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벧세메스 사람들이 골짜기에서 밀을 베다가 눈을 들어 궤를 보고 그 본 것을 기뻐하더니
13 Now the people of Beth Shemesh were harvesting their wheat in the valley, and when they looked up and saw the ark, they rejoiced at the sight.
6:14 수레가 벧세메스 사람 여호수아의 밭 큰 돌 있는 곳에 이르러 선지라 무리가 수레의 나무를 패고 그 암소들을 번제물로 여호와께 드리고
14 The cart came to the field of Joshua of Beth Shemesh, and there it stopped beside a large rock. The people chopped up the wood of the cart and sacrificed the cows as a burnt offering to the Lord.
6:15 레위인은 여호와의 궤와 그 궤와 함께 있는 금 보물 담긴 상자를 내려다가 큰 돌 위에 두매 그 날에 벧세메스 사람들이 여호와께 번제와 다른 제사를 드리니라
15 The Levites took down the ark of the Lord, together with the chest containing the gold objects, and placed them on the large rock. On that day the people of Beth Shemesh offered burnt offerings and made sacrifices to the Lord.
6:16 블레셋 다섯 방백이 이것을 보고 그 날에 에그론으로 돌아갔더라
16 The five rulers of the Philistines saw all this and then returned that same day to Ekron.
6:17 블레셋 사람이 여호와께 속건제물로 드린 금 독종은 이러하니 아스돗을 위하여 하나요 가사를 위하여 하나요 아스글론을 위하여 하나요 가드를 위하여 하나요 에그론을 위하여 하나이며
17 These are the gold tumors the Philistines sent as a guilt offering to the Lord—one each for Ashdod, Gaza, Ashkelon, Gath and Ekron.
6:18 드린 바 금 쥐들은 견고한 성읍에서부터 시골의 마을에까지 그리고 사람들이 여호와의 궤를 큰 돌에 이르기까지 다섯 방백들에게 속한 블레셋 사람들의 모든 성읍들의 수대로였더라 그들은 벧세메스 사람 여호수아의 밭에 오늘까지 있더라
18 And the number of the gold rats wa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hilistine towns belonging to the five rulers—the fortified towns with their country villages. The large rock on which the Levites set the ark of the Lord is a witness to this day in the field of Joshua of Beth Shemesh.
6:19 벧세메스 사람들이 여호와의 궤를 들여다 본 까닭에 그들을 치사 (오만) 칠십 명을 죽이신지라 여호와께서 백성을 쳐서 크게 살륙하셨으므로 백성이 슬피 울었더라
19 But God struck down some of the inhabitants of Beth Shemesh, putting seventy of them to death because they looked into the ark of the Lord. The people mourned because of the heavy blow the Lord had dealt them.
6:20 벧세메스 사람들이 이르되 이 거룩하신 하나님 여호와 앞에 누가 능히 서리요 그를 우리에게서 누구에게로 올라가시게 할까 하고
20 And the people of Beth Shemesh asked, “Who can stand in the presence of the Lord, this holy God? To whom will the ark go up from here?”
6:21 전령들을 기럇여아림 주민에게 보내어 이르되 블레셋 사람들이 여호와의 궤를 도로 가져왔으니 너희는 내려와서 그것을 너희에게로 옮겨 가라
21 Then they sent messengers to the people of Kiriath Jearim, saying, “The Philistines have returned the ark of the Lord. Come down and take it up to your town.”
야곱은 열두명의 아들이 있었습니다. 그의 아들들은 이스라엘의 열 두 지파가 됩니다.
하지만 실제 열두명의 아들과 열 두 지파는 차이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레위지파가 제사장 지파가 되어 열외가 됩니다. 대신 요셉의 두 아들인 므낫세와 에브라임이 삼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여 열 두 지파 가운데 이름을 올립니다.
이것은 야곱이 요셉을 자신의 장자로 보았다는 것을 의미입니다.
히브리인들은 장자에게 다른 형제들보다 두 몫의 유산을 남겨 줍니다.
결국 요셉의 두 아들이 합류한 것은 요셉이 이스라엘의 장자이기에 두 몫을 준 것입니다.
또한 요셉의 둘째 아들인 에브라임이 오히려 형인 므낫세보다 앞섰으며, 형 뿐 아니라 이스라엘의 열 두 지파를 대표하는 첫번째 지파가 됩니다.
실제로 이스라엘의 지도자인 모세와 아론은 레위지파였고, 여호수아는 에브라임 지파였습니다.
그런데 사사시대를 거치는 동안 에브라임 지파의 교만한 언행과 오만함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다윗 시대의 악장인 아삽은 시편78편에서 에브라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노래합니다.
