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30830 [새벽묵상] 진격하는 복음 | March of the Gospel (행/Acts 28:11~22)



28:11 석 달 후에 우리가 그 섬에서 겨울을 난 알렉산드리아 배를 타고 떠나니 그 배의 머리 장식은 디오스구로라

11 After three months we put out to sea in a ship that had wintered in the island—it was an Alexandrian ship with the figurehead of the twin gods Castor and Pollux.

28:12 수라구사에 대고 사흘을 있다가

12 We put in at Syracuse and stayed there three days.

28:13 거기서 둘러가서 레기온에 이르러 하루를 지낸 후 남풍이 일어나므로 이튿날 보디올에 이르러

13 From there we set sail and arrived at Rhegium. The next day the south wind came up, and on the following day we reached Puteoli.

28:14 거기서 형제들을 만나 그들의 청함을 받아 이레를 함께 머무니라 그래서 우리는 이와 같이 로마로 가니라

14 There we found some brothers and sisters who invited us to spend a week with them. And so we came to Rome.

28:15 그 곳 형제들이 우리 소식을 듣고 압비오 광장과 트레이스 타베르네까지 맞으러 오니 바울이 그들을 보고 하나님께 감사하고 담대한 마음을 얻으니라

15 The brothers and sisters there had heard that we were coming, and they traveled as far as the Forum of Appius and the Three Taverns to meet us. At the sight of these people Paul thanked God and was encouraged.

28:16 우리가 로마에 들어가니 바울에게는 자기를 지키는 한 군인과 함께 따로 있게 허락하더라

16 When we got to Rome, Paul was allowed to live by himself, with a soldier to guard him.

28:17 사흘 후에 바울이 유대인 중 높은 사람들을 청하여 그들이 모인 후에 이르되 여러분 형제들아 내가 이스라엘 백성이나 우리 조상의 관습을 배척한 일이 없는데 예루살렘에서 로마인의 손에 죄수로 내준 바 되었으니

17 Three days later he called together the local Jewish leaders. When they had assembled, Paul said to them: “My brothers, although I have done nothing against our people or against the customs of our ancestors, I was arrested in Jerusalem and handed over to the Romans.

28:18 로마인은 나를 심문하여 죽일 죄목이 없으므로 석방하려 하였으나

18 They examined me and wanted to release me, because I was not guilty of any crime deserving death.

28:19 유대인들이 반대하기로 내가 마지 못하여 가이사에게 상소함이요 내 민족을 고발하려는 것이 아니니라

19 The Jews objected, so I was compelled to make an appeal to Caesar. I certainly did not intend to bring any charge against my own people.

28:20 이러하므로 너희를 보고 함께 이야기하려고 청하였으니 이스라엘의 소망으로 말미암아 내가 이 쇠사슬에 매인 바 되었노라

20 For this reason I have asked to see you and talk with you. It is because of the hope of Israel that I am bound with this chain.”

28:21 그들이 이르되 우리가 유대에서 네게 대한 편지도 받은 일이 없고 또 형제 중 누가 와서 네게 대하여 좋지 못한 것을 전하든지 이야기한 일도 없느니라

21 They replied, “We have not received any letters from Judea concerning you, and none of our people who have come from there has reported or said anything bad about you.

28:22 이에 우리가 너의 사상이 어떠한가 듣고자 하니 이 파에 대하여는 어디서든지 반대를 받는 줄 알기 때문이라 하더라

22 But we want to hear what your views are, for we know that people everywhere are talking against this sect.”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All roads lead to Rome


이 말은 당시 로마 제국의 패권이 얼마나 위대했는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실제로 로마 제국 시대에 주요 도로가 로마를 향하여 있었기 때문에 생겨난 말입니다.

아피아 가도Via Appia는 고대 로마 시대에 만들어진 도로로, 로마와 이탈리아 남동쪽 지역에 위치해 있는 브린디시Brindisi를 연결하는 길입니다. 로마의 감찰관이었던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Appius Claudius Caecus가 기원전 312년경, 삼니움 전쟁 중에 군사 목적으로 도로를 만든 것이 그 기원으로, 아피아 가도라는 이름도 그의 이름으로부터 유래한 것입니다.

기원전 73년, 카푸아에서 스파르타쿠스 전쟁으로 알려진 반란이 있었습니다. 실패로 끝난 이 반란에서 포로가 된 노예 6천 명은 모두 십자가형에 처해졌는데, 로마 사람들은 아피아 가도를 따라 로마에서 카푸아까지 이르는 200km(120mile)에 달하는 도로변에 반역자들의 시신을 늘어놓았습니다.

1960년 하계 올림픽에서 아피아 가도는 남자 마라톤 코스의 일부가 되었으며, 에티오피아의 아베베 비킬라가 금메달을 차지하였습니다. 사도는 바로 이 길을 통하여 로마로 갑니다.


All roads lead to Rome


This saying illustrates how great the dominance of the Roman Empire was at that time, while also being a reference to the fact that major roads during the Roman Empire era were oriented toward Rome itself.

