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30919 [새벽묵상] 새로운 살 길, 믿음, 소망, 사랑 | The New Way of Life, Faith, Hope, Love (히/Heb 10:11~25)



10:11 제사장마다 매일 서서 섬기며 자주 같은 제사를 드리되 이 제사는 언제나 죄를 없게 하지 못하거니와

11 Day after day every priest stands and performs his religious duties; again and again he offers the same sacrifices, which can never take away sins.

10:12 오직 그리스도는 죄를 위하여 한 영원한 제사를 드리시고 하나님 우편에 앉으사

12 But when this priest had offered for all time one sacrifice for sins, he sat down at the right hand of God,

10:13 그 후에 자기 원수들을 자기 발등상이 되게 하실 때까지 기다리시나니

13 and since that time he waits for his enemies to be made his footstool.

10:14 그가 거룩하게 된 자들을 한 번의 제사로 영원히 온전하게 하셨느니라

14 For by one sacrifice he has made perfect forever those who are being made holy.

10:15 또한 성령이 우리에게 증언하시되

15 The Holy Spirit also testifies to us about this. First he says:

10:16 주께서 이르시되 그 날 후로는 그들과 맺을 언약이 이것이라 하시고 내 법을 그들의 마음에 두고 그들의 생각에 기록하리라 하신 후에

16 “This is the covenant I will make with them

after that time, says the Lord.

I will put my laws in their hearts,

and I will write them on their minds.”

10:17 또 그들의 죄와 그들의 불법을 내가 다시 기억하지 아니하리라 하셨으니

17 Then he adds:

“Their sins and lawless acts

I will remember no more.”

10:18 이것들을 사하셨은즉 다시 죄를 위하여 제사 드릴 것이 없느니라

18 And where these have been forgiven, sacrifice for sin is no longer necessary.

10:19 그러므로 형제들아 우리가 예수의 피를 힘입어 성소에 들어갈 담력을 얻었나니

19 Therefore, brothers and sisters, since we have confidence to enter the Most Holy Place by the blood of Jesus,

10:20 그 길은 우리를 위하여 휘장 가운데로 열어 놓으신 새로운 살 길이요 휘장은 곧 그의 육체니라

20 by a new and living way opened for us through the curtain, that is, his body,

10:21 또 하나님의 집 다스리는 큰 제사장이 계시매

21 and since we have a great priest over the house of God,

10:22 우리가 마음에 뿌림을 받아 악한 양심으로부터 벗어나고 몸은 맑은 물로 씻음을 받았으니 참 마음과 온전한 믿음으로 하나님께 나아가자

22 let us draw near to God with a sincere heart and with the full assurance that faith brings, having our hearts sprinkled to cleanse us from a guilty conscience and having our bodies washed with pure water.

10:23 또 약속하신 이는 미쁘시니 우리가 믿는 도리의 소망을 움직이지 말며 굳게 잡고

23 Let us hold unswervingly to the hope we profess, for he who promised is faithful.

10:24 서로 돌아보아 사랑과 선행을 격려하며

24 And let us consider how we may spur one another on toward love and good deeds,

10:25 모이기를 폐하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하지 말고 오직 권하여 그 날이 가까움을 볼수록 더욱 그리하자

25 not giving up meeting together, as some are in the habit of doing, but encouraging one another—and all the more as you see the Day approaching.


 


코로나19는 우리들의 삶에 많은 충격과 변화를 가져왔고, 인류의 미래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 했습니다. 교회 역시도 14세기 중세 유럽에 퍼졌던 페스트(흑사병) 팬데믹 이후에 세상을 향한 교회의 역할과 변화에 대한 꽤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사회가 30년, 40년 시간 단위로 변화를 했다면, 현대는 한 해, 한 해 지날 때 마다 엄청난 변화를 겪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사회가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는 이유는 I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인들의 삶의 형태 때문일 것입니다.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significant shocks and changes to our lives, leading to many thoughts about the future of humanity. Similarly, the church has been pondering its role and adaptation in the world after the pandemic, much like the church's reflection and adaptation that followed the Black Death pandemic in medieval Europe during the 14th century. In the past, societies would undergo significant changes every 30 or 40 years, but in the modern era, it seems that enormous changes occur year by year, primarily due to the way modern life is shaped by modern technology.



많은 사람들에게 의식 있고, 성경적 원칙에 기반한 목회를 한다는 믿음을 주었던 존경받던 목사님이 있었습니다. 저 역시 존경하는 목사님이었고, 그분의 저서도 몇 권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목사님이 팬데믹을 지나면서 타락한 한국교회에 하나님이 핵폭탄을 던지신 것이라고 말하며, 이제 교회는 조그만 사무실을 얻어 온라인으로 예배하고, 온라인으로 헌금하는 새로운 대안의 교회가 탄생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렇게 되면 건물에 대한 과도한 비용이나, 목회자들의 권력 횡포가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었습니다.

