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44 때가 제육시쯤 되어 해가 빛을 잃고 온 땅에 어둠이 임하여 제구시까지 계속하며
23:45 성소의 휘장이 한가운데가 찢어지더라
23:46 예수께서 큰 소리로 불러 이르시되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 하고 이 말씀을 하신 후 숨지시니라
The Death of Jesus
44 It was now about noon, and darkness came over the whole land until three in the afternoon, 45 for the sun stopped shining. And the curtain of the temple was torn in two. 46 Jesus called out with a loud voice, “Father, into your hands I commit my spirit.” When he had said this, he breathed his last.
23:47 백부장이 그 된 일을 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 이르되 이 사람은 정녕 의인이었도다 하고
23:48 이를 구경하러 모인 무리도 그 된 일을 보고 다 가슴을 치며 돌아가고
23:49 예수를 아는 자들과 갈릴리로부터 따라온 여자들도 다 멀리 서서 이 일을 보니라
47 The centurion, seeing what had happened, praised God and said, “Surely this was a righteous man.” 48 When all the people who had gathered to witness this sight saw what took place, they beat their breasts and went away. 49 But all those who knew him, including the women who had followed him from Galilee, stood at a distance, watching these things.
23:50 공회 의원으로 선하고 의로운 요셉이라 하는 사람이 있으니
23:51 (그들의 결의와 행사에 찬성하지 아니한 자라) 그는 유대인의 동네 아리마대 사람이요 하나님의 나라를 기다리는 자라
23:52 그가 빌라도에게 가서 예수의 시체를 달라 하여
23:53 이를 내려 세마포로 싸고 아직 사람을 장사한 일이 없는 바위에 판 무덤에 넣어 두니
23:54 이 날은 준비일이요 안식일이 거의 되었더라
The Burial of Jesus
50 Now there was a man named Joseph, a member of the Council, a good and upright man, 51 who had not consented to their decision and action. He came from the Judean town of Arimathea, and he himself was waiting for the kingdom of God. 52 Going to Pilate, he asked for Jesus’ body. 53 Then he took it down, wrapped it in linen cloth and placed it in a tomb cut in the rock, one in which no one had yet been laid. 54 It was Preparation Day, and the Sabbath was about to begin.
23:55 갈릴리에서 예수와 함께 온 여자들이 뒤를 따라 그 무덤과 그의 시체를 어떻게 두었는지를 보고
23:56 돌아가 향품과 향유를 준비하더라 계명을 따라 안식일에 쉬더라
55 The women who had come with Jesus from Galilee followed Joseph and saw the tomb and how his body was laid in it. 56 Then they went home and prepared spices and perfumes. But they rested on the Sabbath in obedience to the commandment.
두 가지 영적 현상
아침 9시에 예수님은 십자가에 못 박혀 오후 3시쯤인 약 6시간 동안 매달려 있었습니다. 44절은 여섯 번째 시간을 언급하며, 이는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힌 후 약 세 시간 후, 12시쯤입니다. 이때는 하루 중 해가 가장 밝게 비추는 시간입니다. 그러나 이 날은 달랐습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혔을 때 전국에 어둠이 내렸습니다. 이것이 첫 번째 현상입니다. 이 어둠은 예수님이 마지막 숨을 거둘 때인 오후 3시쯤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세계가 어둠에 가려져 어둠 속으로 감싸이는 모습을 상상해 보십시오. 그것이 얼마나 무서웠을까요!
과학자들은 세계가 세 시간 동안 어두워진 원인에 대해 논의해 왔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것이 일식이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예수님은 유월절에 십자가에 못 박혔고 봄에 보름달이 뜨는 때에 유월절을 지냅니다. 그러나 일식은 새로운 달이 뜰 때 발생합니다. 새로운 달이란 달이 하늘에 거의 보이지 않는 때를 말합니다. 게다가 일식은 몇 분 동안만 지속됩니다. 그러므로 이 일식 설명은 이치에 맞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것이 초자연적인 사건이었다고 여기며, 이것은 예수님이 죽음의 길을 가실 때 마주한 어둠을 상징하고 동시에 예수님이 담당하신 죄로 인한 하나님의 진노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Two Spiritual Phenomenon
At 9 o'clock in the morning, Jesus was crucified and remained hanging until around 3 o'clock in the afternoon, about 6 hours. Verse 44 refers to the sixth hour, which indicates approximately three hours after Jesus was crucified, around noon. Noon is the time when the sun shines brightest during the day. However, this day was different. When Jesus was crucified, darkness fell over the whole land. This was the first phenomenon. The darkness persisted until around 3 o'clock in the afternoon when Jesus took his last breath. Imagine the world losing its light as the darkness covers the world in pitch-black. How terrifying it must have been!
