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솔로몬이 애굽의 왕 바로와 더불어 혼인 관계를 맺어 그의 딸을 맞이하고 다윗 성에 데 려다가 두고 자기의 왕궁과 여호와의 성전과 예루살렘 주위의 성의 공사가 끝나기를 기다리니라
3:2 그 때까지 여호와의 이름을 위하여 성전을 아직 건축하지 아니하였으므로 백성들이 산당에서 제사하며
3:3 솔로몬이 여호와를 사랑하고 그의 아버지 다윗의 법도를 행하였으나 산당에서 제사하며 분향하더라
1 Solomon made an alliance with Pharaoh king of Egypt and married his daughter. He brought her to the City of David until he finished building his palace and the temple of the Lord, and the wall around Jerusalem. 2 The people, however, were still sacrificing at the high places, because a temple had not yet been built for the Name of the Lord. 3 Solomon showed his love for the Lord by walking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given him by his father David, except that he offered sacrifices and burned incense on the high places.
3:4 이에 왕이 제사하러 기브온으로 가니 거기는 산당이 큼이라 솔로몬이 그 제단에 일천 번제를 드렸더니
3:5 기브온에서 밤에 여호와께서 솔로몬의 꿈에 나타나시니라 하나님이 이르시되 내가 네게 무엇을 줄꼬 너는 구하라
4 The king went to Gibeon to offer sacrifices, for that was the most important high place, and Solomon offered a thousand burnt offerings on that altar. 5 At Gibeon the Lord appeared to Solomon during the night in a dream, and God said, “Ask for whatever you want me to give you.”
3:6 솔로몬이 이르되 주의 종 내 아버지 다윗이 성실과 공의와 정직한 마음으로 주와 함께 주 앞에서 행하므로 주께서 그에게 큰 은혜를 베푸셨고 주께서 또 그를 위하여 이 큰 은혜를 항상 주사 오늘과 같이 그의 자리에 앉을 아들을 그에게 주셨나이다
6 Solomon answered, “You have shown great kindness to your servant, my father David, because he was faithful to you and righteous and upright in heart. You have continued this great kindness to him and have given him a son to sit on his throne this very day.
3:7 나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께서 종으로 종의 아버지 다윗을 대신하여 왕이 되게 하셨사오나 종은 작은 아이라 출입할 줄을 알지 못하고
3:8 왕께서 택하신 백성 가운데 있나이다 그들은 큰 백성이라 수효가 많아서 셀 수도 없고 기록할 수도 없사오니
3:9 누가 주의 이 많은 백성을 재판할 수 있사오리이까 듣는 마음을 종에게 주사 주의 백성을 재판하여 선악을 분별하게 하옵소서
7 “Now, Lord my God, you have made your servant king in place of my father David. But I am only a little child and do not know how to carry out my duties. 8 Your servant is here among the people you have chosen, a great people, too numerous to count or number. 9 So give your servant a discerning heart to govern your people and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For who is able to govern this great people of yours?”
3:10 솔로몬이 이것을 구하매 그 말씀이 주의 마음에 든지라
3:11 이에 하나님이 그에게 이르시되 네가 이것을 구하도다 자기를 위하여 장수하기를 구하지 아니하며 부도 구하지 아니하며 자기 원수의 생명을 멸하기도 구하지 아니하고 오직 송사를 듣고 분별하는 지혜를 구하였으니
3:12 내가 네 말대로 하여 네게 지혜롭고 총명한 마음을 주노니 네 앞에도 너와 같은 자가 없었거니와 네 뒤에도 너와 같은 자가 일어남이 없으리라
3:13 내가 또 네가 구하지 아니한 부귀와 영광도 네게 주노니 네 평생에 왕들 중에 너와 같은 자가 없을 것이라
3:14 네가 만일 네 아버지 다윗이 행함 같이 내 길로 행하며 내 법도와 명령을 지키면 내가 또 네 날을 길게 하리라
3:15 솔로몬이 깨어 보니 꿈이더라 이에 예루살렘에 이르러 여호와의 언약궤 앞에 서서 번제와 감사의 제물을 드리고 모든 신하들을 위하여 잔치하였더라
10 The Lord was pleased that Solomon had asked for this. 11 So God said to him, “Since you have asked for this and not for long life or wealth for yourself, nor have asked for the death of your enemies but for discernment in administering justice, 12 I will do what you have asked. I will give you a wise and discerning heart, so that there will never have been anyone like you, nor will there ever be. 13 Moreover, I will give you what you have not asked for—both wealth and honor—so that in your lifetime you will have no equal among kings. 14 And if you walk in obedience to me and keep my decrees and commands as David your father did, I will give you a long life.” 15 Then Solomon awoke—and he realized it had been a dream.
