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2 그들이 겟세마네라 하는 곳에 이르매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내가 기도할 동안에 너희는 여기 앉아 있으라 하시고
14:33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을 데리고 가실새 심히 놀라시며 슬퍼하사
14:34 말씀하시되 내 마음이 심히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너희는 여기 머물러 깨어 있으라 하시고
Gethsemane
32 They went to a place called Gethsemane, and Jesus said to his disciples, “Sit here while I pray.” 33 He took Peter, James and John along with him, and he began to be deeply distressed and troubled. 34 “My soul is overwhelmed with sorrow to the point of death,” he said to them. “Stay here and keep watch.”
14:35 조금 나아가사 땅에 엎드리어 될 수 있는 대로 이 때가 자기에게서 지나가기를 구하여
14:36 이르시되 아빠 아버지여 아버지께는 모든 것이 가능하오니 이 잔을 내게서 옮기시옵소서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옵시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 하시고
35 Going a little farther, he fell to the ground and prayed that if possible the hour might pass from him. 36 “Abba, Father,” he said, “everything is possible for you. Take this cup from me. Yet not what I will, but what you will.”
14:37 돌아오사 제자들이 자는 것을 보시고 베드로에게 말씀하시되 시몬아 자느냐 네가 한 시간도 깨어 있을 수 없더냐
14:38 시험에 들지 않게 깨어 있어 기도하라 마음에는 원이로되 육신이 약하도다 하시고
37 Then he returned to his disciples and found them sleeping. “Simon,” he said to Peter, “are you asleep? Couldn’t you keep watch for one hour? 38 Watch and pray so that you will not fall into temptation. The spirit is willing, but the flesh is weak.”
14:39 다시 나아가 동일한 말씀으로 기도하시고
14:40 다시 오사 보신즉 그들이 자니 이는 그들의 눈이 심히 피곤함이라 그들이 예수께 무엇으로 대답할 줄을 알지 못하더라
39 Once more he went away and prayed the same thing. 40 When he came back, he again found them sleeping, because their eyes were heavy. They did not know what to say to him.
14:41 세 번째 오사 그들에게 이르시되 이제는 자고 쉬라 그만 되었다 때가 왔도다 보라 인자가 죄인의 손에 팔리느니라
14:42 일어나라 함께 가자 보라 나를 파는 자가 가까이 왔느니라
41 Returning the third time, he said to them, “Are you still sleeping and resting? Enough! The hour has come. Look, the Son of Man is delivered into the hands of sinners. 42 Rise! Let us go! Here comes my betrayer!”
어제 본것처럼 베드로와 제자들은 예수님과 이런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겟세마네에 도달하게 됩니다. 겟세마네의 히브리어 뜻은 ‘기름 짜는 틀’ 입니다. 예수님께서 피땀 흘리신 고뇌의 기도 현장에 꼭 어울리는 이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아마 예수님께서는 여기서 마지막으로 하나님과 씨름할 생각이었을 것입니다. 마치 브니엘의 야곱처럼 말입니다.
마가복음에서는 언급이 되고 있지 않지만, 누가복음의 경우 장소와 연관해서 예수님께서 기도할 때 “땀이 땅이 떨어지는 피 방울같이 되더라”라고 묘사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에게 모범이 되는 예수님의 기도에는 예수님 자신의 바램이 있었습니다. 36절에 보면 그분의 육신과 영혼은 ‘마셔야 할 마지막 잔’을 원치 않으셨습니다. 또 그가 겪어야 할 정신적, 육체적 고통에 대한 두려움은 예수님으로 하여금 34절에서와 같이 “내 마음이 심히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라는 나약한 발언을 하기까지 만들었습니다.
As Peter and the disciples engaged in conversation with Jesus, they found themselves at Gethsemane, a name that in Hebrew means 'oil press'. It is a fitting name for the site of Jesus' agony, where he sweated drops of blood in prayer. Perhaps Jesus intended this to be his final wrestle with God, much like Jacob at Peniel.
Though not mentioned in Mark's Gospel, Luke describes Jesus' prayer in connection with the place, saying, "His sweat became like great drops of blood falling down to the ground."
In Jesus' prayer, which serves as an example to us, there was his own desire. Verse 36 reveals his reluctance to partake of the "cup" of suffering. His fear of the impending mental and physical anguish led him to utter the words of weakness in verse 34, "My soul is sorrowful, even to death."
제자들에게 종종 ‘믿음이 없다’라고 꾸짖던 선생의 모습으로서는 민망하기 그지없는 연약함을 내비치고 계신 것입니다. 그리고 제자들에게 자신과 함께 기도해달라고 애걸하기까지 하시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닥처올 아픔과 고통이 얼마나 클지 가늠조차 되지않는 인간적인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부분입니다.
