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f4bcc705e1104466b66e5be8a73c9eb6~mv2.png/v1/fill/w_980,h_551,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aa39ed_f4bcc705e1104466b66e5be8a73c9eb6~mv2.png)
6:20 내 아들아 네 아비의 명령을 지키며 네 어미의 법을 떠나지 말고
20 My son, keep your father’s command
and do not forsake your mother’s teaching.
6:21 그것을 항상 네 마음에 새기며 네 목에 매라
21 Bind them always on your heart;
fasten them around your neck.
6:22 그것이 네가 다닐 때에 너를 인도하며 네가 잘 때에 너를 보호하며 네가 깰 때에 너와 더불어 말하리니
22 When you walk, they will guide you;
when you sleep, they will watch over you;
when you awake, they will speak to you.
6:23 대저 명령은 등불이요 법은 빛이요 훈계의 책망은 곧 생명의 길이라
23 For this command is a lamp,
this teaching is a light,
and correction and instruction
are the way to life,
6:24 이것이 너를 지켜 악한 여인에게, 이방 여인의 혀로 호리는 말에 빠지지 않게 하리라
24 keeping you from your neighbor’s wife,
from the smooth talk of a wayward woman.
6:25 네 마음에 그의 아름다움을 탐하지 말며 그 눈꺼풀에 홀리지 말라
25 Do not lust in your heart after her beauty
or let her captivate you with her eyes.
6:26 음녀로 말미암아 사람이 한 조각 떡만 남게 됨이며 음란한 여인은 귀한 생명을 사냥함이니라
26 For a prostitute can be had for a loaf of bread,
but another man’s wife preys on your very life.
6:27 사람이 불을 품에 품고서야 어찌 그의 옷이 타지 아니하겠으며
27 Can a man scoop fire into his lap
without his clothes being burned?
6:28 사람이 숯불을 밟고서야 어찌 그의 발이 데지 아니하겠느냐
28 Can a man walk on hot coals
without his feet being scorched?
6:29 남의 아내와 통간하는 자도 이와 같을 것이라 그를 만지는 자마다 벌을 면하지 못하리라
29 So is he who sleeps with another man’s wife;
no one who touches her will go unpunished.
6:30 도둑이 만일 주릴 때에 배를 채우려고 도둑질하면 사람이 그를 멸시하지 아니하려니와
30 People do not despise a thief if he steals
to satisfy his hunger when he is starving.
6:31 들키면 칠 배를 갚아야 하리니 심지어 자기 집에 있는 것을 다 내주게 되리라
31 Yet if he is caught, he must pay sevenfold,
though it costs him all the wealth of his house.
6:32 여인과 간음하는 자는 무지한 자라 이것을 행하는 자는 자기의 영혼을 망하게 하며
32 But a man who commits adultery has no sense;
whoever does so destroys himself.
6:33 상함과 능욕을 받고 부끄러움을 씻을 수 없게 되나니
33 Blows and disgrace are his lot,
and his shame will never be wiped away.
6:34 남편이 투기로 분노하여 원수 갚는 날에 용서하지 아니하고
34 For jealousy arouses a husband’s fury,
and he will show no mercy when he takes revenge.
6:35 어떤 보상도 받지 아니하며 많은 선물을 줄지라도 듣지 아니 하리라
35 He will not accept any compensation;
he will refuse a bribe, however great it is.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d6b7134e04cb48e49f9ae06c048fb253~mv2.png/v1/fill/w_980,h_578,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aa39ed_d6b7134e04cb48e49f9ae06c048fb253~mv2.png)
며칠 전 뉴욕 시장을 지냈던 어떤 분이 아내에게서 설레는 사랑을 느끼지 못한다고 하면서 서로가 함께 살지만 다른 연인을 만나자고 서로 합의했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이것을 오픈메리지(open marriage)라고 하는데, 서로 의무와 책임을지는 배우자는 있지만, 다른 사람과의 사랑도 허용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서로에게 로맨스는 끝났을지 모르지만 아직 사랑이 있다고 말합니다.