무엇을 경계하는 주장인지는 이해가 가지만, 과연 그것이 성경이 말하는 교회이고, 성경이 말하는 예배인가 하는 의문을 지울 수가 없었습니다. 우리는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추어 변화해야 하지만, 동시에 가장 근본적인 변할 수 없는 본질은 붙잡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구별하는 진짜 지혜가 필요합니다.


There was a respected pastor who ministered consciously and based on biblical principles, someone I also deeply admired and have several of their books.

However, this pastor claimed that the pandemic was a divine intervention against the corrupt state of the Korean church, stating that the church should now acquire small offices and conduct worship and offering online, advocating for a new alternative form of the church. The argument was that this would eliminate excessive costs associated with buildings and prevent abuses of power by ministers.

While I understood the concerns raised, I couldn't help but question whether this approach truly aligns with the biblical concept of the church and worship. We must adapt to changing times, but at the same time, we must hold on to the fundamental essence that cannot change, requiring genuine wisdom to discern.



영원히 온전하게 하는 제사 (11~18절)

히브리서 저자는 반복적으로 결론을 말합니다. 율법에 근거하여 인간 제사장이 매일 반복적으로 드리는 제사로는 언제라도 죄를 없이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11).

그렇다면 우리가 매일 회개하는 것 역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예수를 구주로 고백한 우리가 매일 하는 회개기도와 구약에서 매일 제사장이 드린 제사와 차이는 무엇일까요? 구약의 제사, 그것은 매번 희생제물을 가지고, 매일 형식적으로 드린 제사라는 점입니다.

희생제물과 제사라는 형식의 문제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기도는 더 이상 희생제물이 필요 없습니다.

이미 하나님의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께서 온전한 희생제물이 되셨기 때문입니다. 히브리서 저자는 이것을 한 영원한 제사(12)라고 표현합니다. 한 영원한 제사의 희생제물인 예수님의 효력을 영원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기도를 마칠 때마다 영원한 희생제물인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하는 것입니다.

또한 제사라는 율법에 근거한 형식도 더 이상 필요가 없습니다. 대제사장이신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하면 되는 것입니다. 유대인들이 이것을 인정하지 않고 끝까지 고집을 부리니까 하나님이 그들에게서 성전을 빼앗았습니다. 그들은 이제 아무리 제사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는 상태입니다.

예수님은 지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아 계시며, 심판의 날 완전하게 사탄이 패하는 날까지 우리를 위해 중보하시며 기다리십니다(13).


Eternal Perfection through Sacrifice (Verses 11-18)

The author of Hebrews repeatedly emphasizes a point. It is that with the daily sacrifices offered by human priests based on the Law, sin can never be completely eradicated (verse 11).

So, does this mean that our daily repentance is also problematic? It raises a question.

What distinguishes our daily repentance prayer, as those who confess Jesus as our Savior, from the daily sacrifices offered by priests in the Old Testament? The difference lies in the form of sacrifice and offering. In the Old Testament, these were ritualistic sacrifices offered daily. But our prayers no longer require sacrifices.

This is because Jesus Christ, the Lamb of God, has already become the perfect sacrifice (verse 12). The author of Hebrews refers to this as an "eternal sacrifice." The efficacy of Jesus Christ as the eternal sacrifice endures forever.

Therefore, when we pray, we do so in the name of Jesus Christ, the eternal sacrifice.

Furthermore, we no longer need the formalities based on the Law of sacrifice. We simply need to pray in the name of Jesus, our High Priest. Even though the Jews did not acknowledge this, God took away the temple from them. They are now in a state where, no matter how much they desire to offer sacrifices, they cannot. Jesus Christ is currently seated at the right hand of God's throne, interceding for us until the day of complete victory over Satan (verse 13).



히브리서 저자는 그가 거룩하게 된 자들을 한 번의 제사로 영원히 온전하게 하셨다(14) 말합니다.

약간의 시간적인 문제가 보입니다. 이미 거룩하게 된 자들이라면 또 온전하게 할 필요가 있을까?

또한 예수님의 영단번의 제사로 우리를 거룩하게 하는 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순서가 바뀐 것이 아닌가?

거룩하게 된 자들 ἁγιαζομένους이란, 계속하여 거룩하게 되고 있는 자들이라는 의미입니다.

구원은 과거에 벌어진 사건이며, 또한 현재적이고, 동시에 미래에 완성될 사건입니다.

그러므로 구속 사건은 시간을 초월한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입니다. 아브라함과 같은 구약의 사람들은 아직 예수님이 오시기 전 성도들입니다. 하지만 그들 역시 시간을 초월한 하나님의 은혜가운데,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습니다. 현대를 사는 우리 역시 구원을 받았고, 또한 받을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경륜 가운데 선택된 아직 존재하지 않는 미래의 세대 역시도 이미 구원을 받았고, 또한 받을 것입니다. 시간을 초월하시는 하나님 안에서 구속의 사건은 이미 이루어진 일이며, 계속 진행하여 완성하실 일입니다.


The author of Hebrews says that Jesus, through one sacrifice, has perfected those who are sanctified (verse 14).

