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1 형제들아 서로 비방하지 말라 형제를 비방하는 자나 형제를 판단하는 자는 곧 율법을 비방하고 율법을 판단하는 것이라 네가 만일 율법을 판단하면 율법의 준행자가 아니요 재판관이로다
11 Brothers and sisters, do not slander one another. Anyone who speaks against a brother or sister or judges them speaks against the law and judges it. When you judge the law, you are not keeping it, but sitting in judgment on it.
4:12 입법자와 재판관은 오직 한 분이시니 능히 구원하기도 하시며 멸하기도 하시느니라 너는 누구이기에 이웃을 판단하느냐
12 There is only one Lawgiver and Judge, the one who is able to save and destroy. But you—who are you to judge your neighbor?
4:13 들으라 너희 중에 말하기를 오늘이나 내일이나 우리가 어떤 도시에 가서 거기서 일 년을 머물며 장사하여 이익을 보리라 하는 자들아
13 Now listen, you who say, “Today or tomorrow we will go to this or that city, spend a year there, carry on business and make money.”
4:14 내일 일을 너희가 알지 못하는도다 너희 생명이 무엇이냐 너희는 잠깐 보이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
14 Why, you do not even know what will happen tomorrow. What is your life? You are a mist that appears for a little while and then vanishes.
4:15 너희가 도리어 말하기를 주의 뜻이면 우리가 살기도 하고 이것이나 저것을 하리라 할 것이거늘
15 Instead, you ought to say, “If it is the Lord’s will, we will live and do this or that.”
4:16 이제도 너희가 허탄한 자랑을 자랑하니 그러한 자랑은 다 악한 것이라
16 As it is, you boast in your arrogant schemes. All such boasting is evil.
4:17 그러므로 사람이 선을 행할 줄 알고도 행하지 아니하면 죄니라
17 If anyone, then, knows the good they ought to do and doesn’t do it, it is sin for them.
서로 비방하지 말라 (11~12절)
야고보는 형제들아 서로 비방하지 말라 형제를 비방하는 자나 형제를 판단하는 자는 곧 율법을 비방하고 율법을 판단하는 것이라 네가 만일 율법을 판단하면 율법의 준행자가 아니요 재판관이로다(11)말합니다.
왜 형제를 비방하거나 판단하는 것이 율법을 비방하고 판단하는 것이 될까요?
그것은 율법을 말씀하신 이와 우리의 형제를 창조하신 분이 같은 분이기 때문입니다.
율법도 하나님의 말씀이고, 인간도 하나님의 말씀(입김)에 의해 창조된 존재입니다.
그러므로 형제를 비방하거나 판단하는 것은 율법을 만드신 하나님을 판단하고 비방하는 것입니다.

야고보는 이것을 입법자와 재판관은 오직 한 분이시니(12a)라고 표현합니다.
우리를 판단하시고 심판하실 분은 입법자이신 하나님 밖에는 없습니다.
그런데 만일 우리가 누군가를 비방하거나 판단한다면 그것은 율법을 지켜야 할 존재가 마치 입법자나 재판관이 된 것인냥 행동하는 것과 같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진짜 왕이신 하나님의 자리를 넘보는 월권 행위이며, 하나님이 극도로 혐오하는 것입니다.
너는 누구이기에 이웃을 판단하느냐(12b) 야고보만의 전형적이고 예리한 수사학적인 질문을 합니다. 같은 피조물로서 감히 유일한 입법자요 재판관이신 하나님의 자리를 넘보는 너는 누구냐? 입니다.
하나님과 같아지고, 하나님의 자리를 넘보는 이러한 범죄의 패턴은 에덴 동산에서부터 있었던 일입니다.
이것은 마치 나는 법 위에 있는 존재인 것처럼 행동하는 것입니다. 철저한 회개와 결단이 필요합니다.
결국 야고보가 말하는 첫 번째 단락의 핵심은 타인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라는 것입니다.
내가 비방하려는 저 사람의 창조자는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저 사람을 판단하실 분도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이것이 겸손입니다.

