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40412 [새벽묵상] 여호와의 때 | Timing of Jehovah (왕상/1Kings 4:20~34)



4:20 유다와 이스라엘의 인구가 바닷가의 모래 같이 많게 되매 먹고 마시며 즐거워하였으며

4:21 솔로몬이 그 강에서부터 블레셋 사람의 땅에 이르기까지와 애굽 지경에 미치기까지의 모든 나라를 다스리므로 솔로몬이 사는 동안에 그 나라들이 조공을 바쳐 섬겼더라

20 The people of Judah and Israel were as numerous as the sand on the seashore; they ate, they drank and they were happy. 21 And Solomon ruled over all the kingdoms from the Euphrates River to the land of the Philistines, as far as the border of Egypt. These countries brought tribute and were Solomon’s subjects all his life.


4:22 솔로몬의 하루의 음식물은 가는 밀가루가 삼십 고르요 굵은 밀가루가 육십 고르요

4:23 살진 소가 열 마리요 초장의 소가 스무 마리요 양이 백 마리이며 그 외에 수사슴과 노루와 암사슴과 살진 새들이었더라

4:24 솔로몬이 그 강 건너편을 딥사에서부터 가사까지 모두, 그 강 건너편의 왕을 모두 다스리므로 그가 사방에 둘린 민족과 평화를 누렸으니

4:25 솔로몬이 사는 동안에 유다와 이스라엘이 단에서부터 브엘세바에 이르기까지 각기 포도나무 아래와 무화과나무 아래에서 평안히 살았더라

22 Solomon’s daily provisions were thirty cors[a] of the finest flour and sixty cors[b] of meal, 23 ten head of stall-fed cattle, twenty of pasture-fed cattle and a hundred sheep and goats, as well as deer, gazelles, roebucks and choice fowl. 24 For he ruled over all the kingdoms west of the Euphrates River, from Tiphsah to Gaza, and had peace on all sides. 25 During Solomon’s lifetime Judah and Israel, from Dan to Beersheba, lived in safety, everyone under their own vine and under their own fig tree.


4:26 솔로몬의 병거의 말 외양간이 사만이요 마병이 만 이천 명이며

26 Solomon had four thousand stalls for chariot horses, and twelve thousand horses.


4:27 그 지방 관장들은 각각 자기가 맡은 달에 솔로몬 왕과 왕의 상에 참여하는 모든 자를 위하여 먹을 것을 공급하여 부족함이 없게 하였으며

4:28 또 그들이 각기 직무를 따라 말과 준마에게 먹일 보리와 꼴을 그 말들이 있는 곳으로 가져왔더라

27 The district governors, each in his month, supplied provisions for King Solomon and all who came to the king’s table. They saw to it that nothing was lacking. 28 They also brought to the proper place their quotas of barley and straw for the chariot horses and the other horses.


4:29 하나님이 솔로몬에게 지혜와 총명을 심히 많이 주시고 또 넓은 마음을 주시되 바닷가의 모래 같이 하시니

4:30 솔로몬의 지혜가 동쪽 모든 사람의 지혜와 애굽의 모든 지혜 보다 뛰어난지라

4:31 그는 모든 사람보다 지혜로워서 예스라 사람 에단과 마홀의 아들 헤만과 갈골과 다르다보다 나으므로 그의 이름이 사방 모든 나라에 들렸더라

4:32 그가 잠언 삼천 가지를 말하였고 그의 노래는 천다섯 편이며

4:33 그가 또 초목에 대하여 말하되 레바논의 백향목으로부터 담에 나는 우슬초까지 하고 그가 또 짐승과 새와 기어다니는 것과 물고기에 대하여 말한지라