이 기사를 보면서 이들은 사랑이란 단어를 알기는 한 것일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제는 사랑이란 단어의 의미가 모호해졌고, 다시 정의가 되는 것 같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사랑이란 명목아래 어디까지 인정하며 허용하실 수 있으신가요?
오늘의 말씀도 잘못된 사랑의 내용과 결과에 대해 경고하고 있습니다. 본문은 내용상 두 부분으로 나눠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첫번째는 20절부터 24절 ‘유혹을 이기는 힘이 되는 훈계’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A few days ago, I read an article about a couple who recently spent some time in New York City. The husband mentioned to his wife that he no longer felt the exciting love they once had, and they mutually agreed to see other people while still fulfilling their marital duties and responsibilities. This arrangement is known as an "open marriage," where they allow each other to explore romantic connections with others, while claiming that they still have love for each other.
Reading this article made me wonder if they truly understand the meaning of love. It seems that the definition of love has become ambiguous, and it may be undergoing a redefinition. What are your thoughts on this? How far would you be willing to accept and allow under the guise of love?
Today's passage also warns us about the consequences of misguided love. The text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parts. First, from verses 20 to 24, it discusses the "instruction that becomes the power to resist temptation."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5a77db016863475581bea7ef1a0cf691~mv2.png/v1/fill/w_700,h_393,al_c,q_85,enc_auto/aa39ed_5a77db016863475581bea7ef1a0cf691~mv2.png)
(20~24절) 유혹을 이길 힘이 될 훈계
잠언의 기록을 보면 성적인 유혹에 대해서 자주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1장부터 6장 19절까지 말씀을 묵상했는데 음녀에 대한 말씀, 이방 계집에 대한 말씀이 끊임 없이 나오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그만큼 성적인 유혹이 우리 인생속에서 이겨내기 힘들고 어려운 유혹임을 나타내주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혹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 솔로몬은 반복적으로 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만큼 그 유혹은 강렬하고 우리가 빠지기 쉽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솔로몬은 이러한 유혹을 이길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20절에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먼저 “내 아들아”라고 시작하고 있습니다. 이 표현은 아들 딸을 지칭하기 보다는 우리 모두를 대표하는 표현입니다. 그리고 “내 아비의 명령을 지키며 내 어머니의 법을 떠나지 말고”라고 말하면서 21절에 “항상 네 마음에 새기며 네 목에 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아비의 명령과 어머니의 법을 어디에 새라고 말하고 있습니까? 다른 곳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마음에 새기라고 명령하고 있는 것입니다. 즉 여기서 말하고 있는 아비의 명령과 어머니의 훈계는 ‘토라’, 하나님의 말씀을 의미 합니다. 그럼 왜 솔로몬은 이 말씀을 굳이 우리의 ‘마음에’ 새라고 말하는 것일까요?
(Verses 20-24) disciplining us with strength to defeat temptations.
Proverbs frequently addresses sexual temptations, as we have explored in chapters 1 to 6:19. The continuous mention of promiscuous women and foreign women in these chapters underscores the intensity and difficulty of sexual temptations in our lives. Why? This indicates that sexual temptation is so difficult and challenging to overcome in our lives.
o avoid falling into such temptations, Solomon repeatedly shares similar stories. This means that the temptation is so intense, and we are easily ensnared by it. Solomon, in verse 20, speaks about how to overcome such temptations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the scripture starts with "My son." This expression is not limited to addressing sons and daughters but represents all of us. He then instructs, "Keep your father's command and do not forsake your mother's teaching" in verse 21, and adds in verse 21, "Bind them always on your heart; fasten them around your neck."
Where should we bind our father's command and mother's teaching? Solomon is instructing us to bind them in our hearts. Here, when he speaks of a father's command and mother's teaching, he means the Torah, which represents God's Word. So why does Solomon emphasize binding this Word in our hearts?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1403bd929910435fa8d3be2e681556a4~mv2.png/v1/fill/w_800,h_503,al_c,q_90,enc_auto/aa39ed_1403bd929910435fa8d3be2e681556a4~mv2.png)
누가복음 6:45절에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선한 사람은 마음에 쌓은 선에서 선을 내고 악한 자는 그 쌓은 악에서 악을 내나니 이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함이니라” 아멘. 누가는 마음에 가득한 것을 입으로 말한다 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우리의 생각이 우리의 말이 되고, 우리의 말이 우리의 행동이 되고, 우리의 행동이 우리의 습관이 되고, 우리의 습관이 우리의 인생이 된다.
