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30726 [새벽묵상] 오직 은혜로 | Grace Alone (행/Acts 15:1~11)



15:1 어떤 사람들이 유대로부터 내려와서 형제들을 가르치되 너희가 모세의 법대로 할례를 받지 아니하면 능히 구원을 받지 못하리라 하니

1 Certain people came down from Judea to Antioch and were teaching the believers: “Unless you are circumcised, according to the custom taught by Moses, you cannot be saved.”

15:2 바울 및 바나바와 그들 사이에 적지 아니한 다툼과 변론이 일어난지라 형제들이 이 문제에 대하여 바울과 바나바와 및 그 중의 몇 사람을 예루살렘에 있는 사도와 장로들에게 보내기로 작정하니라

2 This brought Paul and Barnabas into sharp dispute and debate with them. So Paul and Barnabas were appointed, along with some other believers, to go up to Jerusalem to see the apostles and elders about this question.

15:3 그들이 교회의 전송을 받고 베니게와 사마리아로 다니며 이방인들이 주께 돌아온 일을 말하여 형제들을 다 크게 기쁘게 하더라

3 The church sent them on their way, and as they traveled through Phoenicia and Samaria, they told how the Gentiles had been converted. This news made all the believers very glad.

15:4 예루살렘에 이르러 교회와 사도와 장로들에게 영접을 받고 하나님이 자기들과 함께 계셔 행하신 모든 일을 말하매

4 When they came to Jerusalem, they were welcomed by the church and the apostles and elders, to whom they reported everything God had done through them.

15:5 바리새파 중에 어떤 믿는 사람들이 일어나 말하되 이방인에게 할례를 행하고 모세의 율법을 지키라 명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라

5 Then some of the believers who belonged to the party of the Pharisees stood up and said, “The Gentiles must be circumcised and required to keep the law of Moses.”

15:6 사도와 장로들이 이 일을 의논하러 모여

6 The apostles and elders met to consider this question.

15:7 많은 변론이 있은 후에 베드로가 일어나 말하되 형제들아 너희도 알거니와 하나님이 이방인들로 내 입에서 복음의 말씀을 들어 믿게 하시려고 오래 전부터 너희 가운데서 나를 택하시고

7 After much discussion, Peter got up and addressed them: “Brothers, you know that some time ago God made a choice among you that the Gentiles might hear from my lips the message of the gospel and believe.

15:8 또 마음을 아시는 하나님이 우리에게와 같이 그들에게도 성령을 주어 증언하시고

8 God, who knows the heart, showed that he accepted them by giving the Holy Spirit to them, just as he did to us.

15:9 믿음으로 그들의 마음을 깨끗이 하사 그들이나 우리나 차별하지 아니하셨느니라

9 He did not discriminate between us and them, for he purified their hearts by faith.

15:10 그런데 지금 너희가 어찌하여 하나님을 시험하여 우리 조상과 우리도 능히 메지 못하던 멍에를 제자들의 목에 두려느냐

10 Now then, why do you try to test God by putting on the necks of Gentiles a yoke that neither we nor our ancestors have been able to bear?

15:11 그러나 우리는 그들이 우리와 동일하게 주 예수의 은혜로 구원 받는 줄을 믿노라 하니라

11 No! We believe it is through the grace of our Lord Jesus that we are saved, just as they are.”


 

오늘 본문은 교회사/교회정치/신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건입니다.

교회사/교회정치와 신학적인 두가지 입장에서 살펴보겠습니다.


Today's passage is a very important event in church history, church politics, and theology. Let's examine it from two perspectives: Church History/Church Politics and Theology



질서 있는 교회

바울과 바나바가 목회를 하고 있던 안디옥교회에 다툼이 발생합니다.

