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6 솔로몬의 신하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이 또한 손을 들어 왕을 대적하였으니 그는 에브라임 족속인 스레다 사람이요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스루아이니 과부더라
Jeroboam Rebels Against Solomon
26 Also, Jeroboam son of Nebat rebelled against the king. He was one of Solomon’s officials, an Ephraimite from Zeredah, and his mother was a widow named Zeruah.
11:27 그가 손을 들어 왕을 대적하는 까닭은 이러하니라 솔로몬이 밀로를 건축하고 그의 아버지 다윗의 성읍이 무너진 것을 수축하였는데
11:28 이 사람 여로보암은 큰 용사라 솔로몬이 이 청년의 부지런함을 보고 세워 요셉 족속의 일을 감독하게 하였더니
27 Here is the account of how he rebelled against the king: Solomon had built the terraces and had filled in the gap in the wall of the city of David his father. 28 Now Jeroboam was a man of standing, and when Solomon saw how well the young man did his work, he put him in charge of the whole labor force of the tribes of Joseph.
11:29 그 즈음에 여로보암이 예루살렘에서 나갈 때에 실로 사람 선지자 아히야가 길에서 그를 만나니 아히야가 새 의복을 입었고 그 두 사람만 들에 있었더라
11:30 아히야가 자기가 입은 새 옷을 잡아 열두 조각으로 찢고
11:31 여로보암에게 이르되 너는 열 조각을 가지라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 내가 이 나라를 솔로몬의 손에서 찢어 빼앗아 열 지파를 네게 주고
11:32 오직 내 종 다윗을 위하고 이스라엘 모든 지파 중에서 택한 성읍 예루살렘을 위하여 한 지파를 솔로몬에게 주리니
11:33 이는 그들이 나를 버리고 시돈 사람의 여신 아스다롯과 모압의 신 그모스와 암몬 자손의 신 밀곰을 경배하며 그의 아버지 다윗이 행함 같지 아니하여 내 길로 행하지 아니하며 나 보기에 정직한 일과 내 법도와 내 율례를 행하지 하니함이니라
29 About that time Jeroboam was going out of Jerusalem, and Ahijah the prophet of Shiloh met him on the way, wearing a new cloak. The two of them were alone out in the country, 30 and Ahijah took hold of the new cloak he was wearing and tore it into twelve pieces. 31 Then he said to Jeroboam, “Take ten pieces for yourself, for this is what the Lord, the God of Israel, says: ‘See, I am going to tear the kingdom out of Solomon’s hand and give you ten tribes. 32 But for the sake of my servant David and the city of Jerusalem, which I have chosen out of all the tribes of Israel, he will have one tribe. 33 I will do this because they have[b] forsaken me and worshiped Ashtoreth the goddess of the Sidonians, Chemosh the god of the Moabites, and Molek the god of the Ammonites, and have not walked in obedience to me, nor done what is right in my eyes, nor kept my decrees and laws as David, Solomon’s father, did.
11:34 그러나 내가 택한 내 종 다윗이 내 명령과 내 법도를 지켰으므로 내가 그를 위하여 솔로몬의 생전에는 온 나라를 그의 손에서 빼앗지 아니하고 주관하게 하려니와
11:35 내가 그의 아들의 손에서 나라를 빼앗아 그 열 지파를 네게 줄 것이요
11:36 그의 아들에게는 내가 한 지파를 주어서 내가 거기에 내 이름을 두고자 하여 택한 성읍 예루살렘에서 내 종 다윗이 항상 내 앞에 등불을 가지고 있게 하리라
11:37 내가 너를 취하리니 너는 네 마음에 원하는 대로 다스려 이스라엘 위에 왕이 되되
11:38 네가 만일 내가 명령한 모든 일에 순종하고 내 길로 행하며 내 눈에 합당한 일을 하며 내 종 다윗이 행함 같이 내 율례와 명령을 지키면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내가 다윗을 위하여 세운 것 같이 너를 위하여 견고한 집을 세우고 이스라엘을 네게 주리라
11:39 내가 이로 말미암아 다윗의 자손을 괴롭게 할 것이나 영원히 하지는 아니하리라 한지라
34 “‘But I will not take the whole kingdom out of Solomon’s hand; I have made him ruler all the days of his life for the sake of David my servant, whom I chose and who obeyed my commands and decrees. 35 I will take the kingdom from his son’s hands and give you ten tribes. 36 I will give one tribe to his son so that David my servant may always have a lamp before me in Jerusalem, the city where I chose to put my Name. 37 However, as for you, I will take you, and you will rule over all that your heart desires; you will be king over Israel. 38 If you do whatever I command you and walk in obedience to me and do what is right in my eyes by obeying my decrees and commands, as David my servant did, I will be with you. I will build you a dynasty as enduring as the one I built for David and will give Israel to you. 39 I will humble David’s descendants because of this, but not forever.’”
