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0 그 곳을 떠나 갈릴리 가운데로 지날새 예수께서 아무에게도 알리고자 아니하시니
9:31 이는 제자들을 가르치시며 또 인자가 사람들의 손에 넘겨져 죽임을 당하고 죽은 지 삼 일만에 살아나리라는 것을 말씀하셨기 때문이더라
9:32 그러나 제자들은 이 말씀을 깨닫지 못하고 묻기도 두려워하더라
Jesus Predicts His Death a Second Time
30 They left that place and passed through Galilee. Jesus did not want anyone to know where they were, 31 because he was teaching his disciples. He said to them, “The Son of Man is going to be delivered into the hands of men. They will kill him, and after three days he will rise.” 32 But they did not understand what he meant and were afraid to ask him about it.
9:33 가버나움에 이르러 집에 계실새 제자들에게 물으시되 너희가 길에서 서로 토론한 것이 무엇이냐 하시되
9:34 그들이 잠잠하니 이는 길에서 서로 누가 크냐 하고 쟁론하였음이라
33 They came to Capernaum. When he was in the house, he asked them, “What were you arguing about on the road?” 34 But they kept quiet because on the way they had argued about who was the greatest.
9:35 예수께서 앉으사 열두 제자를 불러서 이르시되 누구든지 첫째가 되고자 하면 뭇 사람의 끝이 되며 뭇 사람을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하리라 하시고
35 Sitting down, Jesus called the Twelve and said, “Anyone who wants to be first must be the very last, and the servant of all.”
9:36 어린 아이 하나를 데려다가 그들 가운데 세우시고 안으시며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9:37 누구든지 내 이름으로 이런 어린 아이 하나를 영접하면 곧 나를 영접함이요 누구든지 나를 영접하면 나를 영접함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를 영접함이니라
36 He took a little child whom he placed among them. Taking the child in his arms, he said to them, 37 “Whoever welcomes one of these little children in my name welcomes me; and whoever welcomes me does not welcome me but the one who sent me.”
이제 예수님과 제자들은 예루살렘으로 향하며 갈릴리를 지나가고 있습니다. 이 여정은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예수님은 다른 이들이 그들의 위치를 알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31절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인자가 사람들의 손에 넘겨져 죽임을 당하고 죽은지 삼 일만에 살아나리라." 이것은 예수님이 자신의 죽음을 예언한 두 번째 였습니다. 첫 번째는 마가복음 8:31에서였습니다. 그러나 제자들은 그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지만 묻기는 두려워했습니다.
그들은 가버나움으로 갔습니다. 예수님이 집에 계실 때에 제자들에게 물으셨습니다. "길에서 무엇을 토론하고 있었나요? 무슨 일에 대해 다투고 있었나요?" 제자들은 조용했으며, 매우 부끄러웠을것입니다. 그들은 누가 가장 큰지에 대해 서로 다퉈왔던 것이었습니다.
35절에서 예수님이 그들에게 앉아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누구든지 첫째가 되고자 하면 뭇 사람의 끝이 되며 뭇 사람을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하리라." 제자들이 누가 가장 큰지에 대해 다투고 있을 때, 예수님은 "바보들아. 내가 가장 크지!"라고 말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렇게 대답하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마지막이자 모두를 섬기는 자가 가장 크다고 말했습니다. 그것은 실제로 누구를 묘사하고 있었나요? 예수님 자신입니다. 그는 첫 번째 였지만 우리를 위해 마지막이자 모두를 섬기는 자가 되었습니다.
Jesus and the disciples are now heading towards Jerusalem and passing through Galilee. This was a very important trip, so Jesus did not want others to know about their whereabouts. In verse 31 Jesus told them, “The Son of Man is going to be delivered into the hands of men. They will kill him, and after three days he will rise.” This was the second time that Jesus predicted his death. First time was in Mark 8:31. However, the disciples did not understand what he meant, but they were afraid to ask.
They went to Capernaum. When Jesus was in the house, he asked his disciples, 'What were you discussing on the way? What were you arguing about?' There was just silence. They were ashamed. They had been arguing among themselves about who was the greatest.
In Verse 35 Jesus sat down and said to them, ‘Anyone who wants to be first must be the very last, and the servant of all.' When the disciples were arguing about who the greatest was, Jesus could have said, “You dummies. I’m the greatest”. However, Jesus did not answer in that way. Jesus said whoever is last and the servant is the greatest. Who was Jesus actually describing? Himself. He should have been first but himself last and the servant for all for the sake of us.
옛날 중국에서는 부자들이 손을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손톱을 길게 기르는 것이 유행이었습니다. 그들은 자신이 어떤 일이든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왜냐하면 종들이 항상 준비되어 어떤 일이든 수행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세상은 이것이 위대함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하나님은 그렇지 않다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은 진정한 위대함은 얼마나 많은 사람이 당신을 섬기는지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사람을 당신이 섬기는지에 나타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36절에서 예수님은 어린 아이를 데려다가 그들 중앙에 세우고 아이를 안으시며 말씀하셨습니다. "누구든지 내 이름으로 이런 어린 아이 하나를 영접하면 곧 나를 영접함이요 누구든지 나를 영접하면 나를 영접함이 아니요 나를 보내신 이를 영접함이니라."
당시에는 어린 아이들은 사람으로 취급 받지않고 물건으로 취급 받았었습니다. 그들은 사회의 가장 낮은 구성원 중 하나였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이 어린 아이들을 영접 함으로써 예수님은 우리에게 겸손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In ancient China, it was fashionable for wealthy men to grow their fingernail so long that their hands were unusable for basic tasks. They demonstrated that they did not need to do anything for themselves because a servant was always there ready to do whatever task. The world may think that this is greatness but God does not. Jesus declared that true greatness is shown not by how many serve you, but by how many you serve.
