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30508 [새벽묵상] 또 다시 광야 | Wilderness Again (삼하/2Sam 15:13~23)



15:13 전령이 다윗에게 와서 말하되 이스라엘의 인심이 다 압살롬에게로 돌아갔나이다 한지라

13 A messenger came and told David, “The hearts of the people of Israel are with Absalom.”

15:14 다윗이 예루살렘에 함께 있는 그의 모든 신하들에게 이르되 일어나 도망하자 그렇지 아니하면 우리 중 한 사람도 압살롬에게서 피하지 못하리라 빨리 가자 두렵건대 그가 우리를 급히 따라와 우리를 해하고 칼날로 성읍을 칠까 하노라

14 Then David said to all his officials who were with him in Jerusalem, “Come! We must flee, or none of us will escape from Absalom. We must leave immediately, or he will move quickly to overtake us and bring ruin on us and put the city to the sword.”

15:15 왕의 신하들이 왕께 이르되 우리 주 왕께서 하고자 하시는 대로 우리가 행하리이다 보소서 당신의 종들이니이다 하더라

15 The king’s officials answered him, “Your servants are ready to do whatever our lord the king chooses.”

15:16 왕이 나갈 때에 그의 가족을 다 따르게 하고 후궁 열 명을 왕이 남겨 두어 왕궁을 지키게 하니라

16 The king set out, with his entire household following him; but he left ten concubines to take care of the palace.

15:17 왕이 나가매 모든 백성이 다 따라서 벧메르학에 이르러 멈추어 서니

17 So the king set out, with all the people following him, and they halted at the edge of the city.

15:18 그의 모든 신하들이 그의 곁으로 지나가고 모든 그렛 사람과 모든 블렛 사람과 및 왕을 따라 가드에서 온 모든 가드 사람 육백 명 이 왕 앞으로 행진하니라

18 All his men marched past him, along with all the Kerethites and Pelethites; and all the six hundred Gittites who had accompanied him from Gath marched before the king.

15:19 그 때에 왕이 가드 사람 잇대에게 이르되 어찌하여 너도 우리와 함께 가느냐 너는 쫓겨난 나그네이니 돌아가서 왕과 함께 네 곳에 있으라

19 The king said to Ittai the Gittite, “Why should you come along with us? Go back and stay with King Absalom. You are a foreigner, an exile from your homeland.

15:20 너는 어제 왔고 나는 정처 없이 가니 오늘 어찌 너를 우리와 함께 떠돌아다니게 하리요 너도 돌아가고 네 동포들도 데려가라 은혜와 진리가 너와 함께 있기를 원하노라 하니라

20 You came only yesterday. And today shall I make you wander about with us, when I do not know where I am going? Go back, and take your people with you. May the Lord show you kindness and faithfulness.”

15:21 잇대가 왕께 대답하여 이르되 여호와의 살아 계심과 내 주 왕의 살아 계심으로 맹세하옵나니 진실로 내 주 왕께서 어느 곳에 계시든지 사나 죽으나 종도 그 곳에 있겠나이다 하니

21 But Ittai replied to the king, “As surely as the Lord lives, and as my lord the king lives, wherever my lord the king may be, whether it means life or death, there will your servant be.”

15:22 다윗이 잇대에게 이르되 앞서 건너가라 하매 가드 사람 잇대와 그의 수행자들과 그와 함께 한 아이들이 다 건너가고

22 David said to Ittai, “Go ahead, march on.” So Ittai the Gittite marched on with all his men and the families that were with him.

15:23 온 땅 사람이 큰 소리로 울며 모든 백성이 앞서 건너가매 왕도 기드론 시내를 건너가니 건너간 모든 백성이 광야 길로 향하니라

23 The whole countryside wept aloud as all the people passed by. The king also crossed the Kidron Valley, and all the people moved on toward the wilderness.


 


하나님은 외모가 아닌 중심을 보시는 분이지만, 인간들은 외모를 봅니다. 그것이 부정적인 의미이든, 긍정적인 의미이든 어쨌든 인간은 외모를 안 볼 수가 없습니다. 눈에 보이기 때문입니다.

사무엘서 저자는 다윗의 아들 압살롬의 외모에 대해서 발바닥부터 정수리까지 흠이 없다(14:25)고 평가합니다. 압살롬은 요압의 도움으로 예루살렘으로 돌아올 수는 있었지만, 2년 동안 다윗을 만날 수 없었습니다(14:28).

그는 요압에게 다시 한번 도움을 청했지만, 요압 역시 곤란한지 모른척합니다.

이에 압살롬은 요압의 밭에 불을 질러 요압과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는 요압에게 내가 만일 죄가 있으면 왕이 나를 죽이시는 것이 옳다(14:32)고 말하며, 속히 중재할 것을 압박합니다.

다윗이 압살롬을 처벌하지 않고 방치한 결과 살인자는 오히려 억울하다는 입장으로 돌아섰습니다.

결국 요압은 다윗에게 이 소식을 전했고, 다윗과 압살롬은 2년만에 재회하며 화해의 키스를 나눕니다.



또 다시 광야

그렇다면 압살롬이 반역을 꿈꾼 것이 언제부터 였을까요?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15장부터 압살롬은 왕의 행세를 하고 있습니다. 그는 오십명의 호위병을 거느리면서 사람들 앞에서 왕처럼 행진을 합니다. 또한 성문 곁에 서서 어떤 사람이든지 왕을 찾아와 재판을 받기 원하는 사람들에게 왕이 백성의 송사를 들을 사람을 세우지 않았다고 말하며 자신이 재판관이 되어 백성에게 정의를 베풀겠다고 말합니다(3, 4).