문제의 발단(1~3)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떤 유대주의 기독교인들이 유대로부터 안디옥에 와서 이방인의 할례와 율법 준수를 구원의 조건으로 내세웠습니다(1). 하지만 바울과 바나나는 이러한 그들의 신학에 동의할 수 없었습니다. 당연합니다. 성경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초대교회는 아직 신학이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수세기를 걸쳐 신학의 기틀이 완성되었고, 지금 우리 시대에는 많은 부분이 무엇이 옳고 그른지 확정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참으로 은혜의 시대를 살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An orderly church

A conflict arises in the church in Antioch where Paul and Barnabas were ministering. The issue (1-3) is as follows: Some Jewish Christians came from Judea to Antioch and demanded that Gentiles must be circumcised and follow the Law to be saved. However, Paul and Barnabas could not agree with this theological stance. This was obvious. Because it was not in line with the Scriptures.



이 사안을 놓고 바울과 바나바는 유대인들과 큰 다툼과 변론을 하게 됩니다(2).

우리는 이 문제의 답을 알고 있지만 그때에는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바나바와 바울이 이 문제에 대해서 좋은 것이 좋은 것이다 하며 양보해서도 안 됩니다.

결국 그들은 모교회인 예루살렘 교회에 상소하기로 결정하고 몇 사람을 데리고 예루살렘 교회에 방문합니다.

여기에서 교회 정치의 질서가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안디옥 교회는 이 구원의 문제를 총회에 상소하기로 했고, 그로인하여 제1차 예루살렘 총회가 시작됩니다. 안건은 이방인의 구원과 율법의 관계였습니다.

교회는 이 질서가 살아있을 때 건강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사건이 교회사적으로나 정치적으로 갖는 큰 의미는 바로 이러한 교회의 질서를 세웠다는 것입니다.


Paul and Barnabas engage in a heated dispute with these Jewish Christians (2). Although we know the answer to this issue now, back then, such conflicts were inevitable.

Furthermore, Barnabas and Paul did not compromise, insisting that what is right must remain right. Eventually, they decided to bring this matter to their mother church, the church in Jerusalem, and visited with some others. It is here that the order of church politics was born. The church in Antioch decided to present this issue of salvation to the council, leading to the first Jerusalem Council. The agenda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salvation and the Law. The church can maintain its health when such order is alive.



오늘날 개 교회에는 당회, 상위 기관으로 노회, 그리고 노회가 모여서 총회를 구성합니다.

물론 교파별로 다양한 형태의 정치가 존재합니다.

1) 감독 정치(監督 政治) : 성공회, 감리교, 성결교

2) 교황 정치(敎皇 政治) : 카톨릭

3) 장로 정치(長老 政治) : 회중정치, 대의정치, 장로교와 개혁 교회

4) 회중 정치(會衆 政治) : 그리스도의 교회와 침례 교회의 정치 형태, 회중정치의 극단

5) 에라스티안파(The Erastian) 정치 : 독일과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6) 국가 교회 정치(國家 敎會 政治) : 국가 전체 교회의 지배를 받는다.

7) 무교회 주의(武敎會主義) : 조직체적 교회는 불필요하다고 보는 퀘이커파Quakers, 다비파Darbyites


The significant meaning of this event, both historically and politically, is that it established the order of the church. Today, various churches have different levels of governing bodies, such as assemblies, presbyteries, and general councils. Of course, there are various forms of church politics within different denominations.

1) Episcopal governance: Anglican, Methodist, Episcopal churches.

2) Papal governance: Catholic.

3) Presbyterian governance: Congregational polity, representative polity, Presbyterian and Reformed churches.

4)Congregational governance: Congregationalist and Baptist churches, extreme form of congregationalism.

5) Erastianism: Germany, Scotland, England.

6) State Church governance: Dominated by the state as the governing body of the entire church.

7) Non-church governance: Quakers, Darbyites, who consider organized church unnecessary.


어느 것이 옳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목사나 어떤 한 사람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크면 그만큼 위험성이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그 한사람이 잘못 생각하며 교회가 무너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히려 회중들이 더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가 오늘 열린 현대 사회에 더 적합하다 생각합니다.


It is not for us to say which is right or wrong. However,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potential dangers of excessive reliance on a pastor or any individual. If that person thinks wrongly, the church may collapse. Therefore, a form where the congregation can have more direct influence seems more suitable for today's open society.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지금 안디옥 교회의 가장 큰 문제는 바리새적인 신앙의 도전입니다.