Scientists have been debating on this issue of how the world became so dark for three hours. Some say that it must have been a solar eclipse. However, this explanation is not correct. Jesus was crucified during the Passover and the Passover is celebrated during a full moon in the spring. However, the solar eclipse happens when there is a new moon. A new moon is when the moon is almost invisible in the sky. Also, solar eclipses only last a couple of minutes. So, this explanation of a solar eclipse does not make sense.
Most scholars consider this is a supernatural event, symbolizing the darkness Jesus faced as he walked towards the tunnel of death. Simultaneously, it also symbolized God's wrath towards the sins that Jesus was carrying.
두 번째 현상은 성전의 장막이 가운데서 찢어졌을 때입니다. 장막은 하나님이 계시는 거룩한 곳과 성전의 나머지 부분을 구분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장막은 약 15-20미터 길이, 10미터 폭, 10센티미터 두께였으며, 이는 인간이나 자연의 힘으로 찢을 수 없는 정도였습니다. 히브리서 10:19-20은 이 사건을 설명합니다. 함께 읽겠습니다.
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예수의 피를 힘입어 성소에 들어갈 담력을 얻었나니 그 길은 우리를 위하여 휘장 가운데로 열어 놓으신 새로운 살 길이요 휘장은 곧 그의 육체니라
하나님이 휘장을 찢은 이유는 더 이상 휘장이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옛 휘장은 죄인들이 거룩한 하나님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막고 거룩한 장소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새 휘장은 사람들을 거룩하게 만들어 하나님께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만든 기적적인 것이었습니다. 이 새 휘장은 다름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찢어진 몸이었습니다. 성전의 휘장이 찢어지고 동시에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신것입니다. 한 휘장은 그 역할이 완료되어 찢어지고, 다른 휘장은 하나님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모든 이들을 거룩하게 만들기 위해 찢어졌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하나님 아버지께 담대하게 나아갈 수 있는 이유는 이 찢어진 휘장, 예수 그리스도 때문입니다. 그분이 우리를 거룩하게 하셨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마지막 순간에 큰 소리로 하나님께 기도하셨습니다. 함께 46절을 읽겠습니다. "(누가복음 23:46) 예수님이 큰 소리로 부르시며 이르시되 '아버지여, 내 영을 주의 손에 부탁합니다.' 이 말씀하신 후에 예수님이 영을 내셨습니다." 이 예수님이 하신 기도 내용이 우리에게는 익숙하지 않을 수 있지만, 유대인들에게는 매우 익숙한 것이었습니다. 이 기도는 시편 31편 5절에서 가져온 것으로, 신실한 유대인들은 매일 밤 잠들기 전에 읽었습니다. "나의 영을 주의 손에 부탁합니다. 주여, 나의 충성스러운 하나님아, 나를 구원하여 주소서." 예수님은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의 영을 하나님에게 맡기고 기도하셨습니다.
The second phenomenon was when the veil of the temple was torn in the middle. The veil separated the Holy of Holies, where God dwelled, from the rest of the temple. The veil was about 15-20 meters long, 10 meters wide, and 10 centimeters thick, making it impossible to tear by human or natural means. Hebrews 10:19-20 explains this event. Let’s read it all together:
19 Therefore, brothers and sisters, since we have confidence to enter the Most Holy Place by the blood of Jesus, 20 by a new and living way opened for us through the curtain, that is, his body,
The reason God tore the veil was that it was no longer needed. The old veil merely served to protect sinners from approaching the holy God and to distinguish the holy place. However, the new veil was a miraculous one that made it possible for anyone to approach God by making them holy. This new veil was none other than the torn body of Jesus Christ. The tearing of the temple veil and Jesus Christ happened simultaneously. One curtain was torn because its role was fulfilled, while the other was torn to make all who approach God through his blood holy. Today, the reason we can boldly approach God the Father in worship is because of this torn curtain, Jesus Christ, who made us holy.