11:40 이러므로 솔로몬이 여로보암을 죽이려 하매 여로보암이 일어나 애굽으로 도망하여 애굽 왕 시삭에게 이르러 솔로몬이 죽기까지 애굽에 있으니라
40 Solomon tried to kill Jeroboam, but Jeroboam fled to Egypt, to Shishak the king, and stayed there until Solomon’s death.
11:41 솔로몬의 남은 사적과 그의 행한 모든 일과 그의 지혜는 솔로몬의 실록에 기록되지 아니하였느냐
11:42 솔로몬이 예루살렘에서 온 이스라엘을 다스린 날 수가 사십 년이라
11:43 솔로몬이 그의 조상들과 함께 자매 그의 아버지 다윗의 성읍에 장사되고 그의 아들 르호보암이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Solomon’s Death
41 As for the other events of Solomon’s reign—all he did and the wisdom he displayed—are they not written in the book of the annals of Solomon? 42 Solomon reigned in Jerusalem over all Israel forty years. 43 Then he rested with his ancestors and was buried in the city of David his father. And Rehoboam his son succeeded him as king.
옛말에 새옹지마란 고사성어가 있습니다. 이는 현재의 일이 축복인지 불행인지 미리 알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오늘 본문에도 그러한 의미가 함축되어 있습니다. 본문의 주인공은 큰 용사 여로보암입니다.(28절) 그런데 어느 날 이 여로보함에게 아히야란 선지자가 나타납니다.
그리고 이스라엘이 분열할 것과 여로보암이 북이스라엘의 왕이 될 것을 예언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여기서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습니다. 과연 아히야의 예언이 여로보암에게 있어서 축복인가 아니면 저주인가 하는 것입니다.
단적으로 축복이라 할 수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스라엘의 분열 자체가 하나님의 저주이기에 결국 여로보암은 저주의 도구가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저주라 할 수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일개 공사장 감독의 신분으로서 왕이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여로보암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요?
1.여로보암은 결국 불행한 하나님의 도구로 쓰임 받았습니다.
사람들은 하나님의 선택에 의해 축복을 받기도 하며 쓰임을 받기도 합니다. 그런데 때로 그 축복과 쓰임이 결과적으로 불행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예시들을 성경에서 여러 모습으로 이야기합니다. 애굽의 바로 왕은 이스라엘 백성을 노예로 부렸습니다.
이 사실 자체는 바로 자신에게 있어서 커다란 축복이었습니다. 많은 노예를 데리고 있으면서 적은 임금으로 많은 일들을 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결국 이스라엘을 출애굽 시키기 위한 하나님의 계획이었으며 바로는 하나님의 불행한 도구에 불과했습니다. 선지자 발람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그는 발락의 초청으로 인해 부를 획득할 수 있었습니다.
이것이 발람 자신에게는 축복이었지만 그러나 그는 이스라엘을 축복하기 위한 하나님의 불행한 도구에 불과했습니다. 바벨론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바벨론 나라가 왕성한 것 자체는 축복이었지만 그러나 그 나라는 이스라엘을 책망하기 위한 하나님의 불행한 도구에 불과했던 것입니다.
때문에 그들이 쓰임을 받고 나면, 그들의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되고 심지어 그들의 생명까지도 빼앗겼던 것입니다. 오늘 본문의 여로보암 역시 그러한 범주의 한 사람이었습니다. 31절을 보면 그는 북이스라엘 왕이 된다는 예언을 받았습니다.
