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b9f68def0aca4411b72bb348ec01a3a3~mv2.png/v1/fill/w_848,h_494,al_c,q_90,enc_auto/aa39ed_b9f68def0aca4411b72bb348ec01a3a3~mv2.png)
9:32 그 때에 베드로가 사방으로 두루 다니다가 룻다에 사는 성도들에게도 내려갔더니
32 As Peter traveled about the country, he went to visit the Lord’s people who lived in Lydda.
9:33 거기서 애니아라 하는 사람을 만나매 그는 중풍병으로 침상 위에 누운 지 여덟 해라
33 There he found a man named Aeneas, who was paralyzed and had been bedridden for eight years.
9:34 베드로가 이르되 애니아야 예수 그리스도께서 너를 낫게 하시니 일어나 네 자리를 정돈하라 한 대 곧 일어나니
34 “Aeneas,” Peter said to him, “Jesus Christ heals you. Get up and roll up your mat.” Immediately Aeneas got up.
9:35 룻다와 사론에 사는 사람들이 다 그를 보고 주께로 돌아오니라
35 All those who lived in Lydda and Sharon saw him and turned to the Lord.
9:36 욥바에 다비다라 하는 여제자가 있으니 그 이름을 번역하면 도르가라 선행과 구제하는 일이 심히 많더니
36 In Joppa there was a disciple named Tabitha (in Greek her name is Dorcas); she was always doing good and helping the poor.
9:37 그 때에 병들어 죽으매 시체를 씻어 다락에 누이니라
37 About that time she became sick and died, and her body was washed and placed in an upstairs room.
9:38 룻다가 욥바에서 가까운지라 제자들이 베드로가 거기 있음을 듣고 두 사람을 보내어 지체 말고 와 달라고 간청하여
38 Lydda was near Joppa; so when the disciples heard that Peter was in Lydda, they sent two men to him and urged him, “Please come at once!”
9:39 베드로가 일어나 그들과 함께 가서 이르매 그들이 데리고 다락방에 올라가니 모든 과부가 베드로 곁에 서서 울며 도르가가 그들과 함께 있을 때에 지은 속옷과 겉옷을 다 내보이거늘
39 Peter went with them, and when he arrived he was taken upstairs to the room. All the widows stood around him, crying and showing him the robes and other clothing that Dorcas had made while she was still with them.
9:40 베드로가 사람을 다 내보내고 무릎을 꿇고 기도하고 돌이켜 시체를 향하여 이르되 다비다야 일어나라 하니 그가 눈을 떠 베드로를 보고 일어나 앉는지라
40 Peter sent them all out of the room; then he got down on his knees and prayed. Turning toward the dead woman, he said, “Tabitha, get up.” She opened her eyes, and seeing Peter she sat up.
9:41 베드로가 손을 내밀어 일으키고 성도들과 과부들을 불러 들여 그가 살아난 것을 보이니
41 He took her by the hand and helped her to her feet. Then he called for the believers, especially the widows, and presented her to them alive.
9:42 온 욥바 사람이 알고 많은 사람이 주를 믿더라
42 This became known all over Joppa, and many people believed in the Lord.
9:43 베드로가 욥바에 여러 날 있어 시몬이라 하는 무두장이의 집에서 머무니라
43 Peter stayed in Joppa for some time with a tanner named Simon.
누가는 베드로를 중심으로 한 초대교회 이야기를 써 내려가다가 스데반, 빌립 집사의 선교를 그리고 사울의 회심을 기록하다가, 다시 베드로의 순회 심방 이야기를 기록합니다.
천지를 개벽하는 사울의 회심 사건에 비해서 어쩌면 본문에 등장하는 평신도 애니아나 다비다와 같은 과부는 무명에 가까운 존재들이지만 누가는 이러한 기법을 통하여 지금도 지구 구석구석에서 하나님의 역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려줍니다.
오늘 본문은 베드로가 사방으로 두루 다니다가 룻다에 사는 성도들에게 내려갔더니(32)라고 시작합니다.
베드로는 사울의 박해로 말미암아 각처에 흩어진 유대인 성도들을 심방 했다는 것입니다.
