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30606 [새벽묵상] 어떤 경우에도 하나님은 의로우십니다 | God is Righteous in All Ways (애/Lam 1:18~22)



1:18 여호와는 의로우시도다 그러나 내가 그의 명령을 거역하였도다 너희 모든 백성들아 내 말을 듣고 내 고통을 볼지어다 나의 처녀들과 나의 청년들이 사로잡혀 갔도다

18 “The Lord is righteous,

yet I rebelled against his command.

Listen, all you peoples;

look on my suffering.

My young men and young women

have gone into exile.

1:19 내가 내 사랑하는 자들을 불렀으나 그들은 나를 속였으며 나의 제사장들과 장로들은 그들의 목숨을 회복시킬 그들의 양식을 구하다가 성 가운데에서 기절하였도다

19 “I called to my allies

but they betrayed me.

My priests and my elders

perished in the city

while they searched for food

to keep themselves alive.

1:20 여호와여 보시옵소서 내가 환난을 당하여 나의 애를 다 태우고 나의 마음이 상하오니 나의 반역이 심히 큼이니이다 밖에서는 칼이 내 아들을 빼앗아 가고 집 안에서는 죽음 같은 것이 있나이다

20 “See, Lord, how distressed I am!

I am in torment within,

and in my heart I am disturbed,

for I have been most rebellious.

Outside, the sword bereaves;

inside, there is only death.

1:21 그들이 내가 탄식하는 것을 들었으나 나를 위로하는 자가 없으며 나의 모든 원수들은 내가 재난 당하는 것을 듣고 주께서 이렇게 행하신 것을 기뻐하나이다 그러나 주께서 그 선포하신 날을 이르게 하셔서 그들이 나와 같이 되게 하소서

21 “People have heard my groaning,

but there is no one to comfort me.

All my enemies have heard of my distress;

they rejoice at what you have done.

May you bring the day you have announced

so they may become like me.

1:22 그들의 모든 악을 주 앞에 가지고 오게 하시고 나의 모든 죄악들로 말미암아 내게 행하신 것 같이 그들에게 행하옵소서 나의 탄식이 많고 나의 마음이 병들었나이다

22 “Let all their wickedness come before you;

deal with them

as you have dealt with me

because of all my sins.

My groans are many

and my heart is faint.”


 

애가 혹은 예레미야애가라고 불리는 이 책의 히브리어 제목은 에카 איכה입니다.

그렇게 불리는 이유는 애가의 1, 2, 4장이 모두 이 단어로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의미는 아! 얼마나… 어찌하여, 아이고, 슬프다 등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애가서 1, 2, 4장이 슬프다!로 시작합니다.

70인역LXX과 탈무드는 헬라어 키노드, 곧 애가 또는 만가로 번역하였고, 그 번역을 그대로 따라 한국어 성경은 애가 또는 예레미야애가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언제나 의로우십니다 (18~20절)

예레미야는 국가적 죄악으로 인한 고난의 원인에 대해서 내가 그의 명령을 거역하였도다(18a), 나의 반역이 심히 큼이니이다(20b)라고 고백합니다. 이러한 그의 태도에서 두가지 귀한 점을 배웁니다.

먼저 선지자는 우리 삶에 벌어지는 모든 일에 대해서 하나님의 의로우심을 선포하고 있습니다(18a).

모든 일에 있어서 하나님의 의로우심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지 않는 것이 믿음입니다.

욥이 실패한 부분이 바로 이 부분입니다.

그는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버리지는 않았지만, 하나님의 의로우심에 대한 의문을 제시했습니다.

나의 의로움을 주장하다 보면 발생하는 문제는 하나님이 불의하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우리 삶에서 이해할 수 없고, 이유를 알 수 없는 고난이나 고통이 닥쳐올 때 우리는 하나님의 의로우심을 의심합니다. 도대체 왜? 물론 그 이유를 궁금해할 수는 있지만, 우리가 흔들리지 말아야 하는 것은 하나님의 의로우심에 대한 확신입니다.



다 이해할 수는 없지만, 분명히 이런 고통을 허락하시는 이유가 있을거야… 이것이 믿음입니다.

선지자는 오히려 자신의 죄악으로 이러한 고난을 당한다는 사실을 고백합니다.

다음으로 선지자는 더 나아가 자신의 죄악을 실토합니다(18a, 20b).