The Appian Way is an ancient road built during the Roman era, connecting Rome to Brindisi in the southeast region of Italy. It was constructed for military purposes during the Samnite Wars around 312 BC by Appius Claudius Caecus, a Roman censor. The road's name of the Appian Way is derived from his name.

In 73 BC, there was a rebellion known as the Spartacus Revolt in Capua. After the failure of this revolt, the bodies of 6,000 captured slaves were crucified along the 200 km (120 mile) stretch of the road, which extended from Rome to Capua.

During the 1960 Summer Olympics, a section of the Appian Way was part of the men's marathon course, and Ethiopian athlete Abebe Bikila won the gold medal by running along this road. It is said that the apostle Paul also traveled this road to reach Rome.



로마로 가는 길 (11~15절)

바울 일행은 새로운 알렉산드리아 배를 타고 멜리데 섬을 떠납니다.

배의 앞머리에 장식하는 선수상 또는 기호Figure Head가 디오수구로(쌍둥이 형제)입니다. 이것은 제우스(주피터)와 스파르타의 여왕 레다 사이에 태어난 쌍둥이 아들 카스토르와 폴록스를 가리킵니다.

그들의 쌍둥이별 자리가 제미니인데, 사람들은 그가 폭풍 중에서도 항해를 지켜준다고 믿었습니다.


산들바람과 쌍둥이 형제는 에게 해의 거친 포효 가운데서도 나의 작은 배를 해변으로 보낼 것이다.

라틴 시인 Horace, 서정시들 Odes


The Road to Rome (Verses 11-15)

Paul and his companions depart from Malta on a new Alexandrian ship.

The figurehead at the ship's prow represents Castor and Pollux, also known as the Dioscuri - twin brothers born to Zeus and Leda, representing the Gemini constellation. It was believed that they protected sailors even in storms.


"Even though fierce Boreas shall roar on the shore, I will send you safe on a gentle gale."

Horace, Odes



누가는 이것을 기록함으로 폭풍속에서 바울 일행을 지켜 주신 분이 누구인지를 다시 상기시키려는 듯합니다. 바울 일행은 시칠리아의 가장 중요한 도시이자 유레카를 외쳤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의 고향인 수라구사Syracuse (현재는 시라쿠사Syracusa)에서 바람 때문에 사흘을 머뭅니다.

그들은 해안선을 끼고 이탈리아 반도 남쪽 끝에 위치한, 지금은 폐항한 레기온Rhegium에 이릅니다.

다음날 현재 나폴리지역 포주올리Pozzuoli인 보디올Puteoli에 도착합니다. 200mile(320km)이나 되는 거리를 쉽게 왔습니다. 꿈에 그리던 로마가 120마일(200km) 정도 밖에 안 남았습니다.

누가는 그래서 우리는 이와 같이 로마로 갔다! 고 말합니다.

수많은 고난과 역경, 위기 가운데 버틸 수 있었던 이유는 두 번의 계시, 곧 말씀(23:11; 27:24)입니다.

그렇습니다. 우리 모두는 로마로 가야 하는 존재입니다. 여기서 로마는 하나님의 뜻이요, 계획입니다.

오직 그 분의 뜻과 계획만이 설 것입니다. 두렵고, 무섭지만 분명한 것은 그 때 그 때 하나님께서 도움의 손길과 놀라운 이적으로 함께 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을 신뢰해야 합니다.


Luke seems to be recording this to remind us who the one protecting Paul and his companions in the storm is. They spend three days in Syracuse, the hometown of the mathematician Archimedes who shouted "Eureka!" (meaning "I found it!") and was imprisoned there. They then reach Rhegium, located at the southern tip of the Italian peninsula.

The next day, they arrive at Puteoli (Pozzuoli), a journey of around 320 km (200 miles) from Rhegium. They are now only about 200 km (120 miles) away from the long-awaited destination, Rome.

Luke then said, "And so we came to Rome

The reason they were able to endure numerous hardships and challenges was due to the two visions, the revelations (23:11; 27:24).

Indeed, we are all on a journey to Rome. Here, Rome symbolizes God's will and plan.

Only His will and plan will prevail. It's fearful and intimidating, but it was certain that God's guiding hand and miraculous interventions were with them throughout. Therefore, we must trust in God.



로마로 가는 길에 많은 위험과 고난이 있었지만, 동시에 또 수많은 동료와 도움의 손길이 있었습니다.

특별한 하나님의 은혜 중 하나가 바로 형제들입니다.

사도는 고린도에서 로마에 있는 성도들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편지를 보냈습니다.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곳이지만 힘과 마음 다해 로마에 있는 형제들에게 쓴 편지가 바로 로마서입니다.

그런데 수년 후에 로마로 가는 길목에서 예상치 못했던 힘을 얻습니다.

바로 항구 도시 보디올에서 믿음의 형제들을 만난 것입니다(14).

또한 로마에서 43마일(65km)이나 떨어진 압비오 광장으로 믿음의 형제들이 바울 일행을 맞으러 옵니다.