There seems to be a slight temporal issue here. If they are already sanctified, do they need to be perfected again? Is it not Jesus' one-time sacrifice that sanctifies us? Has the order been reversed?

Those who have been sanctified (ἁγιαζομένους) mean those who are continually being sanctified. Salvation is an event of the past, a present reality, and a future completion. Therefore, the event of redemption is God's amazing grace that transcends time. People in the Old Testament, like Abraham, were saints before Jesus came. But they, too, received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in the context of God's timeless grace.

Those living in the present, like us, have received and will continue to receive salvation. Additionally, future generations, chosen by God's providence, have already received and will receive salvation. In the realm of God who transcends time, the event of redemption has already occurred and will continue to progress until it is completed.



새로운 살 길, 믿음, 소망, 그리고 사랑 (19~25절)

제사장은 율법에 근거하여 짐승의 피로, 일년에 한 번 지성소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시대에는 예수의 피를 힘입어 영원토록, 언제라도 하나님의 존전에 나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19).

이 새로운 길은 휘장으로 상징되는 예수님의 육체를 찢음으로 열어 놓으신 길입니다.

예수께서 자신의 육체에 인류의 모든 죄를 짊어지시고, 친히 십자가에서 육체를 찢으심으로 하나님과 우리 사이를 가로막는 죄의 장막을 치우신 것입니다(20). 히브리서 저자는 그런 의미에서 예수님을 하나님의 집 다스리는 큰 제사장이라고 표현합니다(21). 이제 새로운 길과 새로운 시대가 열렸고, 새로운 법이 주어졌습니다. 히브리서 저자는 새로운 법을 알려 줍니다.


The New Way of Life, Faith, Hope, and Love (Verses 19-25)

Under the old system, the high priest, based on the Law, could enter the Most Holy Place once a year with the blood of animals. However, in the new era, through the blood of Jesus, we can enter God's presence eternally, at any time (verse 19).

This new way is symbolized by the tearing of Jesus' flesh represented by the curtain. Jesus took upon Himself all the sins of humanity, personally tearing down the barrier of sin that separated us from God on the cross (verse 20). The author of Hebrews expresses Jesus as the great high priest who governs the house of God in this sense (verse 21). Now, a new era and a new law have been established. The author of Hebrews outlines this new law:



첫째는 참마음과 온전한 믿음입니다(22). 온전한 믿음이란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는 믿음이며, 이 믿음이 자리하는 곳이 바로 참마음, 곧 진실한 마음입니다.

둘째는 믿는 도리의 소망입니다(23).

미쁘신 하나님, 신실하신 하나님에 대한 소망은 우리 믿음을 굳건하게 합니다. 우리는 다른 것에 소망을 두는 것이 아닌 약속에 신실하신 하나님의 말씀에 소망을 두어야 합니다. 그럴 때 흔들리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서로 돌아보는 사랑입니다(24).

모든 율법의 완성, 핵심은 사랑입니다. 예수님은 이 사랑의 법으로 율법을 완성하신 것입니다.

서로 돌아보아 사랑하며, 또한 그런 사랑의 선행을 주님 오시는 날까지 서로 격려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신앙생활의 핵심인 믿음, 소망, 사랑이 드러나는 필드가 어디일까요? 가정이요, 교회입니다.

그래서 히브리서 저자는 당시 히브리서 독자들의 공동체에 있었던 모이기를 귀찮아 하고, 점점 게을리하는 자들에게 마지막 때가 될수록 더욱 모이기에 힘쓸 것을 권면한 것입니다.

어떤 분들은 교회에 나가서 서로 부대끼는 것을 부담스러워합니다. 하지만 만나서 문제가 발생해도, 거기에 성장과 변화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온라인이 아니라 실제로 모여서 얼굴과 얼굴을 맞대어 교제하고, 훈련 받음으로 성장해야 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진짜 천국의 삶이기 때문입니다. 온라인 교회만을 원하시는 분들은 온라인으로만 천국에 가게 될 것입니다.


First is a sincere and wholehearted faith (verse 22).

A wholehearted faith is believing in Jesus as the Messiah, and this faith resides in the true heart.

Second is the hope of the faith we profess (verse 23).

Our hope is anchored in the promise of a faithful God. We do not place our hope in anything else but the promises of a faithful God, which makes our faith unshakable.

Lastly is mutual love (verse 24).

Love is the fulfillment of all laws. Jesus perfected the law through the law of love. We should encourage and support one another in love until the day of the Lord's return.

So, where does the core of faith, hope, and love manifest in our lives? It is in our families and in the church.

Therefore, the author of Hebrews encourages the readers to gather more as the end approaches, not neglecting to meet together but encouraging one another (verse 25).

Some people may find it burdensome to attend church and interact with others. However, even when difficulties arise from meeting face to face, there is growth and transformation. That's why we must gather in person, engage in face-to-face fellowship, and receive training. This is the real life of the Kingdom. Those who prefer online-only church will have their place in heaven only online.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