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3 제사장 된 그들의 수효가 많은 것은 죽음으로 말미암아 항상 있지 못함이로되
23 Now there have been many of those priests, since death prevented them from continuing in office;
7:24 예수는 영원히 계시므로 그 제사장 직분도 갈리지 아니하느니라
24 but because Jesus lives forever, he has a permanent priesthood.
7:25 그러므로 자기를 힘입어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들을 온전히 구원하실 수 있으니 이는 그가 항상 살아 계셔서 그들을 위하여 간구하심이라
25 Therefore he is able to save completely those who come to God through him, because he always lives to intercede for them.
7:26 이러한 대제사장은 우리에게 합당하니 거룩하고 악이 없고 더러움이 없고 죄인에게서 떠나 계시고 하늘보다 높이 되신 이라
26 Such a high priest truly meets our need—one who is holy, blameless, pure, set apart from sinners, exalted above the heavens.
7:27 그는 저 대제사장들이 먼저 자기 죄를 위하고 다음에 백성의 죄를 위하여 날마다 제사 드리는 것과 같이 할 필요가 없으니 이는 그가 단번에 자기를 드려 이루셨음이라
27 Unlike the other high priests, he does not need to offer sacrifices day after day, first for his own sins, and then for the sins of the people. He sacrificed for their sins once for all when he offered himself.
7:28 율법은 약점을 가진 사람들을 제사장으로 세웠거니와 율법 후에 하신 맹세의 말씀은 영원히 온전하게 되신 아들을 세우셨느니라
28 For the law appoints as high priests men in all their weakness; but the oath, which came after the law, appointed the Son, who has been made perfect forever.
어제 본문에서 히브리서 저자는 영원한 대제사장 되시는 예수님과 레위 지파 제사장과의 차별성에 대해서 말했습니다. 그것은 레위지파 제사장들은 율법에 의해 세워진 존재라면, 예수님은 하나님의 맹세(시 110:4)로 세운 제사장으로 더 좋은 언약의 보증이 되신다는 사실입니다.
히브리서 기자는 오늘 본문에서도 계속하여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른 한 영원한 제사장이 인간 제사장들과 비교하여 무엇이 차별되는지에 대해서 주장합니다.
In yesterday's passage, the author of Hebrew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Jesus, the eternal high priest, and the Levitical priesthood. The key point was that while Levitical priests were established by the law, Jesus was established by God's oath (Psalm 110:4) as the guarantee of a better covenant. Today's passage continues to emphasize the uniqueness of the eternal high priesthood of Jesus in comparison to human priests.
영원성 (23-25절)
제사장은 인간의 편에서 인간을 대표하여 그 죄를 대신 속죄하는 역할을 감당해야 합니다.
그런데 그런 직분을 감당하는 것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먼저 시간적인 한계였습니다.
히브리서는 저자는 인간 제사장들의 시간적인 한계에 대해서 제사장 된 그들의 수효가 많은 것은 죽음으로 말미암아 항상 있지 못하기 때문(23a)이라고 말합니다.
레위지파 제사장들의 숫자가 많았던 이유는 그들의 유한성, 즉 죽고 사라지는 문제 때문이었습니다.
그들의 속죄 사역은 기껏해야 100년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대제사장이 죽으면 그 자손이 그 직무를 이어서 해야 했습니다.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아론부터 A.D.70년 예루살렘이 멸망하기까지 총 83명의 대제사장이 존재했다고 말합니다. 그만큼 인간 레위지파 제사장 제도는 불완전한 제도였던 것입니다.
Eternality (Verses 23-25)
A priest represents humanity before God and bears the responsibility of interceding for their sins.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carrying out this role. First, there was a temporal limitation. The author of Hebrews points out that the Levitical priests' large numbers were due to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continue in office because of death (verse 23a). The multitude of Levitical priests was a result of their finite nature, meaning they could not offer atonement perpetually. When a high priest died, his descendants had to take over the duties. Historian Josephus mentions that there were a total of 83 high priests from Aaron to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in A.D. 70. This indicates the imperfection of the Levitical priesthood system.
하지만 예수님은 영원하신 분이기에, 그 분의 사역 또한 영원합니다.
동시에 (시간적면에서) 완전합니다. 25절은 그러므로 로 시작합니다.
예수님의 직분의 영원성, 곧 시간적인 완전성 때문에, 그러므로 우리의 구원은 온전하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예수님은 온전하게 우리의 중보자(십자가, 부활, 승천)가 되셨습니다.
그리고 그가 이루신 온전한 구원이 영원합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속죄도 영원(완전)한 것입니다.
불완전한고 유한한 인간 중보자 와는 전혀 다른 존재이십니다.
바울은 예수님이 지금도 살아서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심(25b)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누가 정죄하리요 죽으실 뿐 아니라 다시 살아나신 이는 그리스도 예수시니
그는 하나님 우편에 계신 자요 우리를 위하여 간구하시는 자시니라 (롬 8:34)
However, Jesus is eternal, and His ministry is also eternal. The passage starts with "The former priests were many in number because they were prevented by death from continuing in office" (verse 23b). Because of His eternality in terms of time, Jesus is able to offer an unending and complete salvation. This means that our salvation is perfect because of His eternal priesthood. Unlike human priests who were limited in time, our eternal high priest is able to continually intercede on our behalf (verse 25b).