또 같이 동참하지 못하고 잠들어 버린 제자들의 모습을 보시며 원망하는 것 같은 비탄한 마음을 37절에 서슴치 않고 말씀하십니다. “네가 한 시간도 깨어 있을 수 없더냐” 라고 말입니다. 가장 기가막힌 것은 아버지 되시는 하나님께서 침묵으로 일관되게 예수님의 기도에 응답 하지않고 계신 것입니다.
기도에는 실패와 성공이라는 개념은 없지만 세인이라는 학자는 이 부분을 ‘예수님의 철저히 실패한 기도’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지금까지의 예수님의 모습과 사역을 보면 세례 받으실 때, 하늘을 열어 사랑하는 아들이라 선언하시던 하나님이셨습니다.
또 변화산에서 모세와 엘리야 및 모든 제자들에게 오직 예수의 말만 들으라고 선언하심으로 예수님께 모든 권위를 부여하셨던 그 하나님께서 왜 지금 예수님께서 가장 필요로 할 때 이 간절한 아들의 기도에 침묵하고 계신 것일까요?
In displaying moments of human frailty, resembling the teacher who would often rebuke his disciples for their lack of faith, Jesus doesn't shy away from revealing vulnerability. He even implores his disciples to pray with him. His candid expression of anguish at the sight of his disciples, who failed to stay awake, is evident in verse 37, "Simon, are you asleep? Could you not watch one hour?"
What is most astonishing is God the Father's consistent silence in response to Jesus' prayer. This led the theologian Sölle to describe it as "the thoroughly failed prayer of Jesus". Throughout Jesus' ministry, at his baptism, God declared him as his beloved Son, opening the heavens. On the Mount of Transfiguration, God bestowed all authority upon Jesus, instructing all to listen to him exclusively. Why then, at the moment Jesus needed it most, did God remain silent to his earnest plea?
후일에 야보고는 예수님을 “엘리야에 비할 바 아닌 강력한 카리스마가 뒤따랐었다” 라고 말했습니다. 또 “말씀으로 병자가 낫고 귀신이 쫓겨 나가고 거센 풍량 조차도 잔잔하게 하셨으며, 하나님은 예수님의 말씀 자체가 능력이 되도록 그에 요청에 즉각적인 응답들을 보여 주셨다” 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예수님은 정작 자신의 신상에 관련된 문제를 놓고 아버지께 세 번씩이나 동일한 말로 기도했으나, 마음의 소원을 이루지 못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칠흑보다 더 어두운 겟세마네에서 오직 침묵으로 일관하셨던 것입니다. 세일의 말을 빌리자면 예수님은 ‘겟세마네에서 하나님의 응답을 받지 못한 실패한 기도의 주인공’으로 낙인 찍힌 것입니다.
그의 적들이 이러한 예수님의 모습을 보고 무엇이라 비난을 하였을까 여러분은 상상이 가십니까? 아마 그들은 “남들은 다 구원하면서 자기 자신은 구원 할 수 없는 자이구나. 자기도 구원 못하는 자를 어떻게 믿으라는 것이지” 라고 말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응답을 못 받은 것 같은 기도와 하나님의 깊은 침묵이 그분의 유일한 대답이던 예수님의 이 기도는 주님을 믿는 우리 모두가 본받아야 할 모범적인 기도인 것입니다.
36절을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뜻을 이루소서. 저는 죽기 싫어요. 그러나 아버지의 뜻대로 하세요. 제가 죽어야만 한다면 저는 기꺼이 죽겠습니다. 이로인해 아버지의 뜻을 이루세요”라고 말입니다. 이것은 인류 구원을 위한 십자가 고난의 심리적인 고뇌를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James Baldwin later remarked that Jesus "was followed by a power which Martin Luther King Jr. described as ‘cosmic companionship.’" Jesus healed the sick with a word, cast out demons, and calmed raging storms, demonstrating God's immediate response to his requests.
Yet here, Jesus prayed fervently three times concerning his own fate, yet his heart's desire was not fulfilled. God's response was consistent silence amidst the darkness of Gethsemane. Jesus, marked as the protagonist of failed prayer in Gethsemane, according to Sölle's words, bore the stigma.
What might his adversaries have criticized upon witnessing this portrayal of Jesus? They might have said, "He saves others; himself he cannot save. Let the Christ, the King of Israel, come down now from the cross, that we may see and believe."
Yet, we know better. Despite the seemingly unanswered prayer and God's profound silence, Jesus' prayer is a model for all who believe in the Lord. We can summarize verse 36 as follows: "Father, if possible, let this cup pass from me; nevertheless, not what I will, but what you will." This encapsulates the psychological agony of the cross, endured for the salvation of humanity.