Jesus cried out with a loud voice to God at His last moment. Let's read verse 46 together: "(Luke 23:46) Jesus called out with a loud voice, 'Father, into your hands I commit my spirit.' When he had said this, he breathed his last." Though the content of this prayer Jesus made might not be familiar to us, it was very familiar to devout Jews. This prayer was from Psalm 31:5 and was recited by devout Jews every night before going to bed. "Into your hands I commit my spirit; deliver me, Lord, my faithful God." Until the last moment, Jesus entrusted His soul to God and prayed.
증인들
예수님을 처음부터 십자가에 못 박힐 때까지 지켜보고 있던 로마 백부장이 있었습니다. 그는 십자가에 못 박힌 죄수들을 처형하는 로마 장교였을 것입니다. 따라서 백부장은 자주 사람들이 십자가에서 죽는 것을 보았을 것입니다. 그는 예수님처럼 죽는 죄수를 본 적이 없었습니다. 십자가에서도 자신의 원수들을 위해 기도하는 예수님을 보고, 심한 고통 속에서도 하나님을 찾아 자신의 영을 그분에게 맡기신 예수님을 보고 백부장은 경이를 느꼈습니다. 46절에서 그는 "정말로 이 사람은 의인이었도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십자가에서 예수님의 고통을 먼 곳에서 지켜보던 다른 사람들은 실망하고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바라보았고,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힌 모습을 보고 큰 슬픔을 느꼈을 것입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숨을 거두자, 사람들은 예수님이 하나님의 택한 자가 아니라는 공공의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아무도 예수님을 장사하러 나서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제자들조차도 유대인 지도자들을 두려워하여 예수님을 버리고 떠났습니다.
The Witnesses
There was a Roman centurion who had been watching Jesus from the beginning until He was crucified. He was likely a Roman officer responsible for the crucifixion of prisoners. Therefore, the centurion must have frequently seen people dying on the cross. He had never seen a prisoner dying like Jesus. Jesus, who prayed even for His enemies on the cross, and who, amid severe pain, sought God and entrusted His soul to Him until the end, left the centurion in awe. In verse 46, he said "Surely this was a righteous man."
However, the others who watched Jesus suffering endlessly on the cross watched from a distance. They went home disappointed. They hoped and expected Jesus to be the Messiah. However, seeing Jesus crucified, they must have felt great sorrow.
After Jesus died on the cross, public opinion was that He was not the chosen one of God. No one came forward to bury Jesus. Even His disciples had left Him out of fear of Jewish leaders.
예수님의 무덤에 안장되다
예수님의 십자가에서 고난을 보는 구경꾼들이 돌아서고 예수님을 따르던 이들은 그 자리를 떠나지 못하고 아픔 속에서 지켜보는 동안, 용감하게 행동한 이가 있었습니다. 그 사람은 아리마대 출신 요셉이었습니다.
그는 존경받는 사회적, 도덕적, 윤리적 위치에 있었으며 공회 의원이었지만 예수님을 처형하는 결정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의 나라를 기다리는 경건한 사람이었습니다. 52절에서는 빌라도에게 가서 예수님의 시체를 요구합니다. 마가복음 15:43에서는 그는 '용감하게' 빌라도에게 가는 것으로 묘사합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산헤드린 공회원들의 눈치를 보면서 감히 예수님의 시체를 어찌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같은 산헤드린 공회원인 요셉은 용감하게 그 시체를 빌라도에게 요청합니다. 그가 권력자였기 때문에, 큰 부자였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원래 잃을 것이 많은 사람들이 용기를 내는 게 더 어렵습니다. 요셉이 예수님의 시체를 달라고 한 사실, 장례를 치룬 사실은 예루살렘에 파다히 소문이 날게 뻔했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요셉은 산헤드린 공회원들 사이에서 공공의 적이 되어 공격을 당하고 또 억울한 누명을 쓰게 될 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예수님의 죽으심을 보며 또 그 여러 사건들을 보며 예수님이 하나님이 보내신 구원자이심을 확신하게 된 것입니다.