4:34 사람들이 솔로몬의 지혜를 들으러 왔으니 이는 그의 지혜의 소문을 들은 천하 모든 왕들이 보낸 자들이더라

29 God gave Solomon wisdom and very great insight, and a breadth of understanding as measureless as the sand on the seashore. 30 Solomon’s wisdom was greater than the wisdom of all the people of the East, and greater than all the wisdom of Egypt. 31 He was wiser than anyone else, including Ethan the Ezrahite—wiser than Heman, Kalkol and Darda, the sons of Mahol. And his fame spread to all the surrounding nations. 32 He spoke three thousand proverbs and his songs numbered a thousand and five. 33 He spoke about plant life, from the cedar of Lebanon to the hyssop that grows out of walls. He also spoke about animals and birds, reptiles and fish. 34 From all nations people came to listen to Solomon’s wisdom, sent by all the kings of the world, who had heard of his wisdom.


 

오늘의 성경구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솔로몬 왕의 통치 아래 이룬 번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말씀들은 여호와께서 맺으신 언약이 성취되었음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여호와께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언약은 영원하지만, 솔로몬의 통치 기간 동안 이룬 영광과 번영은 일시적이었다는 점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을 염두에 두고, 오늘의 성경 구절을 살펴봅시다.

 

(20) 인구가 바닷가의 모래 같이 많게 되매

 

먼저, 오늘의 본문은 솔로몬 왕의 통치 기간 동안 이스라엘 인구가 "바닷가의 모래"처럼 많아졌다고 기술합니다. 이 표현은 실제 인구 수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매우 큰 무리를 상징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 구절이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었음을 암시한다는 것입니다. 창세기 22:17에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내가 네게 큰 복을 주고 네 자손을 하늘의 별과 같이, 바닷가의 모래와 같게 하리니"라고 약속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이는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이 성취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먹고 마시며 즐거워하였으며"는 이스라엘의 모든 사람이 행복을 누렸음을 의미합니다. 인구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소외된 사람이 없이 모두가 이 행복을 공유했습니다.

 

Timing of JehovahToday's scripture records the glory and prosperity that Israel achieved during the reign of King Solomon. These words reveal that the covenant made by Jehovah was fulfilled. However, it's important to note that while the covenant Jehovah made with Israel is eternal, the glory and prosperity achieved during Solomon's reign were temporary. With this in mind, let us look at today’s scripture verse by verse.

(20) The population of Judah and Israel became as numerous as the sand by the sea

First, the passage describes the population of Israel during King Solomon's reign as being as "numerous as the sand by the sea". This expression does not literally mean the actual number of people but signifies a great multitude. Importantly, this phrase hints at the fulfillment of God's promise. In Genesis 22:17, God promised Abraham, "I will surely bless you and make your descendants as numerous as the stars in the sky and as the sand on the seashore." Thus, it signifies the fulfillment of the covenant made with Abraham.

The phrase "eating and drinking and being joyful" signifies that every person in Israel enjoyed happiness. Despite the large population, there was no one who was neglected; everyone shared in this happiness.



(21) 솔로몬이 모든 왕국을 다스렸습니다

 

지금까지 이스라엘은 주변 국가들과 지속적인 갈등을 겪어왔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주변 국가들과 함께 평화로운 관계를 맺었습니다(24절). 이스라엘을 섬기는 국가들은 북쪽 유프라테스 강에서부터 서쪽의 블레셋 땅, 남쪽의 이집트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습니다. 24절에서는 유프라테스 강 주변의 딥사에서부터 지중해 해안의 가자에 이르는 범위를 언급합니다. 이스라엘의 영토가 이만큼에 이른다고 반복해서 말하는 것은 여호와께서 맺으신 땅에 대한 언약이 성취되었음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창세기 15:18에서 "그 날에 주님은 아브람과 언약을 맺으시며 말씀하셨습니다. '이집트 강에서부터 큰 강 유프라테스에 이르기까지 이 땅을 네 후손에게 주리라'". 이는 땅에 대한 언약, 오랫동안 이스라엘 백성이 붙들고 있던 언약이 성취되었음을 강조합니다. 약 400년 전에 가나안 땅을 정복했지만, 외국 민족과의 갈등과 분쟁은 끊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제 평화의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22-23) 솔로몬의 하루의 음식물