우리의 삶에서도 이렇게 원하지 않고 ‘왜 나에게만 이러한 일이 일어나는가’라고 하나님께 한탄하며 ‘제발 지나가게 해 달라고,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게 해 달라고’ 간절하게 기도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그렇게 기도한다고 그 상황이 달라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 일이 결국에는 닥치게 되고 맞닥드리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겟세마네에서 하나님의 침묵은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를 외치는 예수님의 절규로 이어졌고, 그것이 우리가 지금 이렇게 살아있게 된 구원의 통로로 사용된 것입니다. 이것은 겉으로 보기에는 실패했으나 내면으로 볼 때는 성공한 기도인 것입니다.
성공적인 기도는 나의 뜻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후에 히브리서 기자는 이 사건에 대해 5:7에 “그는 육체에 계실 때에 자기를 죽음에서 능히 구원하실 이에게 심한 통곡과 눈물로 간구와 소원을 올렸고 그의 경건하심으로 말미암아 들으심을 얻었느니라” 라고 해석했습니다.
마음의 원대로 이루어졌다고 그것이 성공이며 진정한 축복이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내 고집을 관철했다고 해서 성공한 것인줄 알고, ‘하나님께서 이루어 주셨어’ 라고 간증하고 다닐 일만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반복하여 인간 왕을 달라고 했을 때 하나님께서는 기뻐하지 않으셨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뜻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In our lives, when we pray desperately, pleading for a situation to change, begging for relief, often, the circumstance remains unchanged, and we are faced with it head-on.
Similarly, God's silence in Gethsemane led to Jesus' cry, "My God, my God, why have you forsaken me?" Yet, it became the pathway to our salvation, allowing us to live. Outwardly seeming like failure, inwardly it was a triumphant prayer.
Successful prayer is not about having one's own desires fulfilled, but rather about the fulfillment of God's will. Hebrews 5:7 interprets the event, stating, "In the days of his flesh, Jesus offered up prayers and supplications, with loud cries and tears, to him who was able to save him from death, and he was heard because of his reverence."
It is not always true that when our desires are fulfilled, it constitutes success or true blessing. Just because we think we've succeeded by sticking to our stubbornness and testify, "God has answered my prayer," it doesn't mean we should go on doing it. When the Israelites repeatedly demanded a human king, God was not pleased because it was not His will.
그러나 그들이 끝까지 고집하자 하나님은 결국 이를 허락하셨습니다. 어떻게 보면 원하는 바를 얻어낸 성공적인 기도라고 할지 모릅니다. 그러나 그러한 기도는 결코 성공적인 기도라 볼 수 없습니다.
기도자의 마음의 긴급함과 간절함이 겟세마네와 유사했던 브니엘 기도의 경우는 조금은 다른 모습입니다. 밤새워 씨름을 했다는 상징으로 설명되지만 이것은 분명 야곱이 하나님께 매달려 기도했던 행위를 가리키고 있는 것입니다. 그는 자기 뜻을 관철시켜 하나님을 이긴 것입니다. 창세기 32장 26절에 이렇게 말합니다. “그가 이르되 날이 새려하니 나로 가게 하라 야곱이 이르되 당신이 내게 축복하지 아니하면 가게 하지 아니하겠나이다”
오늘 본문의 마음의 소원을 말하되 하나님의 원대로 하시기를 구했던 예수님의 기도와는 대조적인 기도 입니다. 야곱은 하나님과 겨루어 이기었다는 뜻으로 이스라엘이 되었습니다. 기어이 소원 성취를 한 것입니다. 그래서 야곱을 하나님과 겨루어 이기고 환도뼈를 다친 사람이라 말합니다.
우리는 이 두 기도의 모습을 통해 이스라엘 민족의 양면성을 볼 수 있습니다. 긍정적으로는 하나님께 붙어 있어 그분께 원하는 것을 반드시 얻어낸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항상 이런 식으로 목이 곧아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만 하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위해 기도 하다가는, 결국은 매를 맞운 이스라엘의 역사를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Yet, when they persisted, God eventually allowed it. It might seem like a successful prayer in obtaining what they wanted, but such prayers cannot be considered successful.
The prayer of Jacob at Peniel, resembling the urgency and fervency of Gethsemane, presents a slightly different scenario. Though symbolized by wrestling through the night, it clearly signifies Jacob clinging to God in prayer. He prevailed over God by clinging to his own will. In Genesis 32:26, he says, "I will not let you go unless you bless me."
Today's passage contrasts with the prayer of Jesus in Gethsemane, where he prayed according to the Father's will. Jacob's prayer is a stark contrast, as he wrestled with God and prevailed, becoming Israel, meaning "one who strives with God." He forcibly achieved his desire. That's why Jacob is referred to as the one who wrestled with God and survived.
