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 제사장 사독과 선지자 나단과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와 그렛 사람과 블렛 사람이 내려가서 솔로몬을 다윗 왕의 노새에 내우고 인도하여 기혼으로 가서
1:39 제사장 사독이 성막 가운데에서 기름 담은 뿔을 가져다가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으니 이에 뿔 나팔을 불고 모든 백성이 솔로몬 왕은 만세수를 하옵소서 하니라
1:40 모든 백성이 그를 따라 올라와서 피리를 불며 크게 즐거워하므로 땅이 그들의 소리로 말미암아 갈라질 듯하니
38 So Zadok the priest, Nathan the prophet, Benaiah son of Jehoiada, the Kerethites and the Pelethites went down and had Solomon mount King David’s mule, and they escorted him to Gihon. 39 Zadok the priest took the horn of oil from the sacred tent and anointed Solomon. Then they sounded the trumpet and all the people shouted, “Long live King Solomon!” 40 And all the people went up after him, playing pipes and rejoicing greatly, so that the ground shook with the sound.
1:41 아도니야와 그와 함께 한 손님들이 먹기를 마칠 때에 다 들은지라 요압이 뿔나팔 소리를 듣고 이르되 어찌하여 성읍 중에서 소리가 요란하냐
41 Adonijah and all the guests who were with him heard it as they were finishing their feast. On hearing the sound of the trumpet, Joab asked, “What’s the meaning of all the noise in the city?”
1:42 말할 때에 제사장 아비아달의 아들 요나단이 오는지라 아도니야가 이르되 들어오라 너는 용사라 아름다운 소식을 가져오는도다
42 Even as he was speaking, Jonathan son of Abiathar the priest arrived. Adonijah said, “Come in. A worthy man like you must be bringing good news.”
1:43 요나단이 아도니야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과연 우리 주 다윗 왕이 솔로몬을 왕으로 삼으셨나이다
1:44 왕께서 제사장 사독과 선지자 나단과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와 그렛 사람과 블렛 사람을 솔로몬과 함께 보내셨는데 그들 무리가 왕의 노새에 솔로몬을 태워다가
1:45 제사장 사독과 선지자 나단이 기혼에서 기름을 부어 왕으로 삼고 무리가 그 곳에서 올라오며 즐거워하므로 성읍이 진동하였나니 당신들에게 들린 소리가 이것이라
1:46 또 솔로몬도 왕좌에 앉아 있고
1:47 왕의 신하들도 와서 우리 주 다윗 왕에게 축복하여 이르기를 왕의 하나님이 솔로몬의 이름을 왕의 이름보다 더 아름답게 하시고 그의 왕위를 왕의 위보다 크게 하시기를 원하나이다 하매 왕이 침상에서 몸을 굽히고
1:48 또한 이르시기를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리로다 여호와께서 오늘 내 왕위에 앉을 자를 주사 내 눈으로 보게 하셨도다 하셨나이다 하니
43 “Not at all!” Jonathan answered. “Our lord King David has made Solomon king. 44 The king has sent with him Zadok the priest, Nathan the prophet, Benaiah son of Jehoiada, the Kerethites and the Pelethites, and they have put him on the king’s mule, 45 and Zadok the priest and Nathan the prophet have anointed him king at Gihon. From there they have gone up cheering, and the city resounds with it. That’s the noise you hear. 46 Moreover, Solomon has taken his seat on the royal throne. 47 Also, the royal officials have come to congratulate our lord King David, saying, ‘May your God make Solomon’s name more famous than yours and his throne greater than yours!’ And the king bowed in worship on his bed 48 and said, ‘Praise be to the Lord, the God of Israel, who has allowed my eyes to see a successor on my throne today.’”
