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 지혜로운 아들은 아비의 훈계를 들으나 거만한 자는 꾸지람을 즐겨 듣지 아니하느니라
1 A wise son heeds his father’s instruction,
but a mocker does not respond to rebukes.
13:2 사람은 입의 열매로 인하여 복록을 누리거니와 마음이 궤사한 자는 강포를 당하느니라
2 From the fruit of their lips people enjoy good things,
but the unfaithful have an appetite for violence.
13:3 입을 지키는 자는 자기의 생명을 보전하나 입술을 크게 벌리는 자에게는 멸망이 오느니라
3 Those who guard their lips preserve their lives,
but those who speak rashly will come to ruin.
13:4 게으른 자는 마음으로 원하여도 얻지 못하나 부지런한 자의 마음은 풍족함을 얻느니라
4 A sluggard’s appetite is never filled,
but the desires of the diligent are fully satisfied.
13:5 의인은 거짓말을 미워하나 악인은 행위가 흉악하여 부끄러운 데에 이르느니라
5 The righteous hate what is false,
but the wicked make themselves a stench
and bring shame on themselves.
13:6 공의는 행실이 정직한 자를 보호하고 악은 죄인을 패망하게 하느니라
6 Righteousness guards the person of integrity,
but wickedness overthrows the sinner.
13:7 스스로 부한 체하여도 아무 것도 없는 자가 있고 스스로 가난한 체하여도 재물이 많은 자가 있느니라
7 One person pretends to be rich, yet has nothing;
another pretends to be poor, yet has great wealth.
13:8 사람의 재물이 자기 생명의 속전일 수 있으나 가난한 자는 협박을 받을 일이 없느니라
8 A person’s riches may ransom their life,
but the poor cannot respond to threatening rebukes.
13:9 의인의 빛은 환하게 빛나고 악인의 등불은 꺼지느니라
9 The light of the righteous shines brightly,
but the lamp of the wicked is snuffed out.
13:10 교만에서는 다툼만 일어날 뿐이라 권면을 듣는 자는 지혜가 있느니라
10 Where there is strife, there is pride,
but wisdom is found in those who take advice.
13:11 망령되이 얻은 재물은 줄어가고 손으로 모은 것은 늘어가느니라
11 Dishonest money dwindles away,
but whoever gathers money little by little makes it grow.
13:12 소망이 더디 이루어지면 그것이 마음을 상하게 하거니와 소원이 이루어지는 것은 곧 생명 나무니라
12 Hope deferred makes the heart sick,
but a longing fulfilled is a tree of life.
우리가 듣는 것, 말하는 것 그리고 마음의 소원을 갖는 것과 무엇인가를 취득하는 것. 이것들이 우리 삶의 전부라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모든 것의 원리를 잘 안다면 우리는 이 땅에서 지혜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오늘 말씀은 내용상 두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첫번째 1~6절 의인과 악인의 특징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이 단락은 언어 생활을 중심으로 의인과 악인을 비교합니다. 먼저 1절은 들음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1절을 함께 읽어 보겠습니다. “지혜로운 아들은 아비의 훈계를 들으나 거만한 자는 꾸지람을 즐겨 듣지 아니하느니라” 아멘.
What we hear, what we say, and having desires in our hearts, and acquiring something.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se are everything in our life. If we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all these things, we can live a wise life on this earth.
Today's scriptures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in content.
First, verses 1-6 talk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ghteous and the wicked. This paragraph compares the righteous and the wicked, focusing on language life. First, verse 1 speaks about hearing. Let us read verse 1 together. “A wise son heeds his father’s instruction, but a mocker does not respond to rebukes.” Amen.
여기서 ‘듣다’라는 것은 단순히 귀로만 듣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들은 바를 완전히 이해하고 감정적으로 받아들이며 행동으로 옮기는 것’까지 포함된 단어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의인, 지혜로운 자는 그 아비의 훈계를 듣고 순종하는 자를 나타냅니다. 반면에 악인, 거만한 자는 꾸지람을 듣기는 커녕 결코 행하지 않는 자라는것을 보여줍니다.