Through these two prayers, we see the duality of the Israelite nation. Positively, it signifies sticking with God to obtain what one desires. However, always pursuing one's own desires through prayer, as seen in the history of Israel, leads to consequences.
하나님과 겨루어 자기 뜻대로 이기고 마는 야곱의 기도는, 자신의 삶의 힘이기도 하지만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그르치는 심각한 문제이기도 한 것입니다.
성경에서 실패한 기도였으나 결국 성공한 기도가 있습니다. 모세는 요단을 건너갈 수 있기를 간절히 반복해서 기도를 구했습니다. 이에 대해 하나님께서는 신명기 3:26에 “내게 이르시기를 그만해도 족하니 이 일로 다시 내게 말하지 말라” 라고 냉정하게 거절하셨습니다.
바울은 몸에 고통스러운 병이 있어 세 번을 간절히 기도하게 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들어 주시지 않으셨습니다. 결국 바울의 그 애절한 요청은 들어 주시지 않으시고 고린도후서 12:9 상반절에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 는 말씀 한 마디로 일축 하셨습니다. 이렇게 해서 실패한 바울의 기도는 겟세마네 동산의 기도를 모델로 삼아 진리의 깨달음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고린도후서 13:4 “그리스도께서 약하심으로 십자가에 못 박히셨으나 하나님의 능력으로 살아 계시니 우리도 그 안에서 약하나 너희에게 대하여 하나님의 능력으로 그와 함께 살리라” 아멘.
Jacob's prayer of prevailing over God's will represents not only his personal strength but also a serious distor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ity.
While initially appearing as failed prayers in the Bible, some prayers eventually succeed. Moses fervently prayed to cross the Jordan, but God coldly refused him, as in Deuteronomy 3:26, "But the Lord was angry with me because of you and would not listen to me. 'That is enough,' the Lord said. 'Do not speak to me anymore about this matter.'"
Paul, afflicted with a painful bodily ailment, prayed three times with earnestness. Yet, God did not listen. Ultimately, God's compassionate response came in 2 Corinthians 12:9, "My grace is sufficient for you, for my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Thus, Paul's failed prayer led him to progress toward the enlightenment of truth, modeled after the prayer at Gethsemane. 2 Corinthians 13:4 says, "For he was crucified in weakness, but lives by the power of God. For we also are weak in him, but in dealing with you we will live with him by the power of God." Amen.
바울의 치유 요청에 대한 하나님의 거절은 그의 사역의 능력으로 응답이 되었습니다. 주님의 뜻은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크고 넓으십니다. 성숙한 기도,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 기도는 에베소서 5:17에 “그러므로 어리석은 자가 되지 말고 오직 주의 뜻이 무엇인지 이해하라”라고 말합니다.
즉 “주의 뜻이 이루어지이다”라는 이 말이 피땀 흘려 고백하는 기도인줄 믿습니다. 내 뜻은 이루어지지 않아도 좋으니 오직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게 하여 주시옵고, 오직 주님만 영광 받으시옵소서 라는 믿음이 담긴 기도가 되어야 합니다.
성도 여러분. 주님은 기도 하지않는 곳에서 발걸음을 돌리십니다. 기도없는 교회는 공허한 조직 이상의 어떤 것도 아닙니다. 삶 속에서 기도가 없는 사람은 무감각한 혼수 상태에서 홀로 사는 것이지, 실제로 살아 있는 상태가 아닙니다. 주님의 생명과 능력을 받기 위해서는 우리의 마음을 그분의 마음과 연결시켜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기도인 것입니다.
오늘 하루도 주님의 마음과 연결되어 그분의 뜻대로 기도하시는 모든 성도님들 되시기를 간절히 소망하며 기도합니다.
God's rejection of Paul's healing request became a response through the power of his ministry. God's will is far greater and broader than our thoughts. Mature prayer, prayer that brings about the kingdom of God, is mentioned in Ephesians 5:17, "Therefore do not be foolish, but understand what the Lord's will is."
So, this phrase, "Thy will be done," is believed to be a prayer of confession, sweating drops of blood. Even if our desires are not fulfilled, we should pray with faith, "May Your will be done, not mine, and may Your glory alone be accomplished."
Beloved saints, the Lord turns away from places where prayers are not offered. A church without prayer is nothing more than an empty organization. A person without prayer in life is not truly living but merely existing in a state of numbness. To receive the life and power of the Lord, we must connect our hearts with His. That is prayer.
As we hope fervently and pray for all saints to be connected to the heart of the Lord and pray according to His will, let us pray earnestly for another day.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