우리의 마음이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우리가 마음 먹은 것이 우리의 인생이 되고, 마음에 담겨있는 것이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삶을 결정하기 때문에, 지금 솔로몬은 하나님의 말씀을 우리의 마음에 새기라고 이야기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할 때 우리의 인생과 우리의 삶이 달라지기 때문에, 지금 명령과 훈계라는 강한 단어를 사용하면서 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잠언 4:23절에 이렇게 말합니다. “모든 지킬 만한 것 중에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 아멘
Luke 6:45 says, "A good man brings good things out of the good stored up in his heart, and an evil man brings evil things out of the evil stored up in his heart. For the mouth speaks what the heart is full of." Luke emphasizes that the mouth speaks what the heart is full of. You may have heard this saying: our thoughts become our words, our words become our actions, our actions become our habits, and our habits become our lives.
Our hearts are so crucial that what we store in our hearts becomes a part of our lives, influencing and shaping our existence. When God's Word is embedded in our hearts, He watches over our lives.
Therefore, guarding our hearts is equivalent to protecting our lives. This is why Proverbs 4:23 says, "Above all else, guard your heart, for everything you do flows from it." Amen.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23430992626e40aca3171dbe33f0713c~mv2.png/v1/fill/w_980,h_515,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aa39ed_23430992626e40aca3171dbe33f0713c~mv2.png)
마음을 지키는 것은 곧 생명을 지키는 것입니다. 이렇게 생명의 근원이 되는 마음에 아버지의 명령 어머니의 법인 하나님의 말씀을 채울 때 우리의 인생은 어떻게 달라 질까요? 22절에 해답이 있습니다. “그것이 네가 다닐 때에 너를 인도하며 네가 잘 때에 너를 보호하며 네가 깰 때에 너와 더불어 말하리니” 여기서 뭐라고 말하고 있습니까.
너가 다닐때, 잘때, 깨어있을 때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의 인생 우리의 삶의 모든 상황과 형편 그리고 우리의 삶 전부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매 순간마다 우리의 인생을 하나님께서 지켜주시겠다고 약속하고 있는 것입니다.
Guarding your heart is guarding life itself. So if God's Word is within us, how does it affect our lives? The answer lies in verse 22: "When you walk, they will guide you; when you sleep, they will watch over you; when you awake, they will speak to you."
This means that God's Word within us guides us, protects us, and communicates with us in all situations and conditions of our lives. God is promising us that He will protect our lives in all aspects.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0c81d299ae934c8c89deda2d8d89e6f2~mv2.png/v1/fill/w_700,h_393,al_c,q_85,enc_auto/aa39ed_0c81d299ae934c8c89deda2d8d89e6f2~mv2.png)
하나님의 말씀이 무엇이길래, 그 말씀이 우리 안에 있으면 어떻게 우리의 인생이 지켜질 수 있는 것일까요?
23절에 답이 있습니다. “대저 명령은 등불이요 법은 빛이요 훈계의 책망은 곧 생명의 길이라”
하나님의 말씀은 등불이고 하나님의 말씀은 빛이며, 하나님의 말씀은 생명의 길이라고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생명의 길, 등불, 빛이 우리의 마음속에 있으면 주님께서는 우리의 인생을 지켜주시는 것입니다.
이러한 표현은 잠언에만 나오는 표현이 아닙니다. 성경 여러곳에서 말씀하고 있지만 대표적으로 시편 119:105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의 말씀은 내 발에 등이요 내 길에 빛이니이다”아멘
오늘도 우리 마음속에 생명의 빛을 담아서 어둠을 물리치는 복된 하루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What is so great about God's word, and why does having His word within us help protect our lives? The answer is in verse 23: "For the command is a lamp and the teaching a light, and the reproofs of discipline are the way of life."