왜 하나님은 지금 솔로몬 왕국을 둘로 나누려는 것일까요? 그것은 우리가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솔로몬이 언약적으로 불충성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금 여로보암을 들어 사용하시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여러보암의 입장에서 보면 더할 수 없는 축복이요 영광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나 여로보암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로보암왕국이 영원하려면 솔로몬처럼 동일하게 언약적으로 충성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솔로몬과 여로보암을 표현할 때 열왕기상 11:33, 38절에 “그의 아버지 다윗의 행함 같지 아니하며” 또 “내 종 다윗이 행함 같이 내 율례와 명령을 지키면”이라 말씀을 통해 모두 다윗이 기준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여로보암을 사용하시는 이유는 솔로몬과 이스라엘에 대한 징계의 수단에 불과했습니다. 훗날 여로보암은 우상숭배의 대명사가 되었고 그의 왕국 북이스라엘이 피비린내 나는 왕권 다툼이 계속되다가 남유다보다 훨씬 먼저 멸망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것이 바로 여로보암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이었던 것입니다. 하나님의 중요한 판단 기준은 외적인 통일이 아니라 그 속에 있는 사람들이 실제로 언약적인 삶을 사느냐 하는 것입니다. 솔로몬과 이스라엘 백성들은 언약적 삶을 너무나 살기 싫어했기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지금 이러한 방법까지 동원하신 것입니다. 성도 여러분 우리 역시 예외가 될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 우리 또한 하나님만을 바라보고 붙들지 못하고 언약적인 삶을 살지 못한다면 우리도 여로보암 처럼 불행한 도구가 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는 소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불행한 도구가 되지 않도록 기도를 통해 우리 자신을 드려다 보며 점검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 자신을 말씀 앞에서 면밀히 살펴보는데 게으르지 않아야 합니다. 하나님 말씀대로 신앙인으로 세상 가운데 분명 바로 살지 못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삶 가운데 형통함이 찾아왔다거나 계속되고 있다면 이것은 분명 심각한 일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우리는 늘 영적으로 깨어있으려 노력하며 주님의 날개그늘 안에서 벗어나지 않고 늘 말씀 앞에 저와 여러분의 내면 깊은 곳에 모습을 마주하고 점검하시는 성도님들 되시기를 기도합니다.
2.불행한 도구는 저와 여러분을 위해 쓰여집니다.
우리는 앞에서 불행한 하나님의 도구로 쓰임 받는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러면 이제 그 도구의 역할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불행한 도구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저와 여러분을 깨닫게 하려는 하나님의 사랑 표현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사람을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의 백성들을 구원하시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하나님은 다윗의 혈통을 사랑하셨습니다. 또 다윗과의 언약을 소중히 여기셨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윗 족속이 범죄했을 때 그들이 깨닫고 회개하도록 하셔야만 했습니다.
그래서 그 방법으로 여로보암을 사용하셨던 것입니다. 그렇기에 32절에 보면 여로보암에게 12지파 모두를 준 것이 아니고 10지파만 주었으며, 39절에 보면 “내가 이로 말미암아 다윗의 자손을 괴롭게 할 것이나 영원히 하지는 아니하리라”라고 말씀하시면서, 여로보암에게 일시적인 승리만을 허락하셨던 것입니다.
우리가 일상 가운데 살아가다 보면 부딪쳐오는 여러 걸림돌이 의외로 많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견디기 어려운 환경이나 상황은,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불신자가 세상 가운데 잘 살고 힘을 가지고 있는데, 그에 비해 하나님을 믿고 따르는 우리 자신의 초라함과 비교될 때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환경과 상황속에서 비관하거나 낙심의 마음, 또는 하나님에게 원망이나 불평만을 쏟아내서는 안 됩니다. 이러한 상황과 환경 속에서 오히려 우리 자신을 돌아보고 이것을 통해 하나님께서 지금 나에게 무엇을 말씀하고 계시는지, 또는 나는 지금 하나님께서 원하시지 않는 일을 나도 모르게 하고 있지는 않은지 우리 자신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깨달아야 합니다. 분명 우리의 삶 가운데 이러한 일들은 그들을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를 깨닫게 하는 도구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성도 여러분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누구보다도 사랑하는 분이십니다. 따라서 우리는 지금 이 시간 그분의 사랑 속에 함께하고 있음을 믿습니다. 주님의 사랑은 때로는 풍성함으로 때로는 채찍으로 우리의 삶 가운데 나타나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어떠한 상황 가운데 놓이게 되든지 하나님에 대한 불평과 의심의 마음을 가져서는 결코 안 됩니다.
자칫 잘못하면 불행한 도구가 될 수도 있으며, 그나마 우리 자신의 모든 것을 빼앗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는 저와 여러분은 항상 주님과 만나고 교제하는 시간, 즉 기도의 시간을 꼭 가져야 합니다.
에베소서 6:18절에 “모든 기도와 간구를 하되 항상 성령 안에서 기도하고 이를 위하여 깨어 구하기를 항상 힘쓰며 여러 성도를 위하여 구하라” 아멘.
오늘 하루도 기도를 통해 우리의 삶의 모든 것과 방향성을 묻고, 또한 말씀의 거울 앞에 우리의 내면 깊은 곳까지 비춰보는 저와 여러분이 되시기를 소망합니다.
Commenta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