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 경건한 사람들이 스데반을 장사하고 위하여 크게 울더라
2 Godly men buried Stephen and mourned deeply for him.
8:3 사울이 교회를 잔멸할새 각 집에 들어가 남녀를 끌어다가 옥에 넘기니라
3 But Saul began to destroy the church. Going from house to house, he dragged off both men and women and put them in prison.
8:4 그 흩어진 사람들이 두루 다니며 복음의 말씀을 전할새
4 Those who had been scattered preached the word wherever they went.
8:5 빌립이 사마리아 성에 내려가 그리스도를 백성에게 전파하니
5 Philip went down to a city in Samaria and proclaimed the Messiah there.
8:6 무리가 빌립의 말도 듣고 행하는 표적도 보고 한마음으로 그가 하는 말을 따르더라
6 When the crowds heard Philip and saw the signs he performed, they all paid close attention to what he said.
8:7 많은 사람에게 붙었던 더러운 귀신들이 크게 소리를 지르며 나가고 또 많은 중풍병자와 못 걷는 사람이 나으니
7 For with shrieks, impure spirits came out of many, and many who were paralyzed or lame were healed.
8:8 그 성에 큰 기쁨이 있더라
8 So there was great joy in that city.
8:9 그 성에 시몬이라 하는 사람이 전부터 있어 마술을 행하여 사마리아 백성을 놀라게 하며 자칭 큰 자라 하니
9 Now for some time a man named Simon had practiced sorcery in the city and amazed all the people of Samaria. He boasted that he was someone great,
8:10 낮은 사람부터 높은 사람까지 다 따르며 이르되 이 사람은 크다 일컫는 하나님의 능력이라 하더라
10 and all the people, both high and low, gave him their attention and exclaimed, “This man is rightly called the Great Power of God.”
8:11 오랫동안 그 마술에 놀았으므로 그들이 따르더니
11 They followed him because he had amazed them for a long time with his sorcery.
8:12 빌립이 하나님 나라와 및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에 관하여 전도함을 그들이 믿고 남녀가 다 세례를 받으니
12 But when they believed Philip as he proclaimed the good news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name of Jesus Christ, they were baptized, both men and women.
8:13 시몬도 믿고 세례를 받은 후에 전심으로 빌립을 따라다니며 그 나타나는 표적과 큰 능력을 보고 놀라니라
13 Simon himself believed and was baptized. And he followed Philip everywhere, astonished by the great signs and miracles he saw.
1956년 1월 8일에 , 짐 엘리어트(Jim Elliot), 피트 플레밍(Pete Fleming), 에드 맥컬리(Ed McCully), 네이트 세인트(Nate Saint)와 로저 요더리안(Roger Youderian) 선교사들은 (나이 27-32세) 에콰도르에 있는 원주민들에게 복음을 전하려다가 다섯명이 다 창을 맞고 죽습니다. 이 원주민들은 흐아라니(Huarani) 민족인데 다른 나라에서 오는 모든 사람들을 두려워해서 만약에 오면 그냥 일단 죽이고 보는 그런 사람들입니다. 이 선교사들은 몇 주 동안 원주민들에게 선물을 주며 중보기도를 했습니다. 그래서 이제 마음을 열었다 생각할 때에 그들에게 가서 예수님의 이름을 전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하지만 이 다섯명은 다 죽고 말았습니다. (이 이야기는 2005년에 "The End of the Spear"라는 영화로 제작되었습니다.) 다섯의 선교사님들은 본인들의 아내를 집에 두고 세계에 알려지지 않은 곳으로 가서 생명을 걸어 왜 복음을 전했을까요?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능력을 믿었습니다. 그들은 십자가를 믿었습니다. 그들은 복음을 믿었습니다. 원주민들은 자신들의 언어로 된 성경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누군가가 그들에게 가서 예수님에 관한 이 복음을 전해줘야 했습니다.
이야기가 만약에 이렇게 끝났다면 매우 슬픈 이야기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선교사들의 가족 중 몇 사람은 이 원주민들과 함께 살기로 결정하고 그들을 용서했습니다. 그리고 결국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께로 돌아왔습니다. 그들의 죽음은 헛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오늘의 본문에 나오는 스데반의 죽음도 헛되지 않았습니다.
January 8, 1956, five men between the ages of 27 and 32 (Jim Elliot, Pete Fleming, Ed McCully, Nate Saint, and Roger Youderian) were speared to death trying to spread the Gospel to an Indian tribe in Ecuador. This Indian tribe “Aucas or Huarani” was known to be fearful of outsiders and kill any who comes to their territory. These men spent weeks giving the tribe gifts and praying for them. So, when the five missionaries thought the Indian tribe was slowly opening up to them, they would go to talk to them about Jesus. However, it ended with all of them being killed. (This came out as a movie in 2005 called “The End of the Spear”) What would make these 5 men go to an unknown place in the world to leave their wives behind and risk their lives. They believed in the power of Jesus Christ. They believed in the cross. They believed in the Gospel. This Indian tribe didn’t even have a bible in their language so somebody had to go to them and tell them this wonderful news about Jesus.
This would be a very sad story if it just ended like this. However, a couple of the family members of those missionaries decided to live with them and forgive them. And in the end, many of them were converted to Christianity. Like Stephen that we see from today’s scriptures, Stephen didn’t die in vain just like these five missionaries. Stephen’s death was not meaningless.