He returned to Jerusalem, stood before the ark of the Lord’s covenant and sacrificed burnt offerings and fellowship offerings. Then he gave a feast for all his court.
우리의 삶은 사건의 연속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인생은 크고 작은 여러 사건들로 꾸며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그 과정 속에서 때로는 기쁘고 즐겁고 행복한 일들도 있지만, 반면에 지치고 쓰러지며 좌절과 고통을 맛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우리의 생활에서 중요한 것은 현재 내가 겪고 있는 그 사건이 어떻게 마무리될지 알지 못하고, 또 이 사건 이후에 또 다른 어떠한 일들이 일어날지 알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미래에 대한 무지 때문에 오는 불안감 공포 등이 우리를 엄습하며 함께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 불안감 때문에 우리들은 항상 두려워하고 또 흔들리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간의 깊은 내면의 본질적 구조를 폴 틸리히라는 신학자는 ‘흔들리는 터전’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리고 그는 계속해서 불안한 상태를 극복하고 삶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우리 삶의 모든 것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것뿐이라고 그 해결책까지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삶을 보더라도 저희들이 걸어온 삶 가운데 일어나는 수많은 상황들을 돌이켜보면, 정말 불안과 근심 가운데 보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걱정할 것이 조금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에게는 우리 삶의 구원자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가 저희와 항상 함께하시기 때문입니다. 오늘 본문에 기록된 솔로몬의 일천 번제 사건을 통해, 알 수 없는 미래의 인생을 살아가는 저와 여러분이 어떠한 신앙의 모습을 가지고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Our lives can be seen as a series of events. This is because our existence is composed of various significant and trivial occurrences. In this process, we sometimes experience joy, happiness, and delight, while at other times, we face exhaustion, despair, and pain. However, the important thing in our lives is that we do not know how the current event we are experiencing will conclude, and we do not know what other events will occur after this one.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we are ignorant about the future causes anxiety, fear, and other emotions to assail us. Because of this anxiety, we are always fearful and wavering. The theologian Paul Tillich describes this deep inner structure of humanity as a "shaky foundation."
He continues to assert that the only way to overcome this state of anxiety and to have confidence in life is to believe in Jesus Christ, who is the one who becomes everything in our lives. Looking back on our lives so far, it seems that we have spent much of it in anxiety and worry.
But now there is nothing to worry about. This is because Jesus Christ, our Savior, is always with us. Through the story of Solomon's sacrifice of a thousand burnt offerings recorded in today's passage, it talks about what kind of faith we should have as we live our lives facing the unknown future.
1.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정립해야 합니다.
알 수 없는 미래를 바라보며 수많은 사건들과 여러 일들을 헤쳐나가는 저와 여러분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위해 온 마음과 정성을 쏟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우리의 존재를 더욱 탄탄히 하고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본문을 보면 솔로몬은 이제 일국의 왕이 되었습니다. 이제는 솔로몬의 말이 곧 법이고, 그는 왕의 자리에 앉아있었지만 솔로몬에게 늘 찾아오는 것은 두려움과 불안감뿐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불안감과 두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또한 알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만물의 주관자이시며 국가의 흥망성쇠와 인간 삶의 근원이신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맺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솔로몬은 나라를 다스려야 하는 일을 실행하기에 앞서 먼저 일천 번제라는 정성을 하나님께 겸손히 바쳤던 것입니다.
이와 같은 솔로몬의 행동은 오늘날 저와 여러분의 생활 속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야 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는 미래의 주인 되실 뿐 아니라 우리 인생의 구원자이시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여러 일들과 사건 너머에 계신 하나님을 의식하고 바라보기보다는 그 사건 자체에 얽매여 눈앞의 상황에 불안해하고 있는 저희들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에도 많은 삶 가운데 선택하며 걸어왔지만, 남은 인생 가운데서도 선택하며 준비하며 걸어가야 하는 순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제는 어떠한 일을 시작하기 전에, 또 결정하기 전에, 내가 계획한 일을 하기 전에 먼저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맺어가시기를 소망합니다.
1. We must establish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As we look toward an uncertain future and navigate through countless events and situations, the first thing you and I must do is pour out our hearts and souls to establish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Because that is what makes our existence stronger and unshakeable.