1:49 아도니야와 함께 한 손님들이 다 놀라 일어나 각기 갈 길로 간지라
1:50 아도니야도 솔로몬을 두려워하여 일어나 가서 제단 뿔을 잡으니
1:51 어떤 사람이 솔로몬에게 말하여 이르되 아도니야가 솔로몬 왕을 두려워하여 지금 제단 뿔을 잡고 말하기를 솔로몬 왕이 오늘 칼로 자기 종을 죽이지 않겠다고 내게 맹세하기를 원한다 하나이다
49 At this, all Adonijah’s guests rose in alarm and dispersed. 50 But Adonijah, in fear of Solomon, went and took hold of the horns of the altar. 51 Then Solomon was told, “Adonijah is afraid of King Solomon and is clinging to the horns of the altar. He says, ‘Let King Solomon swear to me today that he will not put his servant to death with the sword.’”
1:52 솔로몬이 이르되 그가 만일 선한 사람일진대 그의 머리털 하나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려니와 그에게 악한 것이 보이면 죽으리라 하고
1:53 사람을 보내어 그를 제단에서 이끌어 내리니 그가 와서 솔로몬 왕께 절하매 솔로몬이 이르기를 네 집으로 가라 하였더라
52 Solomon replied, “If he shows himself to be worthy, not a hair of his head will fall to the ground; but if evil is found in him, he will die.” 53 Then King Solomon sent men, and they brought him down from the altar. And Adonijah came and bowed down to King Solomon, and Solomon said, “Go to your home.”
Mount Ranier 안에서 한 가운데 서 있다면 그 지역에 숲이 얼마나 큰지 한 눈에 볼 수 있나요? 없을 것입니다. 반면에 멀리서 숲을 바라 본다면 한 눈에 숲이 들어올 것이나 그 숲 속에 어떤 나무들이 있으며 어떤 동식물들이 있는지 디테일하게 알 수 있나요? 모를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 인간의 한계입니다.
우리를 창조하신 하나님은 어떻습니까? 하나님은 멀리서도 모든 것을 보시고 알고 계시면서도 가까이서도 모든 것을 보시고 알 수 있는 능력이 있으십니다.
다윗은 시편 139편 2~4절에서 고백했습니다. "주께서 내가 앉고 일어섬을 아시고 멀리서도 나의 생각을 밝히 아시오며 나의 모든 길과 내가 눕는 것을 살펴보셨으므로 나의 모든 행위를 익히 아시오니 여호와여 내 혀의 말을 알지 못하시는 것이 하나도 없으시니이다."
If you were standing in the middle of Mount Ranier, would you be able to tell how big the park is? No. On the other hand, if you look at it from a bird’s eye view, can you see all the details of the trees and the wildlife within it? No, you can't. This is our human limitation.
What about God who created us? God not only sees and knows everything from afar but also sees and knows everything up close.
David confessed in Psalm 139:2-4, "You know when I sit and when I rise; you perceive my thoughts from afar. You discern my going out and my lying down; you are familiar with all my ways. Before a word is on my tongue you, Lord, know it completely."
하나님은 우리에 대해 모든 것을 아십니다. 주님은 우리에 대한 모든 세부 사항을 알고 계십니다. 우리가 말하기도 전에 하나님은 이미 우리에 대해 모든 것을 알고 계십니다. 우리는 이러한 능력자 이신 하나님을 예배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우리는 하나님에 대해 너무나 많은 정보를 들었다는 점입니다. 하나님이 얼마나 위대하고 강하신지, 또 어릴 적부터 주일학교에서 세상이 하나님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것을 듣고 배웠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사실을 너무 많이 들었기 때문에 하나님의 능력에 대해서 무감각 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설교를 통해 몇 번이나 예수님이 여러분들을 위해 죽으시고 셋째 날에 부활하셨다는 말을 들었습니까? 매년 부활절과 반복적으로 여러 주일날에 들었을 것입니다. 일년에 그것을 15번 들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렇다면 저는 십자가와 부활에 대해 570번 들었습니다.
처음에 십자가와 부활에 대해 들었을 때 그 사건에 충격을 받았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더 많이 들을수록 이 사건은 우리의 삶에서 덜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오늘날 사회의 모습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힘에 무감각해졌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축복과, 하나님 자체에 대해 무감각해졌습니다.
