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 야곱이 눈을 들어보니 에서가 사백 명의 장정을 거느리고 오고 있는지라 그의 자식들을 나누어 레아와 라헬과 두 여종에게 맡기고
1 Jacob looked up and there was Esau, coming with his four hundred men; so he divided the children among Leah, Rachel and the two female servants.
33:2 여종들과 그들의 자식들은 앞에 두고 레아와 그의 자식들은 다음에 두고 라헬과 요셉은 뒤에 두고
2 He put the female servants and their children in front, Leah and her children next, and Rachel and Joseph in the rear.
33:3 자기는 그들 앞에서 나아가되 몸을 일곱 번 땅에 굽히며 그의 형 에서에게 가까이 가니
3 He himself went on ahead and bowed down to the ground seven times as he approached his brother.
33:4 에서가 달려와서 그를 맞이하여 안고 목을 어긋맞추어 그와 입맞추고 서로 우니라
4 But Esau ran to meet Jacob and embraced him; he threw his arms around his neck and kissed him. And they wept.
33:5 에서가 눈을 들어 여인들과 자식들을 보고 묻되 너와 함께 한 이들은 누구냐 야곱이 이르되 하나님이 주의 종에게 은혜로 주신 자식들이니이다.
5 Then Esau looked up and saw the women and children. “Who are these with you?” he asked.
Jacob answered, “They are the children God has graciously given your servant.”
33:6 그 때에 여종들이 그의 자식들과 더불어 나아와 절하고
6 Then the female servants and their children approached and bowed down.
33:7 레아도 그의 자식들과 더불어 나아와 절하고 그 후에 요셉이 라헬과 더불어 나아와 절하니
7 Next, Leah and her children came and bowed down. Last of all came Joseph and Rachel, and they too bowed down.
33:8 에서가 또 이르되 내가 만난 바 이 모든 떼는 무슨 까닭이냐 야곱이 이르되 내 주께 은혜를 입으려 함이니이다
8 Esau asked, “What’s the meaning of all these flocks and herds I met?”
“To find favor in your eyes, my lord,” he said.
33:9 에서가 이르되 내 동생아 내게 있는 것이 족하니 네 소유는 네게 두라
9 But Esau said, “I already have plenty, my brother. Keep what you have for yourself.”
33:10 야곱이 이르되 그렇지 아니하니이다 내가 형님의 눈앞에서 은혜를 입었사오면 청하건대 내 손에서 이 예물을 받으소서 내가 형님의 얼굴을 뵈온즉 하나님의 얼굴을 본 것 같사오며 형님도 나를 기뻐하심이니이다
10 “No, please!” said Jacob. “If I have found favor in your eyes, accept this gift from me. For to see your face is like seeing the face of God, now that you have received me favorably.
33:11 하나님이 내게 은혜를 베푸셨고 내 소유도 족하오니 청하건대 내가 형님께 드리는 예물을 받으소서 하고 그에게 강권하매 받으니라
11 Please accept the present that was brought to you, for God has been gracious to me and I have all I need.” And because Jacob insisted, Esau accepted it.
알렉산더 대왕Alexander the Great이 두로Tyre를 점령하기 위해 7개월을 머물면서 필요한 식량과 물자를 예루살렘에 요청을 했습니다. 하지만 대제사장 야두스Jaddus는 알렉산더의 적국인 바사왕국의 다리우스 왕에게 충성을 맹세했기 때문에 도울 수 없다고 거절합니다.
화가 난 알렉산더 대왕은 두로와 가사Gaza까지 정복한 후에 예루살렘에 입성합니다.
제사장 야두스와 예루살렘 백성들은 젊은 그리스 왕에게 처형당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제사장은 제사장의 예복을 입고 모든 백성들은 흰 옷을 입고 알렉산더와 그리스 병사를 맞이했습니다.
그런데 놀랄 일이 벌어집니다. 알렉산더 대왕이 제사장 앞에 무릎을 꿇고 절을 하며 경배를 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알렉산더 대왕의 요청을 거절한 야두스는 그의 보복이 두려워 하나님께 기도를 하고 잠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꿈에 하나님이 두려워 말고 제사장들은 제사장의 의복을 입고, 백성들은 흰 옷을 입고 알렉산더를 맞이하면 하나님이 지켜 주시겠다 말씀하셨습니다.
한편 알렉산더가 제사장을 보고 경배한 이유는 그가 세계정복의 원정을 떠나게 된 꿈에 유대제사장의 복장을 한 사람이 나타나 아시아를 정복하게 될 것이라는 예언을 했는데, 야두스가 꿈에 보았던 바로 그 사람이었던 것입니다. 그는 이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총임을 알게 되어 하나님을 경배한 것이었습니다.
야두스와 이스라엘 백성은 알렉산더 대왕을 두려워했지만, 하나님은 알렉산더를 변화시켰습니다.
야곱의 변화된 모습 “이스라엘”(3절)
오늘 본문은 야곱이 에서를 만나는 장면입니다. 하나님은 알렉산더처럼 야곱과 에서를 준비시키셨습니다.