In the passage, Solomon has become king of a nation. Now Solomon's word is law, and he sits on the throne, but all that comes to Solomon is fear and anxiety. However, he also knew how to resolve these anxieties and fears.
The solution was to establish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the ruler of all things and the source of the rise and fall of nations and human life. Therefore, Solomon humbly offered a thousand burnt offerings to God before executing the task of ruling the country.
Such behavior of Solomon should also be evident in our lives today. Because God is not only the master of the future but also the Savior of our lives. However, we can see many people being anxious about the current situation rather than being conscious of God who is beyond events.
We have made many choices and walked through life before, but there are many moments in our remaining lives where we have to make choices and prepare. Now, before starting anything, before making decisions, I hope you first establish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2.하나님을 향해 삶의 방향을 결정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 미래를 불안한 눈빛으로 바라보는 우리가 확신 속에 거하기 위해서는 우리 삶의 방향을 주님께 고백해야 합니다. 솔로몬은 왕이라는 직무를 시작하기에 앞서 일천 번제를 드렸습니다. 이 일천 번제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솔로몬이 왜 기브온 산당으로 올라갔습니까? 그것은 그 시대에 그 산당이 가장 컷기 때문입니다. 일천 개의 번제를 수용할 수 있는 장소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천 번재는 천일 동안 매일 매일 번제를 바쳤다는 것이 아니라 솔로몬이 왕이 되고 나서 드리게 된 한 번의 번제에 일천 개의 헌물을 드렸다는 뜻입니다.
번제라는 것은 내가 어떤 것을 얻고자 드리는 희생이 아닙니다. 다시 말해 솔로몬은 지혜를 얻고자 번제를 드리지 않았습니다. "번제"라는 말 자체가 어떤한 요구나 목적이 있어서 희생을 드리는 것이 아니라 "헌신"을 의미하는 것이며 번제의 헌물을 몽땅 태워 제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솔로몬은 어떤 목적이 있어서 번제를 드린 것이 아닙니다. 다만 그 번제를 받으신 하나님께서 그에게 나타나셨던 것입니다. 그리고 3장 5절에 "내가 네게 무엇을 줄꼬 너는 구하라"라고 말씀하셨던 것입니다. 이러한 행위에는 솔로몬의 인내와 끈기 그리고 많은 제물을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솔로몬이 그 일을 행한 것은 바로 ‘헌신’이라는 하나님을 향한 삶의 방향을 고백한 것입니다. 솔로몬은 진정으로 국가 통치의 궁극적 목표를 하나님께로 향하겠다고 번제를 통해 고백했습니다. 우리 역시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미래를 바라보며 준비하는 우리들은 자기 자신에 이름을 높이는 것 부와 명예와 권력을 위해 살아가는 삶이 아닌 하나님께 우리의 삶을 헌신하겠다는 분명한 고백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어떠한 난관 가운데 부딪치든지 그 일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 돌리며 하나님의 뜻에 합당하게 살겠다는 고백이 있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그것이 바로 헌신의 다짐이며 저와 여러분의 궁극적 삶의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할 때 우리의 미래는 불안의 대상이 아니라 확실한 소망의 대상이 되는 삶이 되리라 믿습니다.
2. We must determine the direction of our lives towards God.
Secondly, in order to live with confidence amidst the anxiety about the future, we must confess the direction of our lives to the Lord. Solomon offered a thousand burnt offerings before beginning his duty as king. This thousand burnt offerings were not an easy task.
Why did Solomon go up to the high place at Gibeon? It was because it was the largest high place of that era. It was a place where a thousand offerings could be accommodated. So, offering a thousand burnt offerings does not mean offering sacrifices for something to gain. In other words, Solomon did not offer the burnt offerings to obtain wisdom. The word "burnt offering" itself does not imply offering a sacrifice for a demand or purpose, but rather it signifies "dedication," and burning all the offerings of the burnt offering means making an offering.
Solomon did not offer sacrifices for any specific purpose. Instead, it was because the Lord, who received the burnt offerings, appeared to him. In 1 Kings 3:5, the Lord said, "Ask for whatever you want me to give you." This act required Solomon's patience, perseverance, and the need for many sacrifices.
But Solomon's act was a confession of the direction of his life towards God, which is known as 'dedication'. Solomon vowed through the burnt offerings that he would truly direct the ultimate goal of ruling the nation towards God. Likewise, we should be the same. As we prepare for the future, we must have a clear confession of dedicating our lives to God rather than living for self-glorification, wealth, fame, and power.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obstacles we face, we must have a confession of glorifying God through those situations and living in a manner worthy of God's will. That is the commitment of dedication and should be the ultimate goal of our lives. I believe that when we do so, our future will not be the subject of anxiety but a life of certain hope.