오늘의 본문은 스데반이 7장에 돌로 맞아 죽고 시작됩니다. 스데반은 죽었고, 사람들은 그의 죽음을 슬퍼합니다. 그리고 3절에서는 사울이 교회를 엄청 괴롭히기 시작합니다. 그는 집마다 가서 기독교인을 감옥에 가두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기독교인들은 여기저기로 흩어지게 됩니다. 놀랍게도, 흩어진 기독교인들은 숨지 않고 오히려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합니다. 4절은 그들이 간 곳마다 전도를 시작했다고 말합니다. 교회를 비난하고 핍박하기 시작했지만, 하나님은 이 일을 이용하여 제자들을 흩어지게 하시고 하나님의 나라를 더욱 확장시킵니다. 그리고 사도행전의 저자 누가는 빌립의 엄청난 사역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 때 유대인들과 사마라인들의 관계는 최악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때 사마리아로 내려가서 복음을 선포했습니다. 사마리아인들은 반 유대인이자 반 이방인이었습니다.앗수르 포로 시대에 남겨진 유대인들은 앗수르인들과 결혼하여 사마리인들이 태어난것입니다. 사마리아인들은 자신들만의 성전, 자신들만의 율법서, 자신들만의 종교 체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사마리아인들을 그냥 이방인으로 여겼습니다.
Verse 2 picks up from yesterday when Stephen is stoned to death. Stephen is buried and the people mourn his death. So in verse 3, Saul starts to destroy the church. He goes from house to house putting Christians to prison. And as Saul is doing this, Christians are scattered everywhere. But something amazing happens. The Christians who are scattered do not go into hiding but they start spreading the Gospel. Verse 4 says that they started preaching wherever they went. Although persecution is never a positive thing, God uses this to scatter the disciples and further the Kingdom of God. And Luke tells us of the powerful ministry of Philip. Philip was one of those believers who were scattered among Judea and Samaria. In verse 5, he went down to a city in Samaria and proclaimed the Gospel. The tension between the Jews and Samaritans were very high during that time. In other words, they hated each other. The Samaritans were half-Jews, half-Gentiles. The Jews who were left behind during the Assyrian captivity, intermarried with these Assyrians, producing Samaritans. Samaritans had their own temple, their own version of the Torah, and their own religious system. So the Jews considered Samaritans as pagans which is why they didn’t like each other.
빌립은 하나님의 일을 위해 사마리아로 갔습니다. 그의 사역을 통해 악한 영들이 떠나가고 병든 사람들이 치유되었습니다. 그 때 사마리아에는 시몬이라는 마술사가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그를 "하나님의 능력"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는 놀라운 일들을 행했기 때문에 그렇게 불리게 되었습니다. 근데 시몬이 가지고 있던 능력은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것이 아니라 사단으로부터 받은 능력 이었습니다. 그러나 심지어 시몬도 빌립의 사역에 놀라워했습니다. 13절에서 시몬도 믿고 세례를 받으며 빌립을 따르기 시작했습니다.
And Philip went to Samaria to do the work of God. Through his ministry, evil spirits were driven out of people and the sick was healed. And during that time of Philip, there was a sorcerer named Simon who was in Samaria. People called him “the Great Power of God” because some of the amazing things that he was doing. In the bible, sorcery is associated with occult and magical practices. So whatever power he had was not from God, but it was from Satan. However, even Simon came to be astonished by the ministry of Philip. In verse 13, Simon himself believed and was baptized and he started to follow Philip.
스데판은 무의미한 죽음을 맞이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죽음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알게 되고 따르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기독교인으로 이 세상에 살면, 박해 없이는 살 수 없을 것입니다. 사도 바울은 디모데후서 3장 12절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무릇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경건하게 살고자 하는 자는 박해를 받으리라." 왜냐하면 우리는 세상에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세상은 아주 자연스럽게 본인이 그리스도인이라면 미워하게 됩니다. 기독교인이 세상과 똑같이 쾌락 그리고 다른 죄를 추구한다면, 세상은 당신을 신경 쓰지 않을 것입니다. 사단도 신경 쓰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기독교인들이 하나님의 사랑, 정결함, 거룩함으로 동참하는 것에 동기를 받는다면, 세상과 사단은 당신을 괴롭히기 시작할 것입니다. 이 때 박해가 시작됩니다. 우리 모두가 박해를 당할 때에도 낙담하지 않기를 소망합니다.
Stephen didn’t die a meaningless death. Through his death, many more people came to know and follow Jesus Christ. Living in this world as Christians, it will be impossible to live without persecution. Apostle Paul said in 2 Timothy 3:12: “In fact, everyone who wants to live a godly life in Christ Jesus will be persecuted.” Why? Because we live in the world. And this world will naturally hate you if you are a follower of Christ. If Christians were just like the world and pursue wealth, pleasure, and other sins, then the world would not bother you. Satan would not bother you. But if Christians are motivated by the love, purity, and holiness of God, then the world and Satan would start bothering you. This is when persecution would start. I hope that all of us, in the wake of persecution, not be discouraged.
베드로전서 4장 16절은 이렇게 기록 되어있습니다: "만일 그리스도인으로 고난을 받으면 부끄러워 말고 도리어 그 이름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 우리가 그리스도인이 되었음에 부끄러워하지 맙시다. 우리가 하나님을 찬양하기에 부끄러워하지 맙시다. 우리가 복음을 전파하기에 부끄러워하지 맙시다. 우리가 진정으로 부끄러움을 벗어버릴 때, 우리가 세상과 구별되기 시작할 때, 우리가 복음의 참된 능력을 경험할 수 있는 때 인줄 믿습니다.
1 Peter 4:16 says, “However, if you suffer as a Christian, do not be ashamed, but praise God that you bear that name.” Let us be unashamed of being a Christian. Let us be unashamed of praising God. Let us be unashamed of spreading the Gospel. When we truly become unashamed, when we start to differentiate ourselves from the world, that is when we will experience the true power of the Gospel.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