이렇듯 듣는 것은 반드시 우리의 행함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우리가 생명의 말씀을 들었다면 이 말씀을 듣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자리로 가서 들은 말씀대로 살아내려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각자의 삶의 자리에서 몸부림치며 말씀대로 살아내는 우리 모두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절은 우리가 내 뱉은 말의 열매가 우리에게 되돌아옴을 이야기 합니다. 잠언 18:20절 “사람은 입에서 나오는 열매로 말미암아 배부르게 되나니 곧 그의 입술에서 나는 것으로 말미암아 만족하게 되느니라”
히브리서 13:15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로 말미암아 항상 찬송의 제사를 하나님께 드리자 이는 그 이름을 증언하는 입술의 열매니라” 아멘
우리의 입술의 열매가 하나님을 찬양하며,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열매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의 입에서 나오는 말이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 하나님의 말씀에 대해서 선포하며, 다른 사람을 세우고 높이는 말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Here, 'to hear' does not simply mean to hear with one's ears, but includes the word that encompasses 'fully understanding what is heard, emotionally accepting, and acting on it.' Therefore, the righteous, the wise, represent those who hear and obey the instruction of the father. On the other hand, the wicked, the arrogant, show those who do not listen to reprimands, much less act on them.
Thus, hearing must certainly lead to our actions. If we have heard the word of life, it is not enough to just hear this word; we must go to the place where we live our lives and try to live according to the word we heard. I hope that we will all become those who struggle in our own places of life and live according to the word.
Verse 2 talks about the fruits of our words returning to us. Proverbs 18:20 says, “From the fruit of their mouth a person’s stomach is filled; with the harvest of their lips they are satisfied.”
Hebrews 13:15 says this. “Through Jesus, therefore, let us continually offer to God a sacrifice of praise—the fruit of lips that openly profess his name.” Amen
I hope that the fruit of our lips will praise God and bring glory to God. I hope that the words that come out of our mouth will praise God, proclaim the word of God, and be words that build up and elevate others.
3절은 입술의 절제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이 절제는 우리의 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절제는 성령의 열매입니다. 갈라디아서 5:22~23 “오직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성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니 이같은 것을 금지할 법이 없느니라” 아멘
개가 열심히 짓는다고해서 똑똑한 개가 아닙니다. 사람이 많이 안다며 떠들어 된다고해서 지혜가 있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지혜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에서 절제와 정직을 통해 드러나게 됩니다. 이렇듯 절제는 우리의 의지가 아니라 성령의 열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의인은 하나님의 말씀을 소유한자이며, 하나님과 동행하는자 입니다. 그래서 우리의 입술에는 절제가 있어야 합니다. 반면 악인은 하나님과 함께하지 않기 때문에 그의 입술은 무절제합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자녀인 우리의 입술에 어떠한 상황 가운데라도 성령의 열매인 절제함을 지니시기를 바랍니다.
4절을 함께 읽어 보겠습니다. “게으른 자는 마음으로 원하여도 얻지 못하나 부지런한 자의 마음은 풍족함을 얻느니라” 아멘. 4절은 말과 관련이 없다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이것은 게으른자 곧 악인은 말만 많이하면서 행동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반면에 의인, 부지런한 자는 말한 바를 실천한다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Verse 3 talks about the restraint of lips. However, this restraint is not achieved by our will. Restraint is a fruit of the Spirit. Galatians 5:22-23 says, “But the fruit of the Spirit is love, joy, peace, forbearance, kindness, goodness, faithfulness, gentleness and self-control. Against such things there is no law.” Amen
A dog barking diligently does not make it a smart dog. People are not necessarily wise just because they talk a lot and know a lot. Wisdom is revealed through restraint and honesty that comes from the fear of God. As such, restraint is not our will but a fruit of the Spirit.
Therefore, the righteous are those who possess the word of God and walk with God. That’s why there must be restraint on our lips.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wicked do not walk with God, their lips are unrestrained. Therefore, I hope that the lips of us, God’s children, will have the fruit of the Spirit, which is restraint, in any situation.
Let us read verse 4 together. “A sluggard’s appetite is never filled, but the desires of the diligent are fully satisfied.” Amen. Verse 4 may seem unrelated to speech. This indicates that the sluggard, namely the wicked, talks a lot but does not act.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at the righteous, the diligent, practice what they say.
여러분은 어떠하십니까? 여러분이 뱉은 말대로 살아가고 계십니까? 혹시 우리의 말이 우리의 행동보다 앞서지는 않는지, 말만 많이하고 정작 행동하지 않고 있지는 스스로를 돌아봐야 합니다.