3.내가 무엇이 필요한가를 알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일천 번제를 드린 솔로몬이 지혜를 구했다는 사실에서 우리는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솔로몬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지혜를 구했습니다. 9절에 “누가 주의 이 많은 백성을 재판할 수 있사오리이까 듣는 마음을 종에게 주사 주의 백성을 재판하여 선악을 분별하게 하옵소서”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그가 왕의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꼭 필요로 한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알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또 자기 자신의 연약함을 알고 있었으며, 하나님이 주신 사명을 감당하기 위한 그의 걱정과 불안한 마음을 7절에서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신의 연약함과 나약함, 불안함 등을하나님 앞에 고백할 때 그는 그 밖의 다른 축복들도 더불어 받았습니다. 자기 자신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알 수 없는 미래를 바라보는 우리들에게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자신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그것은 위로부터 내려오는 지혜의 힘인 줄 믿습니다.
야고보서1:5절 “너희 중에 누구든지 지혜가 부족하거든 모든 사람에게 후히 주시고 꾸짖지 아니하시는 하나님께 구하라 그리하면 주시리라“ 아멘
예를 들어 어떠한 사업을 시작하는 분이 필요로 하는 것은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자본이나 사람들이 아닌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지혜’를 먼저 구해야 합니다. 또는 학문을 목표로 하는 분이 필요로 하는 것은 각종 교제나 연구자료 교수님들 그리고 학구적 환경보다도 제일 먼저 구해야 하는 것은 ‘하늘로부터 오는 깨달음’입니다. 정말로 우리의 미래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현실적이고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 위로부터 임하는 하나님의 지혜임을 고백합니다.
Lastly, we can learn an important lesson from Solomon's offering of a thousand burnt offerings to seek wisdom. Solomon sought wisdom that was incomparable to anything else. In verse 9, he said, "So give your servant a discerning heart to govern your people and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This shows that he clearly knew what wa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duty of a king.
Moreover, he acknowledged his own weaknesses and in verse 7, showed his worries and anxious heart given the task assigned by God. When he confessed his weaknesses, vulnerabilities, and anxieties before God, he received blessings beyond that. Knowing what one needs is essential for us who face an uncertain future. Knowing what one needs comes from the power of wisdom descending from above.
James 1:5 says, "If any of you lacks wisdom, you should ask God, who gives generously to all without finding fault, and it will be given to you." Amen.
For example, if someone is starting a business, what they need is not capital or people, but 'wisdom from God' to start the business. Similarly, for someone aiming for academic goals, what they need is not various associations, research materials, professors, or scholarly environments, but 'enlightenment from heaven' first and foremost. I confess that what is most needed for our future is not practical or material things, but the wisdom of God descending from above.
성도 여러분
중요한 일을 눈앞에 두고 있으시거나 아니면 사업이나 학업 가운데 계획을 세워놓고 계시는데 불안과 근심 걱정이 더 많으십니까? 그렇다면 하나님과의 관계와 믿음을 점검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앞으로 일어날 나의 모든 일과 계획 가운데 모든 것들이 불안과 걱정으로 다가오시는 분이 계시다면 이 시간 주님 앞에 기도의 무릎 꿇고 여러분 자신을 깊이 돌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먼저 하나님과의 관계를 바로 정립하여 하나님을 향한 이기적인 마음이 아닌 진정한 삶의 방향을 결정하시고 지혜를 구하시기 바랍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모든 것 되시며 함께하실 줄 믿습니다.
마6:33 “그런즉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 아멘.
오늘 하루 이러한 믿음의 고백이 저와여러분의 입술의 고백이 되어지기를 기도합니다.
Brothers and sisters,
Are you facing more anxiety, worries, and concerns while having important tasks in front of you or while planning for business or studies? If so, I hope you will examine your relationship with God and your faith. If you are someone facing every event and plan for the future with anxiety and worry, then I pray that you take this time to kneel before the Lord in prayer and deeply reflect on yourself.
And first, establish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confessing a true direction of life towards God rather than a selfish heart, and seek wisdom. I believe that God will be with us in everything we do. Matthew 6:33 says, "But seek first his kingdom and his righteousness, and all these things will be given to you as well." Amen.
Today, I pray that this confession of faith becomes the confession of your lips and min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