God knows everything about us. He knows every little detail about us. Before we even say a word, God already knows everything about us. We worship this kind of all-powerful God.
As Christians, we know how powerful God is. From a very early age, we learned in Sunday School that the world was created by God. We learned that we were made in the image of God.
However, since we heard this fact so much, we became numb to the fact that God is powerful.
For example, how many times have you heard in church from a sermon that Jesus died for you and resurrected after three days? Every Easter and random Sundays throughout the year. Let’s just say that I heard about this 15 times a year. That means I heard about the resurrection 570 times throughout the course of my life.
When you first heard about the resurrection, you might have been shocked about the incident. However, as you hear it more and more, it means less and less to you. This is how today’s society is. We became numb to the power of God. We became numb to God’s blessings. We became numb to God himself.
오늘의 메시지를 통해 우리가 하나님이 얼마나 강하신지를 다시 기억하고 진정한 기쁨이 어디에서 오는지를 기억하길 기도합니다.
다윗의 임종이 가까이오자 아도니야는 자신의 조건 즉, 왕자 서열 1위, 측근들의 지지, 준수한 외모, 어느정도 갖춘 병력을 의지하여 자기가 스스로 왕이 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아도니야에게 왕위를 주지 않으셨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오래 전에 다윗에게 아도니야 보다 어린 솔로몬이 왕이 되어 성전을 짓겠다고 약속하셨기 때문입니다.
역대상 22:8-10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이르시되 너는 피를 심히 많이 흘렸고 크게 전쟁하였느니라 네가 내 앞에서 땅에 피를 많이 흘렸은즉 내 이름을 위하여 성전을 건축하지 못하리라. 보라 한 아들이 네게서 나리니 그는 온순한 사람이라 내가 그로 주변 모든 대적에게서 평온을 얻게 하리라 그의 이름을 솔로몬이라 하리니 이는 내가 그의 생전에 평안과 안일함을 이스라엘에게 줄 것임이니라. 그가 내 이름을 위하여 성전을 건축할지라 그는 내 아들이 되고 나는 그의 아버지가 되어 그 나라 왕위를 이스라엘 위에 굳게 세워 영원까지 이르게 하리라 하셨나니
I pray that through today’s message, we will be able to remember just how powerful God is and where true joy comes from.
In the early parts of chapter 1 as David's death approached, Adonijah sought to become king by relying on his own conditions: being the firstborn prince, the support of his courtiers, his handsome appearance, and having a considerable army.
But unfortunately, God did not give the kingship to Adonijah. Because God had promised David long ago in 1 Chronicles 22: 8-10 that Solomon, not Adonijah, would succeed him as king and build the temple.
‘You have shed much blood and have fought many wars. You are not to build a house for my Name, because you have shed much blood on the earth in my sight. 9 But you will have a son who will be a man of peace and rest, and I will give him rest from all his enemies on every side. His name will be Solomon, and I will grant Israel peace and quiet during his reign. 10 He is the one who will build a house for my Name. He will be my son, and I will be his father. And I will establish the throne of his kingdom over Israel forever.’
다윗은 솔로몬에게 말 하기를 본인이 성전을 원래 지어야 됐지만 피를 너무 많이 봐서 하나님은 솔로몬이 성전도 짓고 왕이 된다고 약속하셨습니다. 다윗과 솔로몬은 솔로몬이 다윗 후에 왕이 될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계획이자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아도니야는 왕이 되려고 하고 왕의 권력을 잡으려 했습니다. 다윗 왕은 이 사실을 알게 되자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오늘의 성경 구절38절에서 제사장 사독과 선지자 나단과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와 그렛 사람과 블렛 사람이 내려가서 솔로몬을 다윗 왕의 노새에 태우고 인도하여 기혼으로 갔습니다.
제사장 사독은 성막에서 기름 담은 뿔을 가져와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었고, 그들은 나팔을 불다가 모든 백성이 외치기를 "솔로몬 왕 만세!"라고 외쳤습니다.