 

"솔로몬의 하루의 음식물"은 솔로몬 왕궁의 규모와 경제력을 나타냅니다. 가는 밀가루 삼십 고르, 굵은 밀가루 육십 고르, 살진 소 열 마리, 초장의 소 스무 마리, 양 백 마리를 비롯해 사슴, 노루, 여우, 살찐 조류까지 사용되었습니다. 이것은 14,000에서 36,000명 사이를 먹일 수 있는 양으로 추정됩니다.

 

(21) Solomon ruled over all the kingdoms

Until now, Israel had been in constant conflict with neighboring nations. However, now neighboring nations served Israel and established peaceful relations (verse 24). The nations serving Israel extended from the River, namely the Euphrates in the north, to the Philistines in the west, and down to Egypt in the south. Verse 24 also mentions from Tiphsah, which is the region around the Euphrates River, to Gaza in the southwest along the Mediterranean coast. Repeating the extent of Israel's dominion emphasizes that the covenant regarding the land made by Jehovah has been fulfilled. Genesis 15:18 states, "On that day the Lord made a covenant with Abram and said, 'To your descendants I give this land, from the Wadi of Egypt to the great river, the Euphrates'". This emphasizes the fulfillment of the covenant regarding the land, a covenant Israel had clung to for a long time. Although they had formally conquered the land of Canaan about 400 years earlier, conflicts and struggles with foreign nations never ceased. But now, an era of peace has been ushered in.

(22-23) Solomon’s daily provisions

"Solomon's daily provisions" indicate the scale and economic power of Solomon's royal household. Thirty cors of fine flour, sixty cors of meal, ten fattened cattle, twenty pasture-fed cattle, and a hundred sheep and goats, in addition to deer, gazelles, roebucks, and fattened fowl, were used. This is estimated to be able to feed between 14,000 and 36,000 people.




(25) 각기 포도나무 아래와 무화과나무 아래에서 평안히 살았더라

 

25절은 솔로몬 왕의 통치 기간 동안의 번영을 비유적으로 묘사합니다. 단에서부터 브엘세바에 이르기까지는 남에서 북까지 이스라엘 전체를 의미합니다. 포도나무와 무화과나무는 이스라엘의 대표적인 작물로, '그 아래 안전하게 살았다'는 것은 최고 수준의 생활을 나타냅니다.

 

(26-28) 솔로몬의 군사력

 

이 부분은 솔로몬의 통치 기간 동안의 군사력에 대한 기록입니다. 군사력도 부족함이 없었음을 나타냅니다. 당시에는 번영한 생활을 위해서 군사력이 필수적이었고, 이 맥락에서 긍정적인 요소로 기록되었습니다. 나중에는 군사력뿐만 아니라 물질적 부, 영토, 외교력이 모두 부패의 요인이 되었습니다.

 

(29-34) 솔로몬의 지혜와 이해력

 

마지막으로, 오늘 말씀은 솔로몬의 지혜와 이해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솔로몬은 다른 왕들에게는 없었던 특별한 지혜를 가졌습니다. 이 지혜는 추상적이지 않고 구체적이며 실질적이어서 행정, 군사 전략, 외교, 경제, 자연 과학, 법률, 인문학 등을 포괄합니다.

 

(25) under their own vine and fig tree.

Verse 25 metaphorically describes the prosperity during King Solomon's reign. From Dan to Beersheba represents the entirety of Israel, from the south to the north. The vine and fig tree are representative crops of Israel, and 'living safely under them' depicts the highest standard of life.

(26-28) Solomon’s military strength

This section records the military strength during King Solomon's reign. It indicates that there was no lack in military strength as well. Military strength was essential for a prosperous life at that time, and in this context, it is recorded as a positive element. Later, military strength, along with material wealth, territory, and diplomatic power, would all become factors in corruption.