생각하지도 못했던 놀라운 환영에 사도 바울은 하나님께 감사하며 담대함을 얻게 됩니다(15).

바울이 직접 복음을 전한 적이 없지만 이미 복음은 바울보다 앞서 가고 있었던 것입니다.

바울이 복음을 전한 것이 아니라 바울이 복음을 따라갈 뿐입니다.


On the Road to Rome, there were many dangers and hardships, but also numerous companions and helping hands. One of God's special blessings is our fellow brothers and sisters.

Paul heard about the believers in Rome and wrote a letter to them, even though he had never been there. This letter is the Book of Romans.


Years later, unexpectedly, on the road to Rome, he gains strength from encountering the believers in Puteoli. Furthermore, Christian brothers came to meet Paul and his companions at Appii Forum, a surprising welcome that Paul could never have imagined. In response to this unexpected reception, the apostle Paul expresses gratitude to God and gains boldness (15). Although Paul himself hadn't directly preached the gospel, the gospel was already ahead of him. The gospel had outpaced Paul; he was merely following its path.



진격하는 복음 (16~22절)

사도 바울이 보디올과 압비오 광장, 트레이스 타베르네(세개의 여관)에서 로마의 성도들에게 환영을 받은 것은 마치 개선장군이 백성들의 환영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였습니다. 비록 죄수의 신분으로 쇠사슬에 매인 채로 압송 당하는 중이지만, 사실은 복음이 로마를 향하여 승리의 행진을 하는 것입니다.

로마에 도착한 바울은 굉장한 배려를 받습니다. 아마도 백부장 율리오의 영향이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시라기 보다는 차라리 한 명의 군인에게 호위를 받는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16).

그는 로마의 유력한 유대인들을 청하여 그들과 기독교에 대한 대화를 나눕니다(17).

결과는 믿는 사람과 믿지 않는 사람이 나뉩니다(24).

사도는 두 해 동안 자신의 셋집에 머물며 복음과 하나님의 나라를 전파합니다(30).


Marching Gospel (Verses 16-22):

Paul's welcome by the saints in Puteoli, the Appian Forum, and Three Taverns could be likened to a victorious general receiving the people's welcome. Despite being a prisoner in chains, he was marching with the victorious gospel toward Rome. His arrival in Rome was marked by great care, possibly influenced by the centurion Julius.

He wasn't so much under guard as under protection by a soldier (16). He gathers prominent Jewish leaders in Rome for a dialogue about Christianity (17).

The outcome is a division between believers and non-believers (24).

Paul stays for two years in his own house, proclaiming the gospel and the kingdom of God (30).



비록 사도 바울은 죄수의 신분으로 쇠사슬에 매인 바 되었지만(20), 복음은 절대 묶이지 않았습니다. 끊임없이 진격하는 것이 바로 복음입니다.

수많은 적그리스도들이 복음을 묶으려 했지만 단 한 명도, 단 한 순간도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혹시 복음이 내 안에만 묶여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봅시다.

찬란하게 수 천 년을 굽이 흐르던 생명의 강줄기가 혹시 나에게서 막히는 것은 아닌지 두렵습니다.

수많은 생명이 넘치는 갈릴리 호수와 그 어떤 생명체도 죽어 나가는 죽음의 바다인 사해의 차이는 단 하나입니다. 갈릴리 바다는 유입된 물이 요단강을 통해 흘러가지만, 사해는 물이 유입될 뿐 물을 흘러 보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어차피 그 복음의 생명 강물은 사도 바울과 같은 또 다른 누군가를 통해서 흘러 갈 것입니다.

우리가 또 다른 사도 바울과 같은 자가 되고 싶습니다. 그 영광에 참예하는 자가 되고 싶습니다.


Though Paul was a prisoner in chains (20), the gospel was never bound. It continued its relentless advance. Many adversaries tried to bind the gospel, but not one succeeded, not for a single moment. Yet, have we possibly bound the gospel within us? Reflect on that. The Galilee Sea, teeming with life, and the Dead Sea, void of life, differ by one thing. The Galilee Sea receives and gives out water through the Jordan River, while the Dead Sea only receives water without giving out. Eventually, that river of life-giving gospel will flow through someone else like it did through Paul.



비아 아피아는 로마가 제국의 정복을 위해 준비한 길입니다. 개선장군들이 환영을 받으며 들어오는 길이었습니다. 그런데 바울이 믿음의 형제들에게 환호를 받으며, 비아 아피아를 걸었습니다.

우리도 결국에는 하나님께서 각자에게 주신 로마로 가는 길을 걸어야 할 것입니다.

끝까지 완주하여, 승리합시다. 바울처럼 영광의 비아 아피아를 걸읍시다.


We all want to become someone like Paul. We want to share in that glory. Although Paul was in chains as a prisoner, the gospel was never bound. It is perpetually advancing. We must walk on the road God has assigned to each of us, just like the Via Appia to Rome. Let's run the race to the end and achieve victory. Just like Paul, let's walk the glorious Via Appia of the gospel.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