만일 율법이 구원의 조건이 된다면 그것은 이단입니다.

이러한 도전은 오늘날 교회 안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사탄의 영향력입니다.

구원을 사람의 외모나 눈에 보여지는 행위로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내면에 있는 것들이 외적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기에 보여지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문제는 얼마든지 그것을 속일 수 있는 것이 부패한 인간들의 속성이라는 것입니다. 위선과 가식입니다.


화 있을진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잔과 대접의 겉은 깨끗이 하되

그 안에는 탐욕과 방탕으로 가득하게 하는도다 (마 23:25)


Faith Alone, Grace Alone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in the church in Antioch now is the challenge of faith by the Pharisees. If the Law becomes a condition for salvation, it becomes a cult. This challenge is the influence of Satan that still exists in the church today. Judging salvation based on external appearances or visible actions is the issue. Of course, what is inside will inevitably be revealed externally, making the visible aspect important. The problem is that human nature is corrupt and can deceive. Humans are hypocritical and two-faced.


"Woe to you, scribes and Pharisees, hypocrites! For you clean the outside of the cup and the plate, but inside they are full of greed and self-indulgence." (Matthew 23:25)



여기서 주님이 말씀하시는 핵심은 겉이 깨끗한 것이 문제가 아니라, 겉만 깨끗한 것이 문제라는 것입니다.

예루살렘 총회 역시 격론을 벌입니다(7). 그리고 베드로가 일어나 결정적인 증언을 합니다(11).

하나님은 이 때를 위하여 베드로에게 고넬료 사건을 허락하신 것입니다.

구원은 오직 주 예수의 은혜로 받음을 믿습니다!

여기서 종교개혁자들의 모토인 오직 믿음 Sola Fide, 오직 은혜 Sola Gratia가 나왔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영원히 지켜 나가야 할 우리의 신학의 정수입니다.

바로 이 초대교회 예루살렘 총회의 격론을 통해서 최고의 신학인 이신칭의 교리가 확립된 것입니다.

이처럼 때론 이러한 격론의 과정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The key point here is that the problem is not having a clean exterior, but having only a clean exterior. The Jerusalem Council also engages in debate (7), and Peter gives a decisive testimony (11). God allowed Peter to have this interaction with Cornelius for this exact time. Salvation is believed to be by the grace of Jesus alone! It is during this Jerusalem Council that the motto of the Reformation leaders emerged: "Sola Fide" (Faith Alone) and "Sola Gratia" (Grace Alone). This is the essence of our theology that we must always uphold. Through the debate at the first Jerusalem Council of the early church,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by faith was established. Indeed, at times, the process of such debates is necessary.



지금 우리가 겪는 여러 논의와 논쟁도 결국 나중에는 교회의 철학이 되고, 뼈대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의견으로 생각을 나누고, 대화하며, 토론하는 것을 무조건 나쁘게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그 논쟁이나 불편한 자리를 피하려고 진리를 놓치는 것이 더 무서운 것입니다.

질서 안에서 우리 안에 진실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이것은 하나되어 가는 과정입니다.

교회에서 섬김과 봉사를 하는 과정에서도 의논과 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고백만은 잊지 말아야 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주 예수의 은혜로 구원받는 것을 믿노라!입니다.

우리의 구원이 은혜로 얻는 것이고, 우리의 관계 또한 오직 은혜로 세워가야 합니다.

서로 다른 생각과 견해를 서로 사랑과 은혜 취합하여 한 마음, 한 뜻이 되는 한사랑교회가 됩시다.


The various discussions and debates we encounter today will eventually become the philosophy and backbone of the church.

Not all debates, conversations, sharing different ideas are bad.

What’s worse is avoiding these hard conversations and losing our truth amidst chaos.

We need genuine discussions within ourselves to be orderly. It is a process of coming together as one. Even in the process of serving and ministering in the church, discussions and debates are necessary. However, we must never forget this confession: Everyone must believe in salvation through the grace of Jesus alone! Our salvation is obtained through grace, and our relationships are also built solely on grace.

Let us combine different thoughts and perspectives with love and grace to become Hansarang Church, united in one heart and one mind.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