God's word is like a lamp and a light, serving as the way of life. Therefore, when we have this light, this way of life, within our hearts, the Lord guards our lives.
This expression is not unique to Proverbs; it is found throughout the Bible, with Psalm 119:105 being a notable reference: "Your word is a lamp to my feet and a light to my path." Amen.
Today, I hope that we may store the light of life within our hearts, overcoming darkness and be overflowing with blessings.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3da18f93ffa942eaa185f7608fd72298~mv2.png/v1/fill/w_980,h_515,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aa39ed_3da18f93ffa942eaa185f7608fd72298~mv2.png)
(25~35절) 생명을 위협하는 음행
25절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네 마음에 그의 아름다움을 탐하지 말며 그 눈꺼풀에 홀리지 말라”
우리가 앞에서 살펴봤듯이 마음을 지키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생명의 근원이 되는 마음을 잘 지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왜그럴까요? 마음을 빼았기면 우리의 생명을 빼았기기 때문에 지금 솔로몬은 너희들의 마음에 그의 아름다움을 담지말고 그의 눈꺼풀에 홀리지 말라라고 권면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마음을 빼았기게 된 결과는 무엇일까요? 27절과 28절을 보면 우리가 몸에 상해를 입는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 당시에는 숯은 흔히 사용되는 것이였습니다. 솔로몬은 사람들이 자주 접하고 사용하는 것을 통해서 음행의 결과가 어떻게 남는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우리에게 분명히 알려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불에 데인 상처는 시간이 지나도 지워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 흔적을 가지고 평생 살아가게 됩니다. 제가 군대에 있을 때 전방에서 근무를 했는데 거기는 토양이 좋지 않아서 상처가 나면 바로 약을 바르고 치료를 꼭해야하는 곳이였습니다. 그런데 훈련도중 발목에 상처가 나서 조금 늦게 치료를 했더니 발목 안에서 썩고 고름이 생겨서 그것을 치료하는데 너무나 큰 고통을 경험했습니다. 그 상처가 시간이 지나도 없어지지 않고 흉터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Verses 25-35: Temptation Threatening Life
Verse 25 begins as follows: "Do not desire her beauty in your heart, and do not let her capture you with her eyelashes."
As mentioned earlier, the importance of guarding one's heart is emphasized. It is crucial to protect the wellspring of life within us. Why is this so important? When our hearts are captured, our lives are also captured. That's why Solomon advises, "Do not desire her beauty in your heart, and do not let her capture you with her eyelashes."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having our hearts captured? Verses 27 and 28 state that we will suffer bodily harm. In those days, charcoal was commonly used. Solomon uses a familiar substance to illustrate how the consequences of sin are lasting and do not easily fade away.
These burned scars do not fade with time and remain with us throughout our lives. When I was in the military and serving in the front lines, the soil there was not good. If you got injured, you had to apply medication and treatment promptly. However, during training, I got a wound on my ankle, and I delayed treatment a little. As a result, the wound festered, and an abscess formed within my ankle. Treating it was excruciatingly painful. Even as time passed, that wound did not disappear, and it left a scar.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95e2a65a9a8443d9ad71246a69fbec6a~mv2.png/v1/fill/w_980,h_515,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aa39ed_95e2a65a9a8443d9ad71246a69fbec6a~mv2.png)
솔로몬은 음행의 결과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평생 지울 수 없는 치명적인 상처를 남기게 된다고 우리에게 경고합니다. 29절 전반부에 이렇게 말합니다. “남의 아내와 통간하는 자도 이와같을 것이다” 이러한 일들이 남의 아내와 통간(간통)하는 자와 같다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남의 아내라는 구절에서 이 “남”이라는 단어는 히브리어로 보면 그 뜻이 동료, 형제, 친구, 이웃등 자신과 가까운 관계를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단지 음행을 저지르는 것이 아니라, 그 음행을 통해 나와 가까운 사람과의 관계가 끊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우리가 속한 공동체가 파괴됨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34절에 이렇게 이야기 합니다. “남편이 투기로 분노하여 원수 갚는 날에 용서하지 아니하고” 이러한 일을 벌이면 그 남편이 이러한 관계가 끊어지고, 내 아내가 상처를 입고, 내 아내를 빼앗기기 때문에 절대로 용서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35절에 “어떤 보상도 받지 아니하며 많은 선물을 줄지라고 듣지 아니하리라”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음행의 결과는 단순히 음행으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이 파괴되고 관계가 흐트러지고 그리고 우리가 속한 공동체가 무너지는 그러한 결과로 확장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솔로몬은 무엇이라 말합니까?