하나님의 사람, 그리스도인들은 뱉은 말, 선포한 말대로 살아가야 합니다. 우리가 어떠한 말을 했다면, 우리는 이것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이것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의 말에는 절제함이 있어야 합니다. 우리의 감정대로 아무말이나 내 뱉으면 안됩니다.
우리는 말하기 전 그 짧은 순간이라도 하나님 앞에 먼저 여쭈어야 합니다. ‘하나님 제가 이러한 말을 해도 됩니까? 하나님 제가 이러한 말을 선포해도 되나요?’ 그리고 이러한 믿음으로 그 말을 선포했다면 우리의 삶속에서 이루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하고, 말씀대로 살아가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우리의 말과 행동이 함께가는 한사랑교회 모든 성도님들 되기를 바랍니다.
5절에서 말하는 거짓말은 말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더 나아가서 행동을 포함하는 단어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실제적인 거짓 행위를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의인은 말 뿐만 아니라 거짓 행위를 미워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거짓말 뿐만 아니라 이 거짓말과 이루어지는 거짓 행동까지 미워하고, 이것들을 행하지 않는 자가 바로 그리스도인이고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의인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How about you? Are you living according to the words you have spoken? We need to reflect on whether our words are ahead of our actions, if we are talking a lot but actually not acting.
God’s people, Christians, must live according to the words they have spoken, the words they have proclaimed. If we have said something, we must certainly keep it. This is what God is telling us. Therefore, Christians' words must have restraint. We must not spout any words according to our emotions.
Before we speak, we must ask God even for that short moment, ‘God, may I say such a thing? God, may I proclaim such a word?’ And if we have proclaimed such a word in faith, we must try hard to fulfill it in our lives and try to live according to the word. I hope that all the members of Hansarang Church will be those whose words and actions go together.
In verse 5, the lies referred to not only mean words themselves but also encompass actions. Therefore, it is speaking of actual deceitful behavior. Thus, it is said that the righteous should hate not only words but also the deceitful actions performed through them. It is saying that those who do not engage in lies or deceitful acts are true Christians and the righteous whom God delights in.
종교개혁 시기 마틴루터는 거짓말에 관련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 했습니다.
‘한가지 거짓말을 진실처럼 꾸미기 위해서는 7가지의 추가적인 거짓말이 필요하다’ 결국 거짓의 결과는 추악함이 드러나므로 부끄러움 밖에 남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6절을 함께 읽어 보겠습니다. “공의는 행실이 정직한 자를 보호하고 악은 죄인을 패망하게 하느니라” 아멘
이 역시 말과 상관이 없다라고 생각되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행실이 정직한 자는 말과 행동에 있어서 성실함과 온전함을 추구하는 자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죄인은 ‘표적을 빗나가다, 발을 잘못 딛다, 걸려 넘어지다, 길을 잘못 가거나 방황하다‘ 라는 의미로 말과 행동이 진실되지 못하며 악을 일삼는 자라고 나타냅니다. 여러분은 무엇을 듣고 계십니까? 그리고 무엇을 말하고 계십니까? 또 어떻게 살아가고 계신가요? 이 말씀 앞에 들은대로 살아가고 말한대로 살아가는 그리고 우리의 말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돌아보고 정말로 하나님의 향한 거룩한 열매를 맺기를 소망합니다.
During the Reformation, Martin Luther spoke about lies, saying, "To maintain one lie, it takes seven lies." He meant that the outcome of lies is only shame, as their ugliness is revealed in the end.
Let's read verse 6 together. "Righteousness guards the person of integrity, but wickedness overthrows the sinner." Amen. This might seem unrelated to words, but it implies that a person of integrity in action seeks honesty and completeness in both words and deeds.
On the other hand, a sinner is described as someone who 'misses the mark, steps wrongly, stumbles, goes astray or wanders,' indicating that their words and actions are not truthful, and they engage in evil. What are you listening to? And what are you saying? And how are you living? I hope that we reflect on the meaning of our words before this teaching and truly hope to bear the holy fruit toward God.