헛된 자랑을 하지 말라 (13~17절)
야고보는 두 번째로 허탄한 자랑을 하지 말 것을 권면(16)합니다. 무엇이 헛된 자랑일까요?
오늘이나 내일이나 우리가 어떤 도시에 가서 거기서 일년을 머물며 장사하여 이익을 보리라… (13b)
어떻게 자신의 사업 구상을 하고 계획을 세우는 것이 헛된 자랑이 될까요?
야고보가 공격하는 자들은 하나님과 전혀 상관 없이 계획을 수립하는 돈만 목적으로 하는 상인들입니다.
야고보가 말하는 자들은 오직 돈만을 목적으로 하는 자들로 자기 계획에 대해서 자기단정적입니다.
또한 자신의 시간 계획에 대해서 자기확신적이고, 교역관계에서 자기중심적입니다.
내가 언제, 어디서 사업을 할 것을 계획을 세우고, 장사를 하면 무조건 성공할 것이라는 자기 중심적인 확신을 갖는 자입니다. 이들은 전혀 하나님과 상관이 없이 계획을 세웁니다.
누구를 위한 것이고, 무엇을 위한 것인지 목적과 우선순위에서 하나님은 빠져 있습니다.
13절에서 느껴지는 것은 물질주의요, 한탕주의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자랑은 악이라고 말합니다(16)

그런데 이것이 헛된 자랑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야고보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내일 일을 너희가 알지 못하는도다 너희 생명이 무엇이냐 너희는 잠깐 보이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14)
인생이 안개와 같다는 야고보의 말은 다음 두 가지 특성을 담고 있습니다.
먼저는 인생의 신속성입니다.
우리의 연수가 칠십이요 강건하면 팔십이라도 그 연수의 자랑은
수고와 슬픔뿐이요 신속히 가니 우리가 날아가나이다(시편 90:10)
얼마나 빠른지 시편 기자는 날아간다고 표현합니다. 우리 나라의 표현으로는 쏜 살 같다입니다.
인생 70-80년이 결코 짧은 시간은 아닙니다. 하지만 영원이라는 시간에 비하면 마치 점과 같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그 찰나의 순간이 영원을 결정하게 하셨습니다.
그러니 이 짧은 우리 인생이 얼마나 중요하고, 소중한가요? 계속 지금처럼 살아도 되는지 자문해 봅시다.

두 번째로 안개와 같은 인생의 특징은 불확실성입니다.
안개로 가려져 도저히 앞을 알 수 없다는 것이 우리의 인생입니다.
그러니 얼마나 불안한가요? 누구를 만나야 할지, 무슨 말을 해야 할지, 사업은, 자녀는…
모든 것이 오리무중, 마치 안개가 자욱한 것처럼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것, 바로 인생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내일 일을 자랑하지 말고, 하나님을 자랑해야 합니다.
야고보는 주님의 뜻이라면 우리가 살기도 하고 이것이나 저것을 하리라(15) 말할 것을 당부합니다.
초대교회에 서신에는 마지막에 반드시 DV 라는 약자를 써넣었다고 합니다.
DV는 하나님의 뜻이라면 에 해당하는 라틴어 Deo Volente의 약자입니다.
이것은 인간이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울 때 하나님의 주권을 침범하지 않으려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톰 라이트의 말 대로 야고보의 가르침이 기독교적 사고의 본류에 들어와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어떤 명령이나 결정을 말씀하시든지 순종할 마음의 준비를 하는 것이 진짜 DV의 자세인 것입니다.

결국 야고보가 말하고자 하는 두 번째 교훈은 내 삶의 주권 역시 하나님께 있다는 사실입니다.
타인의 삶의 창조주이자 재판관이 하나님이듯, 나의 삶을 창조하신 분이 하나님이고, 나의 재판관 역시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믿고 인정해야 합니다. 그것이 진정한 겸손입니다.
마지막으로 야고보는 선을 행할 줄 알고도 행하지 아니하면 죄니라(17)라고 말합니다.
이 결론은 앞서 말한 모든 것에 걸리는 결론이기도 합니다.
나와 만나는 모든 타인들, 나의 아내, 남편, 자녀, 그리고 나의 인생과 삶의 주인이 누구입니까?
바로 유일한 입법자이시며, 재판관 되시는 하나님입니다. 이것을 알고 인정하는 것이 진정한 겸손입니다.
톰 라이트는 다음과 같이 본문을 이해합니다.
다시 한 번 교훈은 겸손이다. 하루하루를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로 여기고,
그런 시각으로 계획을 세우는 법을 배우라. 실로 오늘날까지 이것이 그리스도인들이 이해한 바였다.
오늘 새벽 내가 하고 싶은 욕심을 내려놓고, 2023년 내 삶에 대한 비전과 미래의 계획을 여쭤봅시다.
주님이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를… 나를 통해 하시기를, 우리 가정과 공동체를 통해 하실 일을…
내가 세운 계획이 주님의 뜻과 하나가 될 때 우리의 계획은 아름답게 이루어질 것을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