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30825 [새벽묵상] 나와 같이 되기를… | May Become What I Am... (행/Acts 26:24~32)



26:24 바울이 이같이 변명하매 베스도가 크게 소리 내어 이르되 바울아 네가 미쳤도다 네 많은 학문이 너를 미치게 한다 하니

24 At this point Festus interrupted Paul’s defense. “You are out of your mind, Paul!” he shouted. “Your great learning is driving you insane.”

26:25 바울이 이르되 베스도 각하여 내가 미친 것이 아니요 참되고 온전한 말을 하나이다

25 “I am not insane, most excellent Festus,” Paul replied. “What I am saying is true and reasonable.

26:26 왕께서는 이 일을 아시기로 내가 왕께 담대히 말하노니 이 일에 하나라도 아시지 못함이 없는 줄 믿나이다 이 일은 한쪽 구석에서 행한 것이 아니니이다

26 The king is familiar with these things, and I can speak freely to him. I am convinced that none of this has escaped his notice, because it was not done in a corner.

26:27 아그립바 왕이여 선지자를 믿으시나이까 믿으시는 줄 아나이다

27 King Agrippa, do you believe the prophets? I know you do.”

26:28 아그립바가 바울에게 이르되 네가 적은 말로 나를 권하여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려 하는도다

28 Then Agrippa said to Paul, “Do you think that in such a short time you can persuade me to be a Christian?”

26:29 바울이 이르되 말이 적으나 많으나 당신뿐 아니라 오늘 내 말을 듣는 모든 사람도 다 이렇게 결박된 것 외에는 나와 같이 되기를 하나님께 원하나이다 하니라

29 Paul replied, “Short time or long—I pray to God that not only you but all who are listening to me today may become what I am, except for these chains.”

26:30 왕과 총독과 버니게와 그 함께 앉은 사람들이 다 일어나서

30 The king rose, and with him the governor and Bernice and those sitting with them.

26:31 물러가 서로 말하되 이 사람은 사형이나 결박을 당할 만한 행위가 없다 하더라

31 After they left the room, they began saying to one another, “This man is not doing anything that deserves death or imprisonment.”

26:32 이에 아그립바가 베스도에게 일러 이르되 이 사람이 만일 가이사에게 상소하지 아니하였더라면 석방 될 수 있을 뻔하였다 하니라

32 Agrippa said to Festus, “This man could have been set free if he had not appealed to Caesar.”


 


몰입flow의 저자이자 그 후속편인 몰입의 즐거움이라는 책으로 유명한 시카고대학의 교수이며 심리학자인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ihaly Robert Csikszentmihalyi를 뉴욕타임스 매거진은 행복에 미친 남자로 표현했습니다.

그가 말하는 몰입은 무엇인가에 흠뻑 빠져 들어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자연스럽게 행동이 나오며, 심리적으로는 행복한 상태를 말합니다. 마치 물이 흐르듯 자연스럽다 하여 몰입을 flow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한국에서는 서울대 교수인 황농문 박사가 몰입Think Hard이라는 같은 제목의 책으로 집중의 힘에 대해서 말합니다. 사람이 무엇인가에 몰입하다 보면 그것이 재미있고, 시간 가는 줄 모르고, 그것을 잘하게 됩니다. 이것을 다른 말로 하면 집중력이라고 할 수 있고, 좀 더 쉬운 표현으로 하면 무엇인가에 미쳤다고 표현합니다.


Mihaly Csikszentmihalyi, a professor and psychologist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famous as the author of both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and its sequel "The Joy of Flow," was described by The New York Times magazine as a man obsessed with happiness. His concept of "flow" refers to being completely immersed in an activity, losing track of time, and experiencing a natural, effortless behavior, which leads to a psychologically happy state. This state is often referred to as "flow" because it resembles the seamless movement of water.

In South Korea, Dr. Hwang Nong-moon, a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iscusses the power of concentration in his book "Think Hard," using the same concept of "flow." He explains that when people become deeply engaged in something, they find it enjoyable, lose track of time, and become skilled at it. This can also be referred to as having strong focus or being passionately engrossed in something.



광인 (24-27절)

오늘 본문에도 미친 사람, 곧 광인 狂人이 등장합니다.

로마 사람 베스도 총독은 바울의 간증을 듣고는 어이없어 하며, 바울아 네가 미쳤도다 네 많은 학문이 너를 미치게 한다 라고 소리칩니다(24).

그는 바울의 많은 학문과 지식은 분명히 인정했습니다. 하지만 유대인 종교의 문외한인 그는 바울이 그 많은 학문 때문에 미쳤다고 생각하고 탄성을 지른 것입니다.

그러자 바울은 베스도에게 정중하게 자신의 정신이 온전함을 주장합니다.