둘째는7~12절 의인과 악인이 생각하는 재물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7절은 재물의 소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재물을 바르게 사용함이 중요하다 라는 사실을 말합니다. 또한 이 말씀은 우리가 겉모습을 보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 속을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 사람의 속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 것입니다. 즉 겉치레만 하는 인생이 될 것이 아니라 속을 채우는 사람, 빚 좋은 개살구가 아니라 속이 꽉찬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7절은 말하고 있습니다.
8절은 재물이 많을 수록 더 많은 위험에 처함을 말씀합니다. 부가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면은 분명히 있습니다. 그러나 솔로몬은 지금 부의 긍정적인 면보다는 부의 부정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는 경제적인 형편 즉 상황의 지배를 받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 속에서 최선을 다해 살아갈 것을 권면하고 있는 것입니다.
9절을 함께 읽어 보겠습니다 “의인의 빛은 환하게 빛나고 악인의 등불은 꺼지느니라”
우리는 재물의 유무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물질이 있으면 무엇인가 든든하고 안정감이 있습니다. 그러나 물질이 없으면 왠지 불안하고 초조합니다. 저 역시 통장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걱정, 근심, 두려움이 제 마음을 가득 채우게 됩니다. 그러나 재물이 우리의 주인이 되었을 때 우리는그것을 주객이 전도되었다고 말합니다. 어떤 사람은 자신의 생명을 담보로 맞길지언정 돈을 최대한 만져보는 것을 바랍니다. 이것은 인간의 탐욕입니다. 하지만 성경은 물질의 유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합니다.
Secondly, verses 7 to 12 discuss the views of the righteous and the wicked regarding wealth.
Verse 7 says that it's not the possession of wealth that is important, but its proper use. This verse also tells us that we should not judge by outward appearance but look at what is inside. That is, we should not just live a life of appearances but be someone whose inside is filled, not just a good-looking quince with an empty interior.
Verse 8 discusses that the more wealth one has, the more danger one faces. There are certainly positive aspects to wealth. However, Solomon emphasizes the negative aspects of wealth rather than its positives. He advises us to live our best in the given situation, not be dominated by the economic situation.
Let's read verse 9 together, "The light of the righteous shines brightly, but the lamp of the wicked is snuffed out."
We take the presence or absence of wealth very seriously. With material wealth, there is a sense of solidity and stability. Without it, there is a sense of anxiety and unease. I too am filled with worry, anxiety, and fear when I look at my bank account. But when wealth becomes our master, we say that things have been turned upside down. Some people wish to touch as much money as possible, even at the cost of their own lives. This is human greed. However, the Bible does not regard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terial things as important.
그렇다면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까요? 오늘 말씀을 보니, ‘의인의 빛은 환하게 빛난다’라고 말합니다. 반대로 ‘악인의 등불은 꺼진다’라고 이야기 합니다. 즉 성경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재물의 유무가 아니라 ‘하나님의 유무’라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재물이 있고 없음에 영향을 받는 자들이 아니라 하나님이 계시는지, 또는 계시지 않는지에 영향을 받는 자들인 것입니다. 재물이 우리의 삶 속에서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닙니다. 재물보다 하나님과 함께하는 삶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우리들에게 힘있게 강조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유무’입니다.
하나님을 내 마음 속에 소유할 때에 우리에게 빛이 들어오는 것이며, 그 빛으로 말미암아 우리는 구원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재물의 영향을 받기보다, 물질에 사로잡혀 살아가기 보다, 하나님을 소유하므로 재물을 다스리며 재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삶, 또한 재물의 영향력을 받아서 허덕이면서 살아가는 것이 아닌 하나님과 그 능력으로 주신 그 재물을 아름답게 사용하는 복된 하루 되시기를 축복합니다.
What then should we regard as important? Today's message says, 'The light of the righteous shines brightly,' and conversely, 'The lamp of the wicked is snuffed out.' In other words, what the Bible considers important is not the presence or absence of wealth, b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God.'
Christians are not those who are influenc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wealth, but those who are influenced by whether God is present or not. This is not to say that wealth is unimportant in our lives. It emphasizes with strength that a life with God is of utmost importance to u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a Christian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God.'
When we have God in our hearts, light enters us, and by that light, we can move towards salvation. Instead of being influenced by wealth, living caught up in material things, owning God allows us to manage wealth and influence it, to use it beautifully for a blessed day.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