아마도 이것이 압살롬이 반역을 결심하게 된 동기라고 생각합니다.

압살롬은 아버지 다윗 왕이 정의를 베풀지 않았다고 이미 판단을 마쳤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대신하여 이스라엘의 왕이 되어 정의를 세우고자 하는 열망에 불타올랐던 것입니다.

그래서 그는 다윗을 찾아오는 백성들의 마음을 도둑질했습니다(5).



이러한 압살롬의 계획은 4년 동안 은밀하게 진행되었습니다. 그리고 4년째된 어느 날 헤브론으로 가서 하나님께 서원을 갚는 제사를 지내겠다며 다윗에게 허락을 구합니다(8).

압살롬은 200명의 사람들을 데리고 헤브론으로 갑니다.

그들은 왜 헤브론으로 가는지도 모르고 그저 따라 나선 자들입니다. 압살롬은 이스라엘 각 지파로 사람들을 보내고 나서 신호를 주면, 헤브론에서 압살롬이 왕이 되었다 외치게 합니다(10, 11).

모든 정황이 헤브론에서 200명의 사람들이 압살롬을 왕으로 옹립한 것처럼 꾸몄던 것입니다.

여기에 다윗의 중요한 모사인 아히도벨을 스카우트하여 자신의 부하로 삼습니다(12).

아히도벨은 본래 다윗의 지략가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지혜로운 사람입니다.

그런데 사무엘하 23장 34절에는 길로 사람 아히도벨의 아들 엘리암이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그리고 사무엘하 11장 3절에는 그는 엘리암의 딸이요 헷 사람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가 아니니이까 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만일 엘리암이 동일인물이라면, 아히도벨은 밧세바의 할아버지가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잘나가는 왕비의 할아버지가 다윗을 배신하고 압살롬에게 간 것일까요?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아히도벨 역시 다윗이 자신의 손주 사위에게 저지른 만행을 보며 정의롭지 못하다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어쨌든 점점 일이 커지고, 많은 사람들이 젊고 신선한 압살롬에게 마음을 빼앗겼습니다.

압살롬의 반역의 소식이 다윗에 귀에까지 전해집니다. 다윗은 이제 다시 광야로 쫓겨납니다(23).

오늘 본문에서 20장까지는 다윗의 피난과 복귀 이야기로 가장 상세하면서도 긴장되는 부분입니다.

다윗은 열명의 후궁을 제외하고는 모든 신하들과 함께 신속하게 다윗성을 떠납니다.

유진 피터슨은 연약하고, 완고하고, 불순종하고, 때로는 참회하고, 때로는 반성하지 않는 여러 종류의 인간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자비로우신 주권이 드러나는 이야기에 빠져든다 말했습니다.

성경 이야기가 우리에게 감동을 주는 이유는 바로 우리의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성경은 그 어떤 사람을 영웅으로만 만들지 않습니다. 모든 등장인물들의 선함과 악함, 성공과 실패를 그대로 보여줍니다.

본래 인간이 그런 존재입니다. 그리고 모든 성경이야기의 핵심은 좋은 소식, 곧 복음입니다.



광야 중에서 위로

다윗의 피난길에서 10명의 인물을 만나게 됩니다. 잇대(17~23), 아히마아스와 요나단, 아비아달과 사독(24~29), 아히도벨(30~31), 후새(32~37), 시바(16:1~4), 시므이와 아비새(16:5~13)입니다.

하나님은 다윗의 피난길에서도 위로하심을 주시는데, 바로 사람을 통해서 주십니다.

그 첫번째가 가드 사람 잇대(19)입니다.

그의 출신 지역에서 알 수 있듯이 골리앗과 같은 지역인 블레셋 사람입니다.

하지만 그는 어떤 과정을 통해서인지 알 수는 없지만, 다윗을 위해 목숨까지도 헌신하는 신하가 되었습니다. 잇대는 평소 다윗의 용맹성과 신앙을 보면서, 그 역시 하나님을 믿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여호와의 살아 계심과 내 주 왕의 살아 계심으로 맹세하옵나니

진실로 내 주 왕께서 어느 곳에 계시든지 사나 죽으나 종도 그곳에 있겠나이다(21)



광야로 들어서는 다윗에게 얼마나 큰 위로가 되었을지 상상이 됩니다.

축복 중에 가장 큰 축복은 만남의 축복이고, 하나님은 그것을 통해서 위로와 도움을 허락하십니다.

인생은 한 번 광야를 지났다고 해서 더 이상 광야를 걷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때로는 예기치 않은 순간, 예기치 않은 문제로 광야에 다시 들어가게 됩니다. 다윗처럼 말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하나님은 함께 할 수 있는 동지들을 허락하십니다.

그리고 그 사람들을 통해서 많은 위로와 격려를 얻게 하십니다.

하나님은 광야와 같은 우리 인생길에 반드시 내 주변에 잇대와 같은 동역자를 주십니다.

또한 나 역시 누군가에게 잇대와 같은 존재가 되어야 합니다.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 세 겹 줄은 쉽게 끊어지지 아니하느니라(전 4:12)

Comenta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