Who then is the one who condemns? No one. Christ Jesus who died—more than that, who was raised to life—is at the right hand of God and is also interceding for us. (Romans 8:34)
유한한 인간 제사장과는 달리 우리의 대제사장이신 예수님은 시간적인 면에서 영원하신 존재입니다.
이것은 시간적인 완전성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의 영원한 대제사장이 되실 수 있는 것입니다.
거룩성 (26-27절)
이처럼 예수님은 레위 지파의 대제사장들과 달리 시간적인 차별성, 즉 영원성을 가지신 분입니다.
히브리서 저자는 또 다른 차별성, 우월성을 말합니다. 그것은 예수님의 거룩성입니다.
영원성은 우리 속죄에 대한 시간적인 완전함(아담부터 마지막 인류에게까지)에 대한 보장을 말한다면, 거룩성은 우리 속죄의 효력에 대한 완전성의 보장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Unlike finite human priests, our high priest, Jesus, is an eternal being in the temporal sense. This represents temporal completeness, which is why He can be our eternal high priest.
Holiness (Verses 26-27)
In addition to eternality, the author of Hebrews highlights another distinction, the superiority of Jesus' holiness.
죄인은 절대로 죄인을 구원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자신이 가지고 있는 죄로 말미암아 자신도 죽어야 하는데, 누구를 구원할 수 있겠습니까?
대제사장들 역시 죄인입니다. 그들은 백성들의 죄를 사하기 전에 먼저 자신들의 죄를 속죄해야 했습니다.
또한 하나님이 주신 율법으로 흠 없는 짐승을 잡아 대제사장이 속죄를 했지만, 그것은 임시방편입니다.
그 효력이 영원하지 않습니다.
마치 아담과 하와가 스스로 만든 나뭇잎 옷으로 수치를 가리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Human priests, being sinners themselves, cannot save other sinners. They needed to atone for their own sins before interceding for the people's sins. Moreover, the sacrifices offered by Levitical priests under the law were only temporary and insufficient. These sacrifices did not have eternal effectiveness.
인간의 죄악의 문제를 영원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물은 인간이어야 했고, 죄는 없어야 하며, 단 한 번에 영원한 효력을 발휘하는 제사가 필요했습니다.
이런 제사가 어디에 있습니까?
죄 없는 인간도 없고, 죄 없는 인간이 있다하더라도 그가 대신 죽어줄 수 있는 사람은 다른 한 사람밖에는 없습니다. 그래서 죄 없으신 예수님이 오셔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죽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제2위이신 성자 예수님이 성육신을 하신 것입니다.
죄 없는 인간이 죽어야 인간의 죄를 사할 수 있으며,
영원하신 하나님이 죽어야 단번에 영원토록 모든 인간의 죄를 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직접 맹세로 세우신 제사장의 사역은 반복적일 필요가 없습니다(28).
율법에 의해 세움 받은 레위 지파 제사장들의 제사는 반복적이어야 하지만, 하나님이 맹세로 직접 세우신 예수님의 제사는 일회적입니다. 단번에 우리의 모든 죄를 없이하는 완전한 효력이 있는 제사입니다.
For true atonement, a sinless human was needed who could die on behalf of sinful humanity. However, God cannot die. Thus, the Son of God, the Holy One, took on human flesh. Only a sinless human could die on behalf of others, and only the eternal God could pay the price for all human sins. Therefore, Jesus, who is sinless, became the perfect sacrifice for our sins.
As a result, the work of Jesus, established by God's oath, does not need to be repeated (verse 28). While Levitical priests were established by the law and their sacrifices had to be repeated regularly, Jesus' sacrifice is once-for-all, with eternal efficacy.
우리 기독교의 구원의 교리는 너무 간단합니다.
하나님이신 예수님이 이 땅에 오셔서 나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3일만에 부활하여 승천하신 것을 믿기만 하면 구원을 얻습니다. 하지만 이 교리가 나오기까지 숨겨진 과정을 살펴보면 결코 제대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매우 어려운 교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어찌 보면 사람들이 구원의 교리가 너무 간단하여 믿기를 어려워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인간은 자신들이 무엇을 해야 구원을 받는다고 착각합니다.
양심이 있지 어떻게 구원을 공짜로 받을 수 있냐고 말합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구원에 값을 매긴다면 아무도 구원받지 못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복잡한 과정은 하나님이 감당하시고, 우리는 그저 믿기만 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거룩성과 영원성은 전인류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건들입니다.
그리고 이 조건을 충족하시는 분은 예수님 밖에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거룩하시고 영원하신 예수님, 우리의 죄를 완전하게 해결하신 영원하신 대제사장이신 예수님을 찬양합니다. 주께서 이루신 것을 기뻐하며, 즐거이 누리는 우리가 되기를 바랍니다.
The doctrine of salvation in Christianity is simple yet profound. We believe that Jesus, who is God incarnate, came to this earth, died on the cross in our place, rose from the dead after three days, and ascended to heaven. Believing in this truth grants us salvation. However, understanding the intricate details leading up to this doctrine can be challenging. People often struggle with the simplicity of salvation, thinking they must do something to earn it. Yet, we know that if salvation had a price tag, no one could afford it. It is through God's grace and Jesus' redemptive work that we are saved.
Holiness and eternality are essential conditions for atonement, and Jesus is the only one who fulfills these conditions. Therefore, we praise Jesus, the Holy and Eternal One, who completely resolved our sins. May we rejoice in what He has accomplished and joyfully embrace the salvation He offer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