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20901 [새벽묵상]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 What Men Live By? (창/Gen 18:1-15)



18:1 여호와께서 마므레의 상수리나무들이 있는 곳에서 아브라함에게 나타나시니라 날이 뜨거울 때에 그가 장막 문에 앉아 있다가

1 The Lord appeared to Abraham near the great trees of Mamre while he was sitting at the entrance to his tent in the heat of the day.

18:2 눈을 들어본즉 사람 셋이 맞은편에 서 있는지라 그가 그들을 보자 곧 장막 문에서 달려나가 영접하며 몸을 땅에 굽혀

2 Abraham looked up and saw three men standing nearby. When he saw them, he hurried from the entrance of his tent to meet them and bowed low to the ground.

18:3 이르되 내 주여 내가 주께 은혜를 입었사오면 원하건대 종을 떠나 지나가지 마시옵고

3 He said, “If I have found favor in your eyes, my lord, do not pass your servant by.

18:4 물을 조금 가져오게 하사 당신들의 발을 씻으시고 나무 아래에서 쉬소서

4 Let a little water be brought, and then you may all wash your feet and rest under this tree.

18:5 내가 떡을 조금 가져오리니 당신들의 마음을 상쾌하게 하신 후에 지나가소서 당신들이 종에게 오셨음이니이다 그들이 이르되 네 말대로 그리하라

5 Let me get you something to eat, so you can be refreshed and then go on your way—now that you have come to your servant.”

“Very well,” they answered, “do as you say.”

18:6 아브라함이 급히 장막으로 가서 사라에게 이르되 속히 고운 가루 세 스아를 가져다가 반죽하여 떡을 만들라 하고

6 So Abraham hurried into the tent to Sarah. “Quick,” he said, “get three seahs[b] of the finest flour and knead it and bake some bread.”

18:7 아브라함이 또 가축 떼 있는 곳으로 달려가서 기름지고 좋은 송아지를 잡아 하인에게 주니 그가 급히 요리한지라

7 Then he ran to the herd and selected a choice, tender calf and gave it to a servant, who hurried to prepare it.

18:8 아브라함이 엉긴 젖과 우유와 하인이 요리한 송아지를 가져다가 그들 앞에 차려 놓고 나무 아래에 모셔 서매 그들이 먹으니라

8 He then brought some curds and milk and the calf that had been prepared, and set these before them. While they ate, he stood near them under a tree.

18:9 그들이 아브라함에게 이르되 네 아내 사라가 어디 있느냐 대답하되 장막에 있나이다

9 “Where is your wife Sarah?” they asked him.

“There, in the tent,” he said.

18:10 그가 이르시되 내년 이맘때 내가 반드시 네게로 돌아오리니 네 아내 사라에게 아들이 있으리라 하시니 사라가 그 뒤 장막 문에서 들었더라

10 Then one of them said, “I will surely return to you about this time next year, and Sarah your wife will have a son.”

Now Sarah was listening at the entrance to the tent, which was behind him.

18:11 아브라함과 사라는 나이가 많아 늙었고 사라에게는 여성의 생리가 끊어졌는지라

11 Abraham and Sarah were already very old, and Sarah was past the age of childbearing.

18:12 사라가 속으로 웃고 이르되 내가 노쇠하였고 내 주인도 늙었으니 내게 무슨 즐거움이 있으리요

12 So Sarah laughed to herself as she thought, “After I am worn out and my lord is old, will I now have this pleasure?”

18:13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사라가 왜 웃으며 이르기를 내가 늙었거늘 어떻게 아들을 낳으리요 하느냐

13 Then the Lord said to Abraham, “Why did Sarah laugh and say, ‘Will I really have a child, now that I am old?’

18:14 여호와께 능하지 못한 일이 있겠느냐 기한이 이를 때에 내가 네게로 돌아오리니 사라에게 아들이 있으리라

14 Is anything too hard for the Lord? I will return to you at the appointed time next year, and Sarah will have a son.”

18:15 사라가 두려워서 부인하여 이르되 내가 웃지 아니하였나이다 이르시되 아니라 네가 웃었느니라

15 Sarah was afraid, so she lied and said, “I did not laugh.”

But he said, “Yes, you did laugh.”


 

톨스토이 Leo Tolstoy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단편집은 주인공인 구두수선공 세몬이 교회 앞에 나체로 있는 미하일이라는 청년을 만나 자신의 집으로 데려와 먹이고 입혀주며 함께 생활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수년간 함께 일을 하던 중 어느 날 미하일에게서 빛이 나면서 그의 정체가 하나님께 벌을 받아 근신 중이었던 천사임이 밝혀집니다. 미하일은 하나님의 세가지 질문, 인간의 마음속에 무엇이 있는가? 인간에게 허락되지 않은 것이 무엇인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에 대한 해답을 알기 전까지는 천국으로 돌아갈 수 없었던 것입니다.

미하일이 찾아낸 답은 인간의 마음속에는 사랑이 있으며, 인간에게 허락되지 않은 것은 자신에게 진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깨닫는 지혜이며, 사람은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산다는 것이었습니다.

구두수선공 세몬은 오늘 본문의 아브라함처럼 부지중에 친절함을 베풀고 하나님의 천사를 만났던 것입니다.