다윗 왕은 이들에게 솔로몬이 왕이 되었다고 이스라엘 모든 사람에게 선포한것입니다.
David tells Solomon that he originally intended to build the temple but shed too much blood, so God promised to make Solomon, not him, king and build the temple. So, David and Solomon both knew that Solomon would be king after David. This is what God planned and what God wanted.
However, Adonijah tried to become king himself and take hold of the king's power. King David found out about this and took action.
From today’s scriptures in verse 38, Zadok the priest, Nathan the prophet, and Benaiah the son of Jehoiada, along with the Cherethites and the Pelethites, put Solomon on King David's mule and took him to Gihon.
Zadok the priest took the horn of oil from the tabernacle and anointed Solomon with oil, and they blew the horn, and all the people said, "Long live King Solomon!"
David wanted them to proclaim to all of Israel that Solomon had become king,
아도니야와 그의 사람들이 나팔 소리와 백성들의 외침을 듣자, 그들은 크게 놀라서 급히 흩어져 도망쳤습니다.
50절에서 아도니야는 두려워서 제단의 뿔을 붙잡았습니다.
1871년에 쓰인 한 주석에 따르면 아도니야가 이러한 이상한 행동을 한 이유를 설명합니다. "제단 네 귀퉁이의 뿔은 죄인에게 은혜와 구원의 상징이었습니다... 제단은 성소로 여겨졌습니다. ... 다윗 왕의 뜻에 반하여 행동한 아도니야는 반란을 저질렀으며, 자신을 자책하는 자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아도니야는 실수를 인정하고 피난처를 찾기를 윈했습니다. 그는 안전과 용서를 구하길 원했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제단에서 은혜를 찾기를 원했습니다.
When Adonijah and his people heard the sound of the trumpets and the people's shouts, they were so shocked that they hurriedly dispersed and fled.
In verse 50, Adonijah got scared and took holds of the horn on the altar.
One commentary, written in 1871, explains why Adonijah would do this strange thing: “The horns or projections at the four corners of the altar… were symbols of grace and salvation to the sinner… The altar was regarded as a sanctuary. … Adonijah, having acted in opposition to the will of the reigning king, was guilty of rebellion, and stood self-condemned.”
So Adonijah, recognizing that he made a mistake, sought refuge. He sought shelter. He sought safety and forgiveness. He sought grace at the altar of God.
그리고 그는 은혜를 받았습니다. 솔로몬 왕은 아도니야를 용서하고 "집으로 돌아가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죽지 않고 산것입니다. 결국, 하나님의 약속은 성취가 되었습니다.
탐욕의 결과는 항상 파멸입니다. 자신의 욕망을 따르는 것은 궁극적으로 파괴로 이어집니다. 사실, 하나님의 뜻을 따라야만 진정한 기쁨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아도니야 처럼 자신의 욕망대로 성급하게 행동하는 것은 헛된 결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삶 가운대서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하루 빨리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하고 싶은 일들이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오늘 그런 하나님을 구합시다.
하나님이 무엇을 원하시며, 또한 하나님을 기쁘게 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구합시다. 이렇게 살면 우리가 하나님을 순종하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오늘도 하나님의 말씀에 집중하고 순종하는 삶을 사는 우리가 되길 바랍니다. 왜냐하면 오직 하나님만이 숲에서 멀리 있건 가까이 있건 모든 것을 보시고 알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And he received it. King Solomon forgave Adonijah and told him just to “go home.” His life was spared.in the end, God's promise remained fulfilled.
The result of greed is always destruction. Following one's own desires ultimately leads to ruin. In fact, only by following God's will can one experience true joy. Acting hastily according to one's own desires like Adonijah will lead to futile results. Therefore, we must quickly learn what pleases God in the midst of our lives. We must discern whether the things we want to do are pleasing to God. Let's seek God today. Let's seek what God wants. Let's seek what pleases God. If we do this, we will be able to live a life of obedience. I hope that today we become people who focus on and live a life of obedience to God's word. Because only God has the ability to see and know everything, whether from afar or nearby, us and the fores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