그는 자신의 말이 참되고 온전한 말(25)이라고 주장합니다.

헬라어로는 소프로쉬네스인데, 이것은 건전하고 정상적인 마음이라는 의미입니다.

베스도가 말하는 의미로 바울이 미쳤나요? 아닙니다. 바울은 아그립바에게 되묻습니다.

이 일은 당신도 알고 있는 사실 아닌가요? 여기서 말하는 이 일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입니다.


"Insane" (Verses 24-27)

In today's passage, the term "insane" is mentioned. The Roman governor Festus reacts to Paul's testimony with disbelief and exclaims, "Paul, you are out of your mind; your great learning is driving you insane!" (Verse 24). While Festus acknowledges Paul's extensive knowledge and learning, he attributes Paul's behavior to his vast education and suggests that it has driven him to madness,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someone unfamiliar with Jewish religious matters.

In response, Paul asserts to Festus that his words are those of truth and soundness of mind (Verse 25). In Greek, he uses the term "σωφροσύνη" (sophrosyne), which conveys the idea of a wholesome and well-balanced mind. Paul questions Festus' suggestion by redirecting the conversation towards King Agrippa. He asks if Agrippa is familiar with the events he is discussing. Here, the events refer to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n established fact within Jewish society.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은 이미 유대 사회에서는 기정 사실이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사건은 예루살렘 한쪽 구석에서 벌어진 일이 아닙니다(26).

온 세상이 다 알 정도로 떠들썩 했던 사건이기에 유대의 왕인 아그립바2세가 절대로 모를 수 없습니다.


한편 바울이 정신적으로 미친 것은 아니지만, 그의 삶이 그리스도에게 미친 것(헌신된 것)은 사실입니다.


우리가 만일 미쳤어도 하나님을 위한 것이요 정신이 온전하여도 너희를 위한 것이니 (고후 5:13)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were widely recognized as factual events, not limited to a corner of Jerusalem (Verse 26). Given the global significance of these events, King Agrippa II, a Jewish ruler, could not have been unaware of them (Verse 27).


On the other hand, it's mentioned that while Paul might not be mentally "mad," his life is certainly dedicated, or "madly devoted," to Christ. This indicates his unwavering commitment to the cause of Christ.


If we are “out of our mind,” as some say, it is for God; if we are in our right mind, it is for you. (2 Corinthians 5:13)



사람들은 무엇엔가 미치도록 되어 있습니다. 요즘에는 취미에 몰입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일종의 자기자신에 대한 사랑인 에고이즘이 더욱 커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명의 허준은 사람의 변을 맛보며 건강을 체크하고, 연구를 했다고 합니다. 미친 것입니다.

사람이 미치려면 제대로 된 것에 미쳐야 합니다.

거의 대부분 각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이 하는 그것에 미친 사람들이었습니다.

서론에 표현을 빌리자면 무엇인가에 몰입한 사람들이었습니다. 제자훈련에 몰입했던 옥한흠 목사 역시 광인론을 주장했습니다. 또한 세례 요한도, 바울도 모두 미친 사람 취급을 받았습니다.

사람들은 심지어 예수님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그 중에 많은 사람이 말하되 그가 귀신 들려 미쳤거늘 어찌하여 그 말을 듣느냐 하며 (요 10:20)


People are inclined to become passionate about something. Nowadays,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individuals deeply engaged in their hobbies. A trend of growing self-love and egoism is emerging. The famous Heo Jun even checked people's pulses to monitor their health and conducted research. That's extraordinary dedication. To become 'mad,' a person must be passionately devoted to something meaningful. In almost every field, those who have succeeded were individuals fervently dedicated to what they do. To borrow an introductory expression, they were individuals immersed in something. Even Pastor Ok Han-heum, who devoted himself to disciple training, advocated the idea of being 'madly devoted.' Additionally, figures like John the Baptist and Paul were also treated as if they were 'mad.'

People even said similar things about Jesu


Many of them said, “He is demon-possessed and raving mad. Why listen to him?” (John 10:20)



모두 나와 같이 되기를 원하나이다 (27-32절)

바울은 아그립바2세도 선지자를 믿는다고 알고 있음을 말합니다.

왜냐하면 아그립바는 분봉왕으로서 유대 제사장을 임명하고 성전을 지키는 책임자입니다.

그러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어찌 선지자를 믿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당연히 믿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당연히 예수님의 죽으심과 부활도 믿어야 하는데, 사실 아그립바는 믿음이 없는 듯 보입니다.

따라서 이 말은 일종의 도전이나 약간의 비아냥으로 들릴 수 있었을 것입니다.

당신의 위치로서 당연히 예수님을 믿어야 하는 것 아니냐!?라는 아그립바를 향한 바울의 도전입니다.