섬김 : 하나님의 형상 (1-8절)

개명과 할례로 언약을 갱신한 아브라함은 얼마 지나지 않은 시간에 다시 하나님을 만납니다.

장소는 아브라함의 거주지요, 영적인 장소인 상수리 나무 수풀(창 13:18)에서입니다.

저자인 모세는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나타나셨다고 1절에 기록하고 있는데, 아브라함이 본 것은 3명의 사람입니다. 그들의 정체가 애매합니다. 아브라함은 그 중 한 명에게 내 주여(3)라고 호칭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구약 성경에서 거의 하나님에게 쓰여진 호칭입니다.

또한 그 세 명의 사람은 먹습니다(8). 모세는 그 중의 한 명이 여호와이심을 밝힙니다(13).

17, 19, 20, 26, 33절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19:1 절에서는 그 두 천사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그들 중 두 명은 분명히 천사였습니다.

결국 이 모든 기사를 종합해보면 세 명의 사람이 아브라함에게 나타났는데, 그 중 한 명은 하나님이셨고, 나머지 두 명은 천사였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인간처럼 먹었습니다.

이것을 신의 현현Theophany이라고 합니다(창 16:13; 출 23:20-23). 이것은 대부분 제2위격인 성자 하나님, 즉 예수님의 나타나심이고, 이 신의 현현의 클라이맥스가 예수님의 성육신입니다.



그래서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형상이니라(고후 4:4b)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예수님만 하나님의 형상일까요?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창 1:27)


인간 자체가 바로 하나님의 형상입니다. 그래서 인간이 귀한 것입니다.

인권이 무엇이며, 무엇에 근거할까요? 인권(人權, human rights)은 인간이 인간답게 존재하기 위한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인간의 권리 및 지위와 자격을 의미하는 개념입니다.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 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세계인권선언 제1조)



그런데 선포만 있을 뿐, 왜? 인간이 인간으로서 권리와 지위, 자격을 누리는지 그 근거를 설명하지는 못합니다.

사실 인권은 하나님을 떠나서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모든 인권은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존재라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그러므로 인간 문제의 원인은 인간이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보지 않는 것 때문에 발생합니다.

다른 사람을 자신의 욕구의 대상으로 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힘 센 자들이 약한 자들을 착취하고 억압하는 일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오늘 본문의 아브라함은 바로 이러한 하나님의 형상, 즉 인권을 기본으로 한 접대를 합니다.

아브라함이 과연 그들이 하나님임을 알고 그랬을까요? 히브리서 저자는 이로써 부지중에 천사들을 대접한 이들이 있었느니라 (히 13:2) 말합니다. 아브라함은 몰랐던 것 같습니다.

탈무드에는 객들에게 베푸는 호의는 하나님의 임재를 환영하는 것보다 더 위대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보통 하나님의 임재(현현)는 예배, 제단을 쌓는 것으로 이어지지만, 오늘 본문은 단순히 접대만 있습니다. 실제로 타인에게 베푸는 호의는 일종의 예배 행위와 같습니다.

예수님도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마 25:40b)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처럼 아브라함의 섬김은 자발적이고 겸손하며 온 정성을 다한 섬김이었습니다. 우리는 누구를 섬겨야 할까요?



전능하신 하나님 (9-15절)

맛있게 식사하신 하나님은 사라를 찾습니다. 그리고 예언하십니다(10, 14).

이를 듣고 사라는 속으로 웃습니다. 사라는 생리가 그쳤고, 아브라함은 100살입니다. 웃는 것이 당연한 반응입니다. 그런데 인간의 문제는 늘 자신의 한계로 하나님을 저울질하는 것입니다.

내가 못하면 하나님도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모르면 그분도 모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J.B. 필립스는 Your God is too small 당신의 하나님은 너무 작습니다 라는 제목의 책을 썼습니다.

인간이 자신의 이성, 생각, 이해만으로 하나님을 재단하는 것에 대한 통찰이 담긴 책제목입니다.

본문(14)에서 하나님은 이러한 입장을 좀 더 직설적으로 표현합니다.

여호와께 능치 못 한 일이 있겠느냐? 나 여호와가 할 수 없는 일이 있겠느냐?



지금 우리는 어떤 현실적인 문제에 놓여 있습니까? 도저히 인간으로서는 불가능한 일인가요?

내가 지금 겪는 문제와 100/90세 할아버지 할머니가 아이를 낳는 것 둘 중에 어떤 것이 더 힘든 일입니까? 부부간의 문제가 있습니까? 자녀의 문제가 있습니까? 불투명한 미래가 문제입니까?

재정적인 문제, 신분의 문제가 있습니까? 건강의 문제가 있습니까? 무엇이든지 맡기고 기도만 한다면 여호와께는 능치 못함이 없는 줄로 믿습니다. 하나님이 하십니다.


내 머릿속에 있는 작은 하나님이 아니라 바다보다 우주보다 넓은 하나님 안으로 뛰어들고 싶지 않습니까?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바로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삽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살 수 있었던 것도 결국에는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도 결국 우리가 살 수 있는 비결이 하나님 아니라면 무엇이겠습니까?

나는 못해도 하나님은 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이 시간 전능하신 하나님께 나의 모든 것을 맡기고 믿음으로 승리하는 성도 되기를 원합니다. 사람은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사는 것입니다.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