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1 아브라함 때에 첫 흉년이 들었더니 그 땅에 또 흉년이 들매 이삭이 그랄로 가서 블레셋 왕 아비멜렉에게 이르렀더니
1 Now there was a famine in the land—besides the previous famine in Abraham’s time—and Isaac went to Abimelek king of the Philistines in Gerar.
26:2 여호와께서 이삭에게 나타나 이르시되 애굽으로 내려가지 말고 내가 네게 지시하는 땅에 거주하라
2 The Lord appeared to Isaac and said, “Do not go down to Egypt; live in the land where I tell you to live.
26:3 이 땅에 거류하면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게 복을 주고 내가 이 모든 땅을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라 내가 네 아버지 아브라함에게 맹세한 것을 이루어
3 Stay in this land for a while, and I will be with you and will bless you. For to you and your descendants I will give all these lands and will confirm the oath I swore to your father Abraham.
26:4 네 자손을 하늘의 별과 같이 번성하게 하며 이 모든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니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받으리라
4 I will make your descendants as numerous as the stars in the sky and will give them all these lands, and through your offspring all nations on earth will be blessed,
26:5 이는 아브라함이 내 말을 순종하고 내 명령과 내 계명과 내 율례와 내 법도를 지켰음이라 하시니라
5 because Abraham obeyed me and did everything I required of him, keeping my commands, my decrees and my instructions.”
26:6 이삭이 그랄에 거주하였더니
6 So Isaac stayed in Gerar.
26:7 그 곳 사람들이 그의 아내에 대하여 물으매 그가 말하기를 그는 내 누이라 하였으니 리브가는 보기에 아리따우므로 그 곳 백성이 리브가로 말미암아 자기를 죽일까 하여 그는 내 아내라 하기를 두려워함이었더라
7 When the men of that place asked him about his wife, he said, “She is my sister,” because he was afraid to say, “She is my wife.” He thought, “The men of this place might kill me on account of Rebekah, because she is beautiful.”
26:8 이삭이 거기 오래 거주하였더니 이삭이 그 아내 리브가를 껴안은 것을 블레셋 왕 아비멜렉이 창으로 내다본지라
8 When Isaac had been there a long time, Abimelek king of the Philistines looked down from a window and saw Isaac caressing his wife Rebekah.
26:9 이에 아비멜렉이 이삭을 불러 이르되 그가 분명히 네 아내거늘 어찌 네 누이라 하였느냐 이삭이 그에게 대답하되 내 생각에 그로 말미암아 내가 죽게 될까 두려워하였음이로라
9 So Abimelek summoned Isaac and said, “She is really your wife! Why did you say, ‘She is my sister’?”
Isaac answered him, “Because I thought I might lose my life on account of her.”
26:10 아비멜렉이 이르되 네가 어찌 우리에게 이렇게 행하였느냐 백성 중 하나가 네 아내와 동침할 뻔 하였도다 네가 죄를 우리에게 입혔으리라
10 Then Abimelek said, “What is this you have done to us? One of the men might well have slept with your wife, and you would have brought guilt upon us.”
26:11 아비멜렉이 이에 모든 백성에게 명하여 이르되 이 사람이나 그의 아내를 범하는 자는 죽이리라 하였더라
11 So Abimelek gave orders to all the people: “Anyone who harms this man or his wife shall surely be put to death.”

윤회(輪廻) 또는 삼사라reincarnation는 일정한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열반, 득도, 부처)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그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 세상으로 재탄생한다는 교의 또는 믿음입니다.
이러한 윤회의 교의에 따르면, 이 세상에서 겪는 삶의 경험이 자신의 발전에 더 이상 필요치 않는 상태 또는 경지인 열반에 도달할 때 비로소 이 세상으로의 윤회가 끝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힌두교난 불교는 윤회를 부정하는 것은 인과응보 또는 원인과 결과의 인과법칙을 부정하는 것으로, 인과법칙을 부정하게 되면 인간이 도덕적 행위를 해야 하는 근거가 무너진다고 봅니다
하지만 성경은 시작과 끝이 있음을 우리에게 분명히 이야기합니다. 소위 직선적 역사관입니다.
그러면 마치 인생이 반복되는 듯한 솔로몬의 말(전도서 1:2-9)은 틀린 것인가요?

기독교의 사관의 특징을 말하자면, 18세기 역사학자 비코Giovanni B. Vico의 역사란 나선형으로 발전한다 라는 말을 빌려야 합니다.
즉 역사는 반복을 하되,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특정한 방향으로 발전하면서 반복한다는 말입니다.
결국 역사는 그분의 뜻에 의하여 시작(창조)되었고, 주님의 다시 오심으로 끝이 납니다.
그러나 그 과정 가운데 인생은 계속해서 출생, 죄, 전쟁, 사랑, 결혼, 기쁨, 죽음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생은 돌고 돕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나가는 것입니다.
오늘 본문이 딱 그렇습니다. 아버지 아브라함의 시대가 끝났고 이삭의 시대가 시작되었지만, 아들의 인생은 마치 재방송을 보듯 아버지의 삶에 일어났던 일들이 반복됩니다.
그 중에는 어두움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일들도 있고, 빛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쁜 일들도 있습니다.