이에 아그립바는 적은 말로 나를 권하여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려 하는구나!라고 답합니다(28).


"May Become What I Am" (Verses 27-32)

Paul declares that he knows King Agrippa II believes in the prophets. This is because Agrippa holds a significant position as a regional ruler responsible for the appointment of Jewish high priests and the oversight of the temple. It would be expected for someone in his position to have faith in prophets. Therefore, it logically follows that he should also believe in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However, Agrippa appears to lack such faith, and Paul's words might have carried an element of challenge or even mockery.

Paul challenges Agrippa, essentially asking, "Shouldn't you, given your position, naturally believe in Jesus?" It's a provocative statement aimed at Agrippa. In response, Agrippa curtly replies that Paul is trying to persuade him to become a Christian (Verse 28).



바울의 의도를 간파한 것입니다. 바울은 자신의 속내를 당당하게 밝힙니다. 말이 짧든지 길든지 자신의 말을 듣는 모든 자가 결박 당한 것 외에는 자신처럼 되기를 바란다는 것입니다(29).

왜소하고 초라한 죄인 사도바울은 모든 권세가들 앞에서 자신의 결박 당한 손을 들어 보이며, 이것 외에는 모두 나와 같이 되기를 원한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얼마나 당당하고, 얼마나 확신에 찬 말입니까?!

이것은 육신의 손을 결박 당한 죄수가 보이지 않는 죄의 사슬에 묶여 있는 권세가들에게 영적 자유로 초대를 하는 것입니다.

아그립바2세는 그의 발언을 듣고 그가 무죄임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이미 가이사에게 상고하였기에 어쩔 수 없이 가이사에게 보내야 합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Agrippa seems to have caught onto Paul's intention. Paul confidently and boldly reveals his underlying motivation. Whether through a concise or lengthy statement, his words convey a desire for all who hear him, aside from the fact that they are in chains, to become like him (Verse 29).

Paul, a humble and modest sinner, shows his resolve by raising his bound hands in front of all those in authority. Beyond these chains, his fervent wish is for everyone to share his perspective and convictions (Verse 29). How confident and assertive his words are! This is an invitation, extended from the spiritual freedom of one bound in physical chains to the authorities who hold him captive.

Agrippa II acknowledges that Paul is innocent after hearing his speech. Nevertheless, due to Paul's appeal to Caesar, he must be sent to Caesar for judgment. The question arises: Why did things turn out this way?



먼저는 정치적인 이유로 총독들의 비겁함 때문입니다.

항상 정치인들, 권력자들의 직무유지, 태만은 백성들의 고통과 억울함으로 연결됩니다.

베스도는 유대 지도자들의 눈치를 보며 바울에게 예루살렘에 가서 재판 받을 것을 권유했습니다(행 25:9). 길 중간에서 자신을 테러 하려는 유대인의 속셈을 아는 바울은 어쩔 수 없이 가이사에게 상소한 것입니다.

다음은 영적인 이유로 바울의 소명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그를 이방의 높은 자들에게까지 복음을 전하는 일군으로 사용하실 계획이었습니다.

지금 본문도 누가 재판을 받고 있는지 분간이 안 갈 정도입니다. 왕인 아그립바도 자신이 오히려 전도 당하고 있음을 눈치 챘습니다(28).

사실은 모든 권세가들은 하나님의 법정 앞에 서있었던 것은 아닐까요?


Firstly, due to political reasons and the cowardice of the governors, this situation has unfolded. The preservation of politicians and those in power is often linked to the suffering and injustice of the people they govern. Festus, for instance, being wary of Jewish leaders, advised Paul to go to Jerusalem for trial (Acts 25:9). Aware of the Jewish plot to ambush him on the way, Paul was compelled to appeal to Caesar.

Secondly, the spiritual reason behind this is related to Paul's divine calling. God intended to use Paul as a vessel to spread the Gospel even to the highest ranks of the Gentiles. In fact, the context of the passage makes it clear who is on trial. Even King Agrippa realized that he was, in a sense, becoming the recipient of Paul's preaching (Verse 28). In truth, could it be said that all those in authority stand before the court of God?


인생이 때로는 꼬이고 얽힐 때가 있지만, 주님 안에 거하기만 한다면 제대로 가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고민해야 하는 것은 나는 무엇에 몰입하고 있는가?입니다.

나는 무엇에 미쳐서 나의 시간과 힘을 집중하여 쓰고 있습니까? 과연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입니까?


Life can sometimes become tangled and complicated, but as long as we abide in the Lord, things are progressing as they should. What we should be contemplating is what am I deeply engaged in? What am I so passionate about that I am investing my time and energy into it? Are these things truly worth the effort?

Comentá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