고든 웬함은 이 장면은 성경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면 가운데 하나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끝이 아닌 시작에 불과합니다. 오늘 이렇게 감격스러운 장면에서도 우리는 야곱과 이스라엘 전혀 다른 두 사람을 만날 수 있습니다. 야곱은 브니엘에서 하나님과 씨름하여 변화되어 이스라엘로 거듭났지만, 여전히 야곱의 모습이 남아 있음을 보게 됩니다. 야곱과 이스라엘의 새로운 씨름이 시작되었습니다. 오늘은 변화된 이스라엘의 모습을, 내일은 여전히 남아있는 야곱의 모습을 살펴 보겠습니다.
밤새 하나님과 씨름을 한 야곱은 이제 육체의 장애를 가지게 되었지만, 비로소 영적인 장애를 벗어버리게 되었습니다. 비로소 하나님의 자녀로 거듭났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마치 모태신앙이 평생을 교회와 말씀 속에 살았지만, 성장하여 어느 순간에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체험하고 성령을 체험하는 것과 같습니다.
밤새 달라진 그의 모습은 바로 3절에서 잘 나타납니다.
야곱이 브니엘에서 기도하기 전에는 만일 형 에서가 자신의 재물과 종, 가족을 공격한다면 가장 먼저 도망하려고 자신은 맨 뒤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그가 그들 앞에 나아갑니다(3a).
진정한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역할에 책임을 다하는 담대한 사람입니다.
책임을 회피하고, 자기만 살려고 생각하는 것이 야곱이라면, 이스라엘은 책임을 지는 자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모습이어야 합니다.
또한 야곱은 형 에서에게 7번 절을 하면서 가까이 갑니다.
1887년 이집트 여성 농부에 의해 발견된 300여개의 토판인 아마르나 서신에 의하면, 7번 절을 하는 것은 신하가 왕에게 하는 행위입니다. 이것이 흥미로운 것은 형제에게 왕으로 대우받는 것은 야곱이 에서에게서 빼앗아 이삭에게 받은 축복입니다.
여러 민족이 너를 섬기고, 백성들이 너에게 무릎을 꿇을 것이다.
너는 너의 친척들을 다스리고, 너의 어머니의 자손들이 너에게 무릎을 꿇을 것이다. (창 27:29)
이제 야곱이 가로챘던 그 복을 형 에서에게 돌려주는 것입니다. 예물도 그런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축복만을 쫓던 야곱이 달라졌습니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을 만나는 자가 누리는 은혜입니다.
세상에서 쫓던 것들이 그저 살아가는데 있으면 감사하고, 없으면 불편한 정도의 것임을 아는 것,
그래서 그것을 하나님처럼 섬기지 않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을 만난 자가 누리는 자유입니다.
내가 변하면 상대방도 변한다(4절).
놀라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형 에서가 야곱을 보고 달려와… 맞이하여… 안고… 입 맞추고… 서로 울었다
5가지 동사로 에서의 행위가 묘사되는데, 이것은 예전에 창 25:34에서 팥죽 한 그릇에 장자권을 팔아 넘길 때와 병행하는 표현입니다. 그 때도 에서의 행동은 5가지 동사로 묘사되었습니다.
야곱이 떡과 팥죽을 에서에게 주매 에서가 먹으며 마시고 일어나 갔으니
에서가 장자의 명분을 가볍게 여김이었더라 (창 25:34)
이제 과거의 상처가 씻겨 나가는 것입니다. 야곱이 변하자, 에서도 변했습니다.
하나님은 야곱이 밤 새 기도하는 동안, 알렉산더 대왕에게 하셨던 것처럼 에서의 마음도 변화시켰습니다.
수많은 짐승 떼 선물 때문인지, 무엇 때문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에서의 마음은 진심입니다.
오직 하나님의 은혜라고 밖에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류응렬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야곱의 근본적인 문제는 신앙의 문제였습니다. 에서와 아버지를 속이는 것은 하나님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과의 문제는 하나님과 해결해야 합니다. 사람이 그 문제를 가지고 동서남북 다녀봐도 상처 난 가슴에 반창고 하나 붙이는 것밖에는 되지 않습니다.
야곱이 그렇게 누리고 싶어 아버지와 형을 속이고 받았던 축복인데, 오히려 야곱이 형 에서에게 7번이나 경배를 합니다. 결국 하나님이 리브가에게 계시하셨던 큰 자가 작은 자를 섬긴다는 것은 다른 의미, 곧 영적으로 해석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것은 작은 자 곧, 야곱의 가문을 통해서 그리스도가 오실 것이고 그리스도는 모든 큰 자들의 경배를 받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이 야곱에게 약속하신 복은 이 땅의 복이 아니라, 근원적이고 영원한 복이었습니다. 이제 야곱은 그 복에 발을 디디기 시작합니다. 그 복을 누리는 자는 얼마든지 사람들 앞에 겸손할 수 있습니다. 야곱이 변하면, 에서도 변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