이삭의 인생에 드리운 그림자 (1, 7절)
아버지 아브라함도 흉년을 겪었지만, 아들 이삭 역시 아버지 시대에 버금가는 큰 흉년을 겪습니다.
그래서 그는 그랄로 갔다가 상황이 더 나빠지면, 애굽으로 가고자 여정을 떠납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그에게 나타나셔서 네게 지시하는 땅(가나안)에 거주하라(2)고 명령하십니다.
그리고는 그 명령을 따르면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축복을 주실 것을 약속하십니다.
조건은 오직 하나, 내 명령, 내 계명, 내 율례, 내 법도를 지키는 것입니다(5).
이삭의 인생에 있어서 아버지와 똑같이 반복된 것은 흉년 말고 하나가 더 있습니다.
그것은 아버지의 연약함을 반복하는 것이었습니다.
거짓말이고 죄이며, 아내를 누이라고 속이는 일이었습니다.
사라가 너무 속상해서 생전에 아들에게 하소연을 했을까요? 아니면 아브라함이 가르쳐 주었을까요?

자녀를 양육하다 보면 때론 자녀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나와 비슷한 행동을 하는 것을 발견합니다.
나 역시 나의 행동에서 선친의 모습이 언뜻 나오는 당혹감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그의 아내 사라를 자기 누이라 하였으므로 그랄 왕 아비멜렉이 사람을 보내어 사라를 데려갔더니
이삭도 그랬습니다. 창 20:2절에 나오는 아버지 아브라함의 복사판입니다.
인간의 연약함과 죄 역시 어두운 그림자가 되어 우리의 인생에서 반복됩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주님이 정말 빨리 오셨으면 좋겠다고 생각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흉년과 죄악이 반복되는 세상에서 자녀들이 내각 겪었던 어려움을 겪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이삭의 인생에 비춰지는 빛 (3-5; 11절)
하지만 인생이 그렇게 회의적이지만은 않습니다. 어두울 것만 같은 이삭의 인생에 빛이 드리웁니다.
그 빛은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이삭은 아버지 아브라함의 언약에 속한 자로서 그 복을 받아 누리게 됩니다. 이삭에게 있어서 아버지 아브라함의 소명장인 12장과 같은 장이 오늘 본문인 26장입니다.
그는 그의 언약 곧 천 대에 걸쳐 명령하신 말씀을 영원히 기억하셨으니
이것은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이고 이삭에게 하신 맹세이며
야곱에게 세우신 율례 곧 이스라엘에게 하신 영원한 언약이라
(시 105:8-10)
단 하나님은 약속을 지키실 것인데, 조건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약속의 땅을 떠나지 않는 것입니다.
약속의 땅은 가나안 땅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그 땅을 떠나는 것은 불신, 불순종을 의미합니다.
그 땅을 떠나는 것은 하나님의 말씀 보다 나의 생각, 나의 상황을 우선시하는 것입니다.
어떤 어려움이 와도 신앙, 믿음, 말씀, 교회, 믿음의 사람들의 곁을 떠나서는 안 됩니다.
하나님의 축복의 언약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약속의 땅에 거해야 하는 것입니다.
내 명령, 계명, 율례, 법도가 말하는 것은 결국 하나님의 말씀 가운데 거하라는 명령입니다.
이삭은 아버지 아브라함처럼 연약한 믿음으로 거짓을 말하고 범죄하여 아비멜렉에게 책망을 받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아브라함 때와 동일하게 그를 지키시고 보호하십니다(11).
내가 죄 가운데 넘어지고 실수하고 똥 밭에 구르고 있을 때도, 하나님은 나를 끝까지 사랑하십니다.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
(롬 5:8)
그리고 신실하게 당신의 언약을 당신의 의지와 능력으로 나의 연약함과 상관없이 지키십니다.
우리의 인생에 때론 흉년이 옵니다. 인생의 흉년은 괴롭고, 눈물 나는 시기입니다.
또한 우리는 늘 연약함 가운데 넘어지기도 하고, 때론 아예 작정하고 죄를 짓기도 합니다.
반복되어지는 고난과 죄악의 돌고 도는 인생이지만, 그분의 약속을 믿고 그 안에 거하고자 하는 자를 언약의 신실하신 하나님은 사랑으로 지키고 보호하시어 결국에는 가나안의 땅을 차지하게 하십니다.
흉년과 범죄가 반복되는 돌고 도는 인생이지만, 하나님의 사랑은 끝없이 우리를 보호하십니다.
하나님 말씀 안에 거하는 우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