오늘날 서구의 교회들은 심방보다는 상담위주의 목회를 지향합니다. 하지만 성경적으로 볼 때 심방은 매우 중요한 사역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남가주 토렌스 중앙교회 담임목사였던 이순한 목사는 심방의 중요성을 주일 설교가 곡사화기라면 심방설교는 직사화기라 할 수 있다 말하여 강조했습니다.
아무튼 사도행전 9, 10장에 걸쳐서 베드로는 3개 지역(룻다, 욥바, 가이사랴)을 순회하며 성도들을 위로하고 격려합니다. 오늘 본문에서는 3개 지역 중에 앞에 두 지역을 중심으로 한 베드로의 사역을 살펴보면서 누가가 이러한 사역을 통하여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겠습니다.
While writing a narrative about the early church centered around Peter, Luke records the missions of Stephen and Philip, as well as Saul's conversion, but then returns to documenting Peter's missionary journeys. In comparison to Saul's dramatic conversion, individuals like Aeneas and Tabitha, who appear in today’s passage and are considered ordinary believers, may seem insignificant. However, through such works, Luke reveals that God's work is still happening in every corner of the earth.
Today's passage begins by stating that Peter traveled about the country, he went to visit the Lord’s people who lived in Lydda (32). This means that Peter engaged in pastoral visits to Jewish saints who had been scattered due to Saul's persecution.
Contemporary Western churches tend to focus more on counseling-oriented ministry rather than pastoral visits.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pastoral visits are a very important ministry from a biblical perspective. Pastor Soon-han Lee, who served as the senior pastor of Torrance Central Church in Californi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astoral visits by stating that if Sunday sermons can be likened to still images, pastoral sermons can be likened to moving pictures.
Anyway, in Acts 9 and 10, Peter travels through three regions (Lydda, Joppa, and Caesarea), comforting and encouraging the saints. In today's passage, we will examine Peter's ministry centered around the first two regions to understand what Luke intends to convey through such ministry.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9fd0eb14f68b438ebd3df949c566dd94~mv2.png/v1/fill/w_753,h_560,al_c,q_90,enc_auto/aa39ed_9fd0eb14f68b438ebd3df949c566dd94~mv2.png)
다른 증상
오늘 본문에는 다른 두 증상의 환자가 등장합니다.
먼저 등장하는 인물은 룻다라는 지역에 애니아라는 성도로 그의 이름의 의미는 칭찬받는 자입니다.
그는 8년째 침상 생활을 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중풍병 때문이었습니다.
의사인 누가는 병에 관련하여 앓아온 햇수를 기록하는데, 누운 지 여덟 해라(33b)라고 기록합니다. 그런데 이것을 직역하면, 여덟 살부터 로도 번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린 나이에 중풍이 걸리는 것은 드문 일입니다. 그러므로 그가 8년 동안 중풍을 앓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옳은 해석일 것입니다. 애니아가 8년을 움직이지 못했다는 것이 의사 누가의 증언입니다.
Different Symptoms
In today's passage, two patients with different symptoms appear. The first character to appear is a saint named Aeneas from the region of Lydda. The meaning of his name is 'praised one.' He has been bedridden for eight years due to a stroke.
The physician Luke records the duration of his illness, stating that he has been bedridden for eight years (33b). However, a literal translation of this phrase can be 'from the age of eight.' But it is rare for someone to have a stroke at a young age. Therefore, it is a more appropriate interpretation to understand that he had been suffering from a stroke for eight years. Aeneas being immobile for eight years is the testimony of the physician Luke.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6ac6aa0e734f4006a3b5f6ec7077d8c9~mv2.png/v1/fill/w_980,h_735,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aa39ed_6ac6aa0e734f4006a3b5f6ec7077d8c9~mv2.png)
또 다른 성도는 유대인 여제자인 다비다(히브리식 아람어 이름)인데, 헬라어로는 도르가(가젤, 노루)입니다. 그녀는 부자였고 과부였을 가능성이 큽니다. 누가는 그녀가 선행과 구제하는 일이 심히 많은 제자였다고 소개합니다(36). 도대체 얼마나 구제와 선행을 해야 이런 찬사를 받을 수 있을까요?