비슷하게, 많은 기독교인들은 처음에는 주님을 소심하게 따르지만, 그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확신을 얻게 되면, 그리스도의 영광과 그의 나라의 영원한 소망을 위해 세상적인 것을 용감히 포기할 수 있습니다.
Jesus Buried in the Tomb
When the spectators who had been watching the crucifixion of Jesus turned away, and those who had been following him couldn't bring themselves to leave, agonizingly lingering and keeping watch, there was one brave soul who took courageous action. That person was Joseph of Arimathea.
He was in a prominent social, moral, and ethical position, being a member of the Sanhedrin Council, yet he did not agree with the decision to kill Jesus. He was a devout believer awaiting the kingdom of God. In verse 52, he boldly goes to Pilate to request Jesus' body. Additionally, Mark 15:43 describes him as going 'boldly' to Pilate.
Many people at the time cautiously watched the reactions of the Sanhedrin council members and hesitated to deal with Jesus' body. However, Joseph, also a member of the Sanhedrin council, bravely approached Pilate to request Jesus' body, despite the difficult circumstances. Some might assume that his ability to do so stemmed from his status as a person of power or wealth, but it's often harder for those with much to lose to muster such courage. The fact that Joseph requested Jesus' body and arranged for His burial would undoubtedly spread throughout Jerusalem. Consequently, Joseph could have become a public enemy among the Sanhedrin council members, facing attacks and unjust accusations. However, witnessing Jesus' death and the events surrounding it solidified Joseph's conviction that Jesus was indeed the Savior sent by God. Similarly, many Christians may start by timidly following Jesus but, when they gain assurance in Christ within, they can courageously relinquish worldly attachments for the glory of Christ and the eternal hope of His kingdom.
오늘의 성경 구절을 보면, 열 둘 제자 모두 다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본문안에서 백부장, 아리마대 출신 요셉, 그리고 조용히 예수님을 따라가서 향료와 향수를 준비한 여성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하여 예수님의 십자가에서의 십자가형과 무덤 이야기는 끝이 났습니다. 사람들은 예수님의 죽음이 모든 면에서 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죽음은 새로운 시작이었습니다. 그의 부활을 통해, 예수님은 죽음의 권능을 이기시고, 세상은 완전히 변화 된것입니다.
오늘 이시간 예수님의 피를 기억합시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혀 고통 받으신 6시간을 생각해 봅시다. 이것을 당연시 여기지 맙시다. 우리가 받은 이 은혜를 당연히 여기지 말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런 은혜를 받을 자격이 없지만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우리에 죄를 위해 보내셨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말씀을 마무리하며 모두 잘 아시는 성경구절로 끝내겠습니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하나님이 그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것은 세상을 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그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 하려 하심이라 (요한복음 3:16-17)
Looking at today’s scriptures, none of the twelve disciples are mentioned. We see the Roman centurion, Joseph of Arimathea, who took Jesus' body and placed Him in the tomb, and the women who quietly followed Jesus to prepare spices and perfumes.
Thus, the story of Jesus' crucifixion and burial comes to an end. People believed that Jesus' death meant the end of all hope and expectation for the kingdom of God. However, Jesus' death was just the beginning of something new. Through His resurrection, Jesus would defeat the power of death, and the world would be completely transformed.
Let us remember the blood of Jesus today. Let us meditate on the 6 hours that Jesus was hanging, suffering on the cross. Let us not take this for granted. Let us not take this grace for granted. Because although we are so unworthy of His grace, God sent His only son to die for our sins.
I would like to end today’s message with a bible verse that we all know very well.
16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17 For God did not send his Son into the world to condemn the world, but to save the world through him. (John 3:16-1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