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내가 다시 해 아래에서 행하는 모든 학대를 살펴 보았도다 보라 학대 받는 자들의 눈물 이로다 그들에게 위로자가 없도다 그들을 학대하는 자들의 손에는 권세가 있으나 그들에게는 위로자가 없도다
1 Again I looked and saw all the oppression that was taking place under the sun:
I saw the tears of the oppressed—
and they have no comforter;
power was on the side of their oppressors—
and they have no comforter.
4:2 그러므로 나는 아직 살아 있는 산 자들보다 죽은지 오랜 죽은 자들을 더 복되다 하였으며
2 And I declared that the dead,
who had already died,
are happier than the living,
who are still alive.
4:3 이 둘보다도 아직 출생하지 아니 하여 해 아래에서 행하는 악한 일을 보지 못한 자가 더 복되다 하였노라
3 But better than both
is the one who has never been born,
who has not seen the evil
that is done under the sun.
4:4 내가 또 본즉 사람이 모든 수고와 모든 재주로 말미암아 이웃에게 시기를 받으니 이것도 헛되어 바람을 잡는 것이로다
4 And I saw that all toil and all achievement spring from one person’s envy of another. This too is meaningless, a chasing after the wind.
4:5 우매자는 팔짱을 끼고 있으면서 자기의 몸만 축내는도다
5 Fools fold their hands
and ruin themselves.
4:6 두 손에 가득하고 수고하며 바람을 잡는 것보다 한 손에만 가득 하고 평온함이 더 나으니라
6 Better one handful with tranquillity
than two handfuls with toil
and chasing after the wind.
4:7 내가 또 다시 해 아래에서 헛된 것을 보았도다
7 Again I saw something meaningless under the sun:
4:8 어떤 사람은 아들도 없고 형제도 없이 홀로 있으나 그의 모든 수고에는 끝이 없도다 또 비록 그의 눈은 부요를 족하게 여기지 아니하면서 이르기를 내가 누구를 위하여는 이같이 수고하고 나를 위하여는 행복을 누리지 못하게 하는가 하여도 이것도 헛되어 불행한 노고로다
8 There was a man all alone;
he had neither son nor brother.
There was no end to his toil,
yet his eyes were not content with his wealth.
“For whom am I toiling,” he asked,
“and why am I depriving myself of enjoyment?”
This too is meaningless—
a miserable business!
4:9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그들이 수고함으로 좋은 상을 얻을 것임이라
9 Two are better than one,
because they have a good return for their labor:
4:10 혹시 그들이 넘어지면 하나가 그 동무를 붙들어 일으키려니와 홀로 있어 넘어지고 붙들어 일으킬 자가 없는 자에게는 화가 있으리라
10 If either of them falls down,
one can help the other up.
But pity anyone who falls
and has no one to help them up.
4:11 또 두 사람이 함께 누우면 따뜻하거니와 한 사람이면 어찌 따뜻하랴
11 Also, if two lie down together, they will keep warm.
But how can one keep warm alone?
4:12 한 사람이면 패하겠거니와 두 사람이면 맞설 수 있나니 세 겹 줄은 쉽게 끊어지지 아니하느니라
12 Though one may be overpowered,
two can defend themselves.
A cord of three strands is not quickly broken.
4:13 가난하여도 지혜로운 젊은이가 늙고 둔하여 경고를 더 받을 줄 모르는 왕보다 나으니
13 Better a poor but wise youth than an old but foolish king who no longer knows how to heed a warning.
4:14 그는 자기의 나라에서 가난하게 태어났을지라도 감옥에서 나와 왕이 되었음이니라
14 The youth may have come from prison to the kingship, or he may have been born in poverty within his kingdom.
4:15 내가 본즉 해 아래에서 다니는 인생들이 왕의 다음 자리에 있다가 왕을 대신하여 일어난 젊은이와 함께 있고
15 I saw that all who lived and walked under the sun followed the youth, the king’s successor.
4:16 그의 자리를 받는 모든 백성들이 무수하였을지라도 후에 오는 자들은 그를 기뻐하지 아니하리니 이것도 헛되어 바람을 잡는 것이로다
16 There was no end to all the people who were before them. But those who came later were not pleased with the successor. This too is meaningless, a chasing after the wind.
성도님 중에 한 분이 한국에 다녀오면서 선물을 사다 주었습니다.
아기자기한 선물 중에서 아주 재미난 선물이 있었는데, 그것은 이태리 타월이었습니다.
일명 한국의 그 유명한 때수건, 일반적으로 때수건은 초록색인데 성도님이 준 것은 하얀 색이었습니다.
그리고 때수건에는 아주 훌륭한 격언이 프린트되어 있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때가 있다. 만사는 때가 있다.
정말 인생 진리의 명언이죠? 그 성도님 덕분에 잠깐 즐거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코헬렛은 3장에서 하나님의 때에 대해서 말했습니다. 3장은 만사에는 때가 있다는 격언의 근원입니다.
14쌍의 때를 노래한 격언은 인생사 생사화복은 하나님께서 주관하신다는 선언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인생 돌아가는 모습은 모순으로 가득합니다.
코헬렛은 가장 정의로워야 할 법정에서의 모순과 인간과 짐승이 별반 다르지 않음에 대해서 말했습니다.
그리고 오늘 본문은 계속 이어서 인생사에 몇 가지 허무한 실제적인 예를 제시합니다.