아마도 그녀는 과부들과 함께 바느질을 하며 속옷과 겉옷을 지어 팔아 구제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이런 착하고 성실하고 경건한 여제자가 죽었습니다. 무슨 병인지 누가도 모릅니다.
저와 아내는 모두 맹장 수술을 했습니다. 저는 초등학교 3학년 때, 아내는 2018년에 수술을 했습니다. 맹장은 옛날 같으면 죽었을 병입니다. 시대를 잘 만난 것이고, 이것이 자연은총(의술 등등)의 은혜입니다.
우리는 애니아와 다비다를 보면서 또 우리의 실생활을 볼 때, 질병과 죽음이 착한 사람 나쁜 사람을 가리지 않고 찾아오는 것을 봅니다. 이것이 죄의 대가요, 죄의 결과입니다.
죄의 삯은 사망이요 하나님의 은사는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 안에 있는 영생이니라 (롬 6:23)
아담의 범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들어와서 왕 노릇 합니다.
모든 고통과 질병 역시 우리가 죄라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이 질병과 죽음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기적이 필요합니다.
Another saint is mentioned, a Jewish disciple named Tabitha (her Aramaic name), but in Greek, she is called Dorcas (gazelle or deer). She was likely wealthy and possibly a widow. Luke introduces her as a disciple who was devoted to acts of charity and helping the poor (36). How much charity and good deeds should one perform to receive such praise? Perhaps she engaged in sewing with other widows, making undergarments and outer garments to sell and provide relief.
However, this kind and diligent disciple passed away. No one knows the cause of her illness.
Both my wife and I have had appendectomies. I had the surgery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my wife had it in 2018. Appendicitis used to be a life-threatening condition. We are fortunate to live in this era, and it is a natural grace of modern medicine.
When we observe Aeneas and Tabitha and reflect on our own lives, we see that diseases and death do not discriminate between good and bad people. It is the consequence and result of sin.
For the wages of sin is death, but the gift of God is eternal life in[b] Christ Jesus our Lord (Romans 6:23).
Due to Adam's sin, death reigns over all people. All suffering and diseases are evidence that we have been infected by the virus of sin.
How can we solve the problem of disease and death? We need a miracle."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071c91a71691454ab623e9c6ee65b792~mv2.png/v1/fill/w_980,h_551,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aa39ed_071c91a71691454ab623e9c6ee65b792~mv2.png)
같은 결과
베드로는 애니아를 보고 말합니다. 그런데 이 부분을 언어유희Word Play라고 합니다.
언어유희란 말의 음이나 뜻을 살려 듣는 자에게 말 장난 같은 표현으로 그 의미를 각인하는 문학적 방법입니다. 베드로는 본인이 말하면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너를 낫게 하시니 라고 표현합니다.
베드로는 한 순간도 자신이 능력의 근원이라고 착각하지 않았습니다. 오늘날 많은 사역자들의 착각이 바로 이러한 부분에서 발생합니다. 조금 무엇이 잘되면 마치 자신의 능력의 근원인 것처럼 착각합니다.
하나님의 종은 날마다 죽어야 합니다. 자신을 부인해야 합니다.
베드로는 이어서 일어나 내 자리를 정돈하라! 고 말합니다. 그러자 애니아가 일어나 자리를 정돈합니다.
이 장면은 중풍병자를 고치신 예수님의 모습과 흡사합니다.
중풍병자에게 말씀하시되 일어나 네 침상을 가지고 집으로 가라 하시니
그가 일어나 집으로 돌아가거늘 (마 9:6b-7)
The Same Result
Upon seeing Aeneas, Peter speaks and engages in a wordplay, which is known as a linguistic pun. Wordplay is a literary technique that plays with the sound or meaning of words to create a humorous expression that leaves an impression. Peter expresses it by saying, 'Jesus Christ heals you' while speaking to Aeneas.
Peter never once mistakenly believed that he himself was the source of power. Many ministers today fall into this misconception. When something goes well, they mistakenly think of themselves as the source of their abilities.