(29-34) Solomon’s wisdom and understanding

Lastly, the scripture provides a detailed description of Solomon's wisdom and understanding. Solomon possessed a unique wisdom not seen in other kings. This wisdom was not abstract but concrete and practical, covering administration, military strategy, diplomacy, economics, natural science, law, and humanities.



여호와께서는 기적적인 방법이 아니라 솔로몬에게 주신 지혜를 통해 이스라엘과의 언약을 이루셨습니다. 이 지혜는 솔로몬에게 하신 약속에서 분명하게 나타났습니다. "내가 네게 지혜롭고 총명한 마음을 주어 네 앞에도 너와 같은 자가 없었으며 네 뒤에도 너와 같은 자가 일어나지 않게 하리라" (열왕기상 3:12-13).

 

오늘의 본문은 솔로몬의 지혜를 계속 강조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솔로몬에게 지혜를 주셨고, 이 지혜는 하나님의 언약을 이루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우리도 솔로몬처럼 지혜를 가져야 한다고 쉽게 말 할 수 있을 겉 갔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솔로몬과 같은 자는 이전에도 이후에도 없을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이것은 과장된 듯 보일 수도 있지만, 솔로몬 왕이 인간 지혜의 정점을 대표하며, 솔로몬보다 지혜로운 자는 없을 것임을 나타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솔로몬처럼 지혜를 얻지 못한다고 성경은 나와있는데 무슨 소망과 희망으로 우리는 이 세상에서 살아야하나요?

 

Jehovah fulfilled His covenant with Israel, not through miraculous means, but through the wisdom given to Solomon, enabling him to govern the nation. This wisdom was evident in the promise made to Solomon: "I will give you a wise and discerning heart, so that there will never have been anyone like you, nor will there ever be" (1 Kings 3:12-13).

Today's scripture continues to emphasize Solomon's wisdom. God gave wisdom to Solomon, and this wisdom served as a tool for fulfilling God's covenant. It's easy to apply this by saying that we should have wisdom like Solomon's, but that's not the case. God stated that there had never been anyone like Solomon before, nor would there ever be after him.

This might seem like an exaggeration, but it also implies that King Solomon represented the pinnacle of human wisdom, suggesting that nobody would be more wise than Solomon. If no further achievements are to be expected, what should we hope for?



예레미야 23:5에 이렇게 기록 되어 있습니다.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내가 다윗을 위해 의로운 가지를 일으킬 날이 오리니, 그 왕은 지혜롭게 다스리며 땅에서 정의와 공정을 행할 것이다'" 이사야 11장은 왕이 오면 주님을 아는 지식으로 땅이 가득 차고 이상적인 나라가 세워질 것이라고 예언합니다. 이 예언은 지혜의 왕 솔로몬조차 이루지 못한 것을 다른 왕을 통해 이룰 것임을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 우리의 왕의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을 의미합니다.

 

솔로몬의 시대로부터 천년 후, 우리의 왕 예수님이이 땅에 오셔서 우리의 구원자가 되셨습니다. 솔로몬 시대의 백성이 누린 축복 과 번영은 맛보기에 불과했습니다.

 

솔로몬의 지혜와 이해력은 여호와의 언약이 일시적으로 성취되는 통로로 작용했으며, 나중에 이루어질 완전한 언약을 미리 보여준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아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우리를 영원한 나라로 인도하는 지혜를 제공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이 지혜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에게 주셨습니다. 그러니 오늘 우리는 예수님의 지혜에 집중합시다.

 

기독교인으로서 우리는 좋은 시기와 어려운 시기를 겪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어떤 시기에 있더라도 하나님의 지혜에 전적으로 의지하길 기도합니다.