29절 후반부에 이렇게 말합니다. “그를 만지는 자마다 벌을 면하지 못하리라” 이 말은 무엇을 나타내는 것이냐면 음행으로 나아가는 작은 행동 하나라도 경계하라는 것입니다.
Solomon warns us that the results of sexual misconduct leave us with lasting, irreparable physical and mental scars. In verse 29, he states that this is similar for someone who commits adultery with another man's wife. The term "another man" from the original language of Hebrew suggests a close relationship like a friend, brother, or neighbor.
It signifies that such actions not only lead to adultery but also disrupt close relationships and even destroy the community we belong to. Furthermore, verse 34 warns that in such cases, the husband's anger cannot be appeased on the day of vengeance. Such actions sever relationships, hurt one's own wife, and lead to irreversible consequences. In verse 35, Solomon makes it clear that there is no compensation or bribe that can make amends.
The results of sexual misconduct extend beyond the act itself, affecting our lives, relationships, and communities. So what does Solomon say about this?
He says in the latter parts of verse 29 that, “So is he who sleeps with another man’s wife; no one who touches her will go unpunished.”
Solomon warns us to beware of even the smallest actions that may lead to sexual misconduct.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36d1c510dc9b470482e6a22d0127ccea~mv2.png/v1/fill/w_980,h_515,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aa39ed_36d1c510dc9b470482e6a22d0127ccea~mv2.png)
여기서 “만지다” 라는 것은 건드리다 터치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이렇게 만지는것, 터치하는게 무슨 문제가 되겠습니까. 하지만 이러한 작은 행동들이 우리가 음행으로 나아가는 틈을 준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솔로몬은 이러한 틈을 너희의 삶속에서 없애라 그리고 경계해라라고 우리에게 경고하고 권면하고 있습니다.
에베소서 4:27 “마귀에게 틈을 주지 말라” 아멘
우리는 신앙생활을 하다 보면 자주드는 생각이 있습니다. 아 이정도는 괜찮지 않겠어?, 목사님 이런건 다 하는 것이에요, 집사님 요즘은 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아무렇지도 않아요. 우리도 모르게 세상적인 사고 방식으로 말 할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작은 틈도 용납하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작은 틈을 통해서 죄가 들어오고 그 죄가 자리를 잡고 죄가 자라서 우리로 하여금 사망에 이르게 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내 마음속에 틈은 무엇이고 나는 무엇으로부터 경계해야 하는지, 또 나는 무엇을 더욱 더 신경써야 하는지를 돌아보는 새벽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음에 하나님의 말씀을 새김으로 우리의 마음속에 생명의 빛을 소유하고 어둠을 물리치는 모든 성도님들 되시기를 축복합니다.
The term here "touch" means to touch or make contact. What could be wrong with such a small act? The point is that even these small actions create opportunities for sin. Therefore, Solomon advises us to eliminate such opportunities from our lives and be cautious.
Ephesians 4:27 tells us, "And give no opportunity to the devil." Amen.
We often find ourselves thinking during our walk of faith, "Is it okay if I do this? After all, everyone else is doing it, and it seems harmless." “Pastor, everybody is doing it. Deacon, everybody is doing it like this these days.” Sometimes, we unknowingly adopt a worldly mindset.
However, the Bible warns us not to give any opportunity, no matter how small, to the devil. Small opportunities can lead to sin, which can take root, grow, and ultimately lead us to death.
Through today's message, I hope we can reflect on what gaps exist in our hearts, what we need to guard against, and what we need to be more vigilant about. May we all engrave God's word into our hearts, possessing the light of life within us, and overcoming darknes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