In verse 36, He took a little child and set him in the midst of them, embracing the child, he said, “Whoever welcomes one of these little children in my name welcomes me; and whoever welcomes me does not welcome me but the one who sent me”
During those days, children were regarded more as property than individuals. They were among the lowest members of society. And Jesus is telling us to embrace humility by accepting and welcoming children.
지금은 예수와 제자들이 정반대의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거의 코미디 같은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이 자신의 죽음에 대해 말하고 있는 동안 제자들은 누가 가장 큰지에 대해 다투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웃지 못하는 이유는 우리도 권력을 원하는 욕망에서 자유로워지지 못한다는 사실입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권력에 대한 욕망이 있습니다. 지는 것을 어려워 합니다. 사소한 일에도 목소리를 높이고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려고 합니다. 직장에서, 교회에서, 그리고 가정에서 우리는 더 높이 올라가려고 하고 나의 권리를 주장하려고 노력합니다. 이 행동은 십자가를 향해 가는 예수님과 반대입니다.
심지어 섬기는 행위에서도 우리는 높아지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교회 안에서도 직분자라는 타이틀이 없으면 교회와 성도를 섬기기가 어려울 것처럼 느껴집니다. 정말로 섬김은 이러한 타이틀이 필요한가요?
Right now, Jesus and the disciples are going in opposite directions. It is almost like a comedy that Jesus is speaking about his death while the disciples are arguing about who the greatest is. However, what prevents us from simply laughing is that we, too, are not free from the desire for power.
We all have ambitions and a desire for control. We find it hard to accept defeat. Even in trivial matters, we raise our voices and try to assert our opinions. At work, in church, and at home, we strive to rise higher and assert our authority. This behavior is in contrast to Jesus, who is heading towards the cross.
Even in the act of 'serving,' we tend to seek elevation. In the context of church roles, titles like elder, deacon, and pastor become crucial in Korean society. It’s almost like we need these titles to serve in the church. Does serving really require such positions?
진정한 섬김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빌립보서 2:3-4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 각각 자기 일을 돌볼뿐더러 또한 각각 다른 사람들의 일을 돌보아 나의 기쁨을 충만하게 하라.
빌립보서 2:5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결국에 진정한 섬김은 겸손과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What does it mean to serve? Philippians 2:3-4 says:
Do nothing out of selfish ambition or vain conceit. Rather, in humility value others above yourselves, not looking to your own interests but each of you to the interests of the others.
Philippians 2:5 says:
have the same mindset as Christ Jesus
Serving is about humility and Jesus Christ.
섬김은 우리의 생각을 내려놓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용하는 것입니다. 교회에서 많은 봉사를 하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우리 의지와 방식대로만 이루어진다면 그것은 진정한 섬김이 아닙니다.
그래서 진정한 섬김은 매우 어렵습니다. 남들 앞에 나서서 섬기고 봉사를 하는 것은 쉽지만, 다른 이들에게 양보하고 겸손해지는 것이 어렵습니다. 내 안의 자존심이 저항하며, 나를 겸손하게 하고 머리 숙이기를 어렵게 만듭니다.
결국 섬김은 우리와의 싸움입니다. 이것은 마치 육체와 매일 싸우는 전투와도 같습니다.
Serving means letting go of our thoughts, and accepting others' opinions. Even if we think we might serve and volunteer a lot in the church, if we are serving according to our own will and methods, that is not truly serving.
This is why truly serving is very challenging. Going in front of others and volunteering itself is easy, However, yielding to others and being humble is the hard part. The pride inside me resists, making it difficult to humble myself and bow my head.
In the end, serving is a struggle against ourselves. It's a daily battle with the flesh.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이 땅에 오셨습니다. 그는 우리 진정한 왕임에도 불구하고 종을 자쳐 하셨고, 우리 죄를 위해 죽으러 오셨습니다. 예수님의 정의는 바로 겸손입니다.
세상은 겸손을 나쁜 것으로 가르칩니다. 세상은 우리에게 자만을 가르칩니다. 그러나 믿는 자로서 우리는 세상을 받아들이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를 받아드립시다. 우리가 자만이 아닌 겸손을 받아들이기를 소망합니다. 우리가 세상에 굴복하지 않고 계속해서 세상과 육체와 싸우기를 기도합니다. 그렇게 싸우며 사탄과 세상에게 “예수 그라스도의 이름으로 물러가라”라고 선포할때 사탄은 벌벌떨며 물러갈줄 믿습니다. 모든 상황가운데서, 우리 가정에서, 교회에서, 직장에서, 학교에서 남을 섬기고 높이며 섬기는 예수님의 삶을 닮아가는 우리의 삶이 되길 바랍니다.
Jesus came down for us. Although he is our true King, he lived as a servant. He came to die for our sins. He is the definition of humility.
The world teaches us that humility is bad. The world teaches us to be proud. However, I pray that as believers, we will not embrace the world but we will embrace Jesus Christ. I pray that we will not embrace pride, but that we will embrace humility. Let us not yield to the world, but let us continue to fight the world and the flesh. And when we fight Satan and the world proclaiming “In the name of Jesus, get behind me Satan!”, Satan will be trembling with feat. In all circumstances, in our families, churches, workplaces, school, let us always lift others first and let us embrace the serving life of Jesus Christ
コ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