학대 (1~3절)
코헬렛은 권세 있는 자들에게 학대를 받는 연약한 자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세상은 철저하게 동물의 세계와 동일한 약육강식의 원리가 지배합니다. 힘있고, 능력 있고, 출신 좋은 사람들은 자신들이 가진 것을 이용하여 없는 자, 가난 한 자, 연약한 자를 학대합니다.
코헬렛은 그들의 눈물을 보았지만, 그들의 눈물을 닦아줄 위로자가 없습니다.
연약한 자들을 학대하는 자들의 손에는 권세가 있습니다. 그것이 어떠한 형태이든지 권세를 가진 자들은 없는 자들을 학대합니다. 이러한 형태의 학대는 어느 시대나 존재했습니다.
현대에도 여러 형태의 권세를 가진 자들이 그렇지 못한 자들을 학대합니다.
소위 갑질이라는 말이 여러 형태의 크고 작은 학대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코헬렛은 이렇게 부조리한 사회를 보면서 살아서 이러한 부당한 일을 보고 당하는 것보다 차라리 일찍 죽은 사람이 오히려 더 복되다(2) 말합니다. 심지어 그는 아직 태어나지 않아서 이 땅에 존재하는 부조리와 악을 보지 않은 자가 훨씬 복되다(3) 말합니다.
코헬렛의 눈에 보기에 그만큼 세상은 염세적입니다.
수고 (4~6절)
코헬렛은 또 다른 측면에서 허무함을 이야기합니다.
그것은 열심히 일하는 똑똑한 사람에 대한 것입니다. 자신에게 있는 재능과 성실함으로 열심히 일하여 성공하면 그 사람은 이웃의 시기를 받습니다. 칭찬받고 부러움의 대상이 되야 마땅한 존재가 시기의 대상이 됩니다. 실제로 사람들의 시기와 질투로 방해를 받아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반면에 우매한 자들은 일하지 않고 노력하지 않으며 자신의 몸만 축냅니다(5).
이것은 스스로 파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하지 않고, 술 먹고 담배만 피면서 건강을 해치는 자입니다.
6절의 원문을 직역하면 평온함이 가득한 한 손이 수고로 가득한 두 손보다 낫다 입니다.
이 단락을 정리해보면 지나친 욕심을 부려 죽도록 일만 하는 것도 옳지 않고, 게을러서 일하지 않고 놀고먹는 것도 옳지 않습니다. 적절하게 일하고, 적절하게 즐길 줄 아는 삶이 건강하고 보람된 삶입니다.
함께 (7~12절)
코헬렛은 또 다른 헛된 것을 목격합니다. 그것은 이 세상을 외톨이로 지내는 것입니다.
사람은 혼자 있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잠깐일 뿐이지, 계속 혼자 지내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인간을 지으실 때 함께 살도록 지으셨기 때문입니다.
특별한 이유 없이 혼자를 고집하며, 다른 것에 집착하는 것은 결코 옳은 삶의 모습이 아닙니다.
아무리 많은 부를 축적하고, 수고로이 일을 해도 무엇을 위한 수고인지 알 수 없습니다(8).
사람은 함께 할 때 많은 것을 누릴 수 있습니다(9). 그래서 하나님은 결혼제도를 주셨습니다(창 2:18~24). 예수님은 제자들을 파송할 때 두 명씩 짝지어 보내셨습니다(눅 10:1).
그리고 두 세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 함께 하시겠다고 약속(마 18:20)하셨습니다.
코헬렛은 함께 하는 것이 좋은 실제적인 예를 듭니다. 혼자 넘어지면 일어나도록 도울 사람이 없지만, 함께 라면 나머지 한 사람이 넘어진 자를 붙들어 일으킬 수 있습니다(10). 또 두 사람이 함께 이불 속에 들어가 서로의 체온을 나누면 금방 따뜻해지지만, 혼자라면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11).
마지막으로 혼자서 대적들과 싸우면 패하기 쉽지만, 두 사람이면 능히 대적할 수 있고, 세 사람이면 충분히 이깁니다. 세 겹의 줄은 쉽게 끊어지지 않습니다(12).
왕 (13~16절)
마지막으로 가난하지만 지혜로운 젊은이가 왕이 되는 허무한 경우를 말합니다.
코헬렛이 예로 들고 있는 것이 다윗과 사울이다. 요셉과 바로다, 요아스와 아마샤다 등등 여러 의견들이 있지만, 그저 지혜자가 예를 들어서 말하는 가설로 보는 것이 옳을 듯합니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지혜로움으로 왕이 되어도, 결국에는 그 후대에게 왕의 자리를 물려주고 나면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으며, 기억됨이 없습니다. 한 세대는 가고 오는 다음 세대는 젊었던 지혜로운 왕이 해 놓은 것들을 유행에 뒤쳐진다고, 시대에 뒤 떨어진다고 싫어할 것입니다.
그래서 모든 것이 바람을 잡으려는 것과 같은 헛된 인생입니다.
이런 헛된 인생 속에서 우리 인생을 위로하시려 직접 인생 속으로 들어오신 분이 계십니다.
우리의 위로자 되시며 상담자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평안을 누린 자들은 이제 즐거워하는 자들과 함께 웃고, 우는 자들과 함께 울어야(롬 12:15) 합니다.
이것이 허무한 인생 가운데 의미 있는 일입니다.
コ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