 

Jeremiah 23:5 testifies, "The days are coming," declares the LORD, "when I will raise up for David a righteous Branch, a King who will reign wisely and do what is just and right in the land." Isaiah 11 prophesies that when a king comes, the knowledge of the LORD will fill the earth, and an ideal nation will be established. This prophecy suggests that what even the wisest king, Solomon, could not achieve would be accomplished through another king. In other words, the coming of our King of Kings, Jesus Christ.

A thousand years after the era of Solomon, our King, Jesus, finally came to this earth and to be our savior. The blessings enjoyed by the people in Solomon's era, was just a taste what us as Christians would be able to taste with Jesus.

Solomon's wisdom and understanding served as a conduit for the temporary fulfillment of Jehovah's covenant, previewing the complete covenant to be fulfilled later. However, the gospel of Jesus Christ we know provides the original wisdom that leads us into the eternal kingdom. God has given us this wisdom through Jesus Christ. So let us focus on Jesus’ wisdom today.

As Christians, we are going to have our seasons of ups and seasons of downs. But whatever season we are in, I pray that we will fully rely on the wisdom of God.



솔로몬은 전도서 3:1-9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함께 읽읍시다.

 

범사가 기한이 있고 천하 만사가 다 때가 있나니 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으며 심을 때가 있고 심은 것을 뽑을 때가 있으며 죽일 때가 있고 치료할 때가 있으며 헐 때가 있고 세울 때가 있으며 울 때가 있고 웃을 때가 있으며 슬퍼할 때가 있고 춤출 때가 있으며 돌을 던져 버릴 때가 있고 돌을 거둘 때가 있으며 안을 때가 있고 안는 일을 멀리 할 때가 있으며 찾을 때가 있고 잃을 때가 있으며 지킬 때가 있고 버릴 때가 있으며 찢을 때가 있고 꿰맬 때가 있으며 잠잠할 때가 있고 말할 때가 있으며 사랑할 때가 있고 미워할 때가 있으며 전쟁할 때가 있고 평화할 때가 있느니라 일하는 자가 그의 수고로 말미암아 무슨 이익이 있으랴

 

이 구절에서 발견되는 희망은 고통, 증오, 죽음의 계절이 끝나고,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위로, 사랑, 새 생명이 특징인 더 나은 날로 이끌어 주실 것입니다. 때로는 미래가 컴컴해 보일 수도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번영과 평화를 가져다 주실 것입니다. 그러니 우리는 예수님이 주신 평화 속에 쉴 수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하나님은 우리를 통제하시며 우리의 신실하신 구원자 인줄 믿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창조주이심을 함께 기억 합시다. 우리가 있는 계절에 관계없이, 하나님은 영원히 선하시고 신실하시며, 항상 우리를 바른 길로 인도하실 것임을 기억하기를 기도합니다.

 

Solomon said this in Ecclesiastes 3:1-9. Let’s read it all together.

 

There is a time for everything, and a season for every activity under the heavens: 2 a time to be born and a time to die, a time to plant and a time to uproot, 3 a time to kill and a time to heal, a time to tear down and a time to build, 4 a time to weep and a time to laugh, a time to mourn and a time to dance, 5 a time to scatter stones and a time to gather them, a time to embrace and a time to refrain from embracing, 6 a time to search and a time to give up, a time to keep and a time to throw away, 7 a time to tear and a time to mend, a time to be silent and a time to speak, 8 a time to love and a time to hate, a time for war and a time for peace.

 

The hope found in this passage is that these seasons of suffering, hate, and death will end. God will bring us through to better days marked by comfort, love, and new life. Although sometimes the future may seem bleak, God will bring us prosperity and peace. So through it all, we can rest in the peace Jesus has given us. Regardless of what we face, God remains in control and is the author of our days.

 

I pray that today we will be able to remember that God is our creator. I pray that through whatever season we are in, we will understand that God will forever be good and faithful and that He will always lead us down the correct path.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