what God commands them to say. Likewise, true followers of God listen not to what they want to hear but to what God says, even if it is difficult.
아무 말 대잔치 (9-12절)
아합왕은 한 내시를 보내어 미가야 선지자를 데려오게 합니다. 그런데 두 왕 모두 왕복을 입고 광장에 있었다는 것은 자신들의 신분을 드러내고 이 일이 공식 행사임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즉 아합왕은 전쟁의 정당성을 선지자들의 예언을 통해서 지지받기를 원했던 것입니다.
특히 선지자 400명 중의 하나인 시드기야는 11절에 보면 자기를 위하여 라고 말하며, 자신이 만든 철 뿔들을 가지고 와서 “여호와의 말씀이 왕이 이것들로 아람 사람을 찔러 진멸하리라 하셨다”라고 말합니다. 이 ‘철 뿔’은 아무도 막을 수 없는 힘과 능력을 상징합니다. 그래서 아합왕이 막강한 힘과 능력으로 길르앗 라못을 충분히 차지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다른 선지자들도 시드기야와 동일하게 예언합니다. 특히 12절에 “승리를 얻으소서”가 명령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아합왕에게 무조건 이길 수 있으니 빨리 전쟁을 하라는 것입니다. 시드기야를 비롯한 선지자 400명이 전하는 예언은 마치 생각 없이 말하는 동문서답 ‘아무말 대잔치’와 같습니다.
오늘 본문에서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그리스도인은 자신이 듣고 싶은 말을 듣는 사람이 아니라 진정한 하나님의 말씀과 하나님의 뜻을 듣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적지 않은 크리스천들이 자신이 원하는 답만을 주는 영적 지도자를 따르려고 합니다. 또는 하나님께 듣고 싶은 말만 듣기 위해 기도합니다.
그러나 자기가 듣고 싶은 말씀이 아무리 하나님의 말씀인 것처럼 포장할지라도, 결국에는 자신의 삶과 하나님과의 믿음을 무너지게 하는 결과만을 낳게 됩니다. 주님을 믿는 저와 여러분이 누리는 최고의 축복은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모든 말씀들을 한글자도 빠짐없이 모두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는 것입니다.
우리가 원하는 말씀이나 우리가 듣고 싶은 말들은 저와 여러분을 세우고 새롭게 하지 못합니다. 하나님께서 저희의 마음에 새겨주시고 들려주시는 말씀이 저와 여러분을 날마다 세우고 새롭게 할 줄 믿습니다. 오늘 하루도 주님이 주시는 말씀에 순종하며 걸어갈 때, 우리는 주님 안에서 승리하는 삶, 주님께 쓰임 받는 삶이 될 줄 믿는 저와 여러분이 되시기를 기도합니다.
A Feast of Empty Words (Verses 9-12)
Ahab sent a messenger to bring Micaiah, while he and Jehoshaphat, dressed in their royal robes, sat on their thrones. This setting indicated an official event where Ahab sought to legitimize his plans through prophetic endorsement. One of the 400 prophets, Zedekiah, made iron horns and declared, “This is what the Lord says: With these you will gore the Arameans until they are destroyed.” The 400 prophets echoed this, urging Ahab to attack and be victorious, promising him certain success.
This chorus of prophets was like a mindless agreement, an “anything goes” fest, with no true divine insight. They were merely telling the king what he wanted to hear.
The key lesson from this passage is that Christians should seek God’s true words and will, not just what they want to hear. Many believers look for spiritual leaders who will affirm their desires or pray only to hear affirming messages. However, even if such messages seem to be from God, they can ultimately lead to spiritual downfall. The greatest blessing for believers is to accept all of God’s words, from Genesis to Revelation, as His truth.
It is not the words we want to hear that build us up and renew us, but the words God engraves in our hearts. As we walk in obedience to God’s words, we will lead victorious and purposeful lives in Christ. Let us pray for the strength to listen to and follow God’s true words every day.
Commen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