종종 목회자들 가운데 기도할 때나 설교할 때 저들을… 저들을… 이라고 표현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것은 설교자와 청중, 또는 기도자와 청중을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매우 잘못된 표현입니다.

설교자 역시 하나님의 말씀을 받는 청중 가운데 한사람이며, 대표기도자 역시 예배자 가운데 한사람입니다. 나와 너희로 나누는 이분법적인 사고는 바리새인들의 것입니다.


바리새인은 서서 따로 기도하여 이르되 하나님이여 나는 다른 사람들 곧 토색, 불의,

간음을 하는 자들과 같지 아니하고 이 세리와도 같지 아니함을 감사하나이다 (눅 18:11)



하지만 선지자는 국가적 위기와 범죄를 자신의 것으로 고백합니다.

특별히 시인은 이스라엘, 또는 예루살렘을 하나님의 신부로 빗대어 시를 쓰고 있습니다.

본문에서 말하는 화자는 선지자가 아닌 1인칭 여성입니다. 시온을 하나님의 신부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녀는 부정을 범했고, 지금 그 벌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남편이신 하나님 대신 사랑했던 자, 곧 열방의 나라들에게 도움을 청하지만 그들은 묵묵부답입니다(19).

칼이 아들을 빼앗고 집안에는 죽음이 가득합니다. 신부 예루살렘은 이 모든 재앙의 원인을 나의 반역이 심히 크기 때문이라고 고백합니다(20).

범죄하고 심판을 받는 신부, 시온의 모습은 마치 태초에 범죄하고 하나님의 심판을 받은 이브를 떠올리게 합니다. 끝까지 무죄를 주장하면 가중처벌이지만, 죄를 인정하고 회개하면 소망이 있습니다.

애가의 주제가 그것입니다. 고난, 회개 그리고 소망입니다.



의로우신 하나님은 반드시 죄를 심판하십니다(21~22절)

루 홀츠Lou Holtz라는 아주 유명한 풋볼 코치가 있습니다. 그의 2015년 프란시스칸 대학 졸업 축사는 명연설로 꼽힙니다. 그는 그날 축사에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한테 당신의 문제를 얘기하지 마세요. 그거 아세요?

90%는 여러분의 얘기에 관심도 없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10%는 그 얘기를 듣고, 기뻐할 거예요.

사람들은 그의 연설을 듣고 박장대소합니다. 물론 이것은 카톨릭신자인 루 홀츠가 현실적인 세상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크리스천 공동체가 아닌 일반적인 사람들의 공동체는 일반적으로 그렇다는 것입니다.

본문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루살렘의 고통을 말해보지만 사람들은 관심 없거나, 오히려 기뻐합니다(21).

남들이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때 우리의 자세는 몸을 낮추어야 합니다.

내가 저들보다 거룩하거나 잘나서 하나님의 심판을 면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하지만 어리석은 열방들은 예루살렘의 멸망을 보면서 그렇게 생각했던 것입니다. 쌤통이다!



선지자는 의로우신 재판장에게 탄원합니다. 그러나 주께서 선포하신 날을 이르게 하셔서 그들이 나와 같이 되게 하소서(21b) 이것은 저주의 기도가 아니라, 하나님의 의를 구하는 기도입니다.

그는 이어서 기도합니다. 그들의 모든 악을 주 앞에 가지고 오게 하시고 나의 모든 죄악들로 말미암아 내게 행하신 것 같이 그들에게 행하옵소서 나의 탄식이 많고 나의 마음이 병들었나이다(22)


자신의 이야기를 아무도 들어주지 않자 그녀의 마음은 병이 들었습니다. 병든 마음에서는 결코 용서가 나갈 수 없습니다. 우리 기독교는 용서의 종교입니다. 진정한 용서를 위해서는 어제 언급한 그 치유자를 만나야 합니다. 또한 의로운 심판자 되시는 하나님의 심판을 구하는 것은 사실 문제가 없습니다.

수많은 시편의 노래들이 바로 이러한 탄원의 노래입니다. 이것 역시도 믿음의 한 부분입니다.

갚아 주시고, 심판하시는 분은 오직 여호와 하나님 한 분이라는 사실을 믿는 믿음 말입니다.

의로우신 하나님의 심판은 당신의 자녀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정확합니다.

우리는 이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도 하나님은 의로우신 분임을 말입니다.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