하나님이 들으시고 분내어 이스라엘을 크게 미워하사 사람 가운데 세우신 장막 곧 실로의 성막을 떠나시고(59, 60) … 또 요셉의 장막을 버리시며 에브라임 지파를 택하지 아니하시고
오직 유다 지파와 그가 사랑하시는 시온 산을 택하시며(67, 68)
이스라엘은 아벡 전투에서 블레셋에게 언약궤만을 빼앗긴 것이 아니라, 실로까지 공격을 받고 초토화가 되었습니다. 20세기 초 덴마크 발굴팀에 의해 실로 유적지가 기원전 11세기 경에 크게 불에 탄 것을 확인하게 됩니다.
하나님은 택함을 받았지만 오만했던 에브라임 지파의 교만함을 심판하시고, 스스로 언약궤를 옮기신 것입니다. 이제 새롭게 선택 받은 지파는 다윗이 속한 유다 지파입니다.
언약궤는 그렇게 유다 땅 기럇여아림으로 돌아옵니다(21).
하나님이 택하신 곳 (13~18절)
블레셋과 바로 인접한 벧세메스 사람들이 밀을 베다가 암소 두 마리가 끌고 오는 언약궤를 발견합니다.
수레가 벧세메스 사람 여호수아의 밭에 있는 큰 돌 앞에 멈춰서자, 그들은 수레를 패서 장작 삼고 두 암소를 잡아 하나님 앞에 번제와 화목제로 드립니다.
여기서 제사 율법에 관련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첫째로 어떻게 제사장도 없이 제사를 할 수 있는가? 입니다.
전혀 문제될 것이 없는 것이 벧세메스는 본래 제사장들의 성읍이었습니다(수 21:13~15).
15절에서 레위인들이 여호와의 궤를 옮겼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둘째로 어떻게 중앙 성소가 아닌 다른 곳에서 제사를 지낼 수 있는가? 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제사는 반드시 중앙 성소에서만 할 것을 명령했습니다(신 12:5~7).
하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중앙 성소 역할을 하던 실로는 이미 7개월 전에 완전히 파괴되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실로를 중앙 성소로 명하신 적도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앞으로 시온산, 곧 예루살렘을 중앙 성소로 삼으실 것입니다. 또한 하나님이 직접 벧세메스를 선택하셨습니다.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언약궤가 비로 벧세메스에 있습니다. 예배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이제 하나님이 택하신 곳 벧세메스에서 두 암소는 헌신의 끝이 무엇인지를 확인시켜줍니다.
울며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끝까지 사명을 감당하는 결국은 순교입니다. 우리의 예수님을 상징합니다.
하나님은 호기심의 대상이 아닙니다 (19~21절)
벧세메스 사람들은 언약궤를 들여다봅니다. 그도 그럴 것이 언약궤 안에는 신비한 것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아론의 싹 난 지팡이, 만나가 든 항아리, 그리고 십계명 두 돌판(히 9:4)입니다.
죽은 나무에 새 싹이 나고, 하루면 곰팡이가 펴서 사라지는 만나가 수 백 년이 지나도 그대로 있으며, 모세가 직접 받은 십계명 돌 판이라니! 너무도 보고 싶은 것이 당연합니다.
하지만 그 관람료는 자신의 생명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성막의 이동을 책임지는 고핫 자손 조차도 성소도 보지 말라고, 보면 죽을 것이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하물며 성소 안 쪽, 지성소 중앙에 있는 언약궤를 들여다본다는 것은 죽음을 자초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왜 하나님은 언약궤나 성소를 들여다보지 말라고 명령하시는 것일까요?
왜냐하면 거룩하신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인간은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철저하게 우리 인생과 구별된 분이십니다. 더군다나 벧세메스 사람들은 그저 호기심에 의해 언약궤 안을 들여다본 것입니다.
하나님은 결코 우리의 호기심의 대상이 아닙니다. 그분은 우리의 주인이십니다.
결국 한번의 호기심으로 (오만) 칠십명이 죽었습니다. 오만 이라는 숫자에 괄호가 쳐져 있는 것은 어떤 사본에는 오만 이라는 숫자가 없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원본을 베껴 쓰면서 필사자가 실수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작은 도시에 인구가 그렇게 많을 수가 없습니다. 나중에 예루살렘이 수도가 되었을 때 인구가 7만명에 불과하니 분명한 오기가 맞습니다.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 역시 70명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결국 언약궤는 유다 땅에 있는 기럇여아림 산지에 위치한 아비나답의 집에 안착합니다.
그리고 그의 아들 엘리아살이 20년간 거룩하게 구별되어 언약궤를 지킵니다.
이렇게 여호와의 언약궤는 스스로 거할 곳을 찾아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이스라엘의 영적, 정치적 지도권이 유다 지파로 넘어가게 됩니다. 겸손하게 자신에게 맡겨진 목동의 일을 감당하는 다윗과 소처럼 울면서도 끝까지 헌신하는 다윗의 후손인 예수님이 속한 유다 지파로 말입니다.
언약궤가 우리에게 왔을 때 우리는 그 축복을 잘 유지해야 합니다. 겸손하면서 성실하게 말입니다.
우리에게 주신 축복의 은혜를 잘 유지합시다. 그 축복은 다른 것이 아닌 예수입니다.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