A servant of God must die daily. They must deny themselves.
Peter then says, 'Get up and roll up your mat!' And Aeneas gets up and tidies his bed.
This scene is similar to the moment when Jesus healed the paralyzed man.
So he said to the paralyzed man, “Get up, take your mat and go home.”
Then the man got up and went home (Matthew 9:6b-7)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7ccf6dffef034833b0ea1ebc2bb59959~mv2.png/v1/fill/w_980,h_490,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aa39ed_7ccf6dffef034833b0ea1ebc2bb59959~mv2.png)
욥바에 간 베드로는 다비다를 살리기 위해 모든 사람을 내보내고 하나님께 기도합니다.
히브리 사람들이 기도할 때 무릎을 꿇는 것은 특별한 것입니다.
엘리야가 비가 내리기를 위해 기도할 때 그렇게 기도했습니다.
그리고는 베드로는 시체를 향하여 다비다야 일어나라 외칩니다(40).
시체라는 말은 모든 것이 끝난 상태임을 알려주는 단어입니다. 상황 종료입니다.
하지만 베드로는 다비다야 일어나라! 명령했고, 그녀는 일어났습니다.
이 장면 역시 달리다굼 말씀하시어 야이로의 딸을 살리신 예수님이 생각나게 합니다.
지금 예수 이름 앞에 중풍병도 심지어 죽음의 권세마저 굴복합니다. 기적입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일어나야 하는 일이고, 또한 이미 일어난 일이기도 합니다.
주님이 하신 일이고, 주님을 믿는 제자들에게 일어나는 기적인 것입니다.
When Peter arrived in Joppa, he sends everyone out of the room and prays to God to bring Tabitha back to life. Kneeling during prayer is significant among the Hebrew people. Elijah prayed in such a manner for rain. Then Peter cries out to Tabitha's lifeless body, saying, 'Tabitha, get up!' (40).
The word 'dead body' indicates a state of completion, signifying the end of the situation. However, Peter commands Tabitha to rise, and she gets up.
This scene also reminds us of Jesus, who raised the daughter of Jairus from the dead with his powerful words, “talitha koum”. Even strokes, and even the power of death, surrender before the name of Jesus. It is a miracle.
This is what should happen to us, and it is also something that has already happened. It is the work of the Lord and a miraculous occurrence for the disciples who believe in Him.
![](https://static.wixstatic.com/media/aa39ed_af868d4546dc489bb326ca8a45cbc943~mv2.png/v1/fill/w_980,h_551,al_c,q_90,usm_0.66_1.00_0.01,enc_auto/aa39ed_af868d4546dc489bb326ca8a45cbc943~mv2.png)
사실 중요한 것은 이 놀라운 기적의 결과입니다.
기적을 경험한 애니아와 다비다, 그리고 기적을 일으킨 장본인 베드로는 지금 어디 있습니까?
천국에 있습니다. 죽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이 우리에게 기적을 주시는 이유를 잘 알아야 합니다.
사람들이 다 그를 보고 주께로 돌아오니라(35), 온 욥바 사람이 알고 많은 사람이 주를 믿더라(42).
결국 복음이 전해져 예수의 이름만 높아지는 것이 기적의 목적입니다.
모든 것에서 주님을 인정하고 주님만 높이는 참된 제자의 삶으로 말미암아 많은 자들이 주께로 돌아오는 역사가 오늘도 우리의 삶에서 일어나기를 기도합니다.
In fact, the important thing is the result of this amazing miracle. Where are Aeneas, Tabitha, and Peter, the central figure, who experienced this miracle now? They are in heaven. They have passed away.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why God grants us miracles.
All those who lived in Lydda and Sharon saw him and turned to the Lord (35)
This became know all over Joppa, and many people believed in the Lord (42)
Ultimately, the purpose of miracles is for the gospel to be proclaimed and for the name of Jesus to be exalted. Through a life of true discipleship that acknowledges the Lord in everything and lifts Him up alone, we pray that the history of many people turning to the Lord will continue to unfold in our lives today.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