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노아의 아들 셈과 함과 야벳의 족보는 이러하니라 홍수 후에 그들이 아들들을 낳았으니
1 This is the account of Shem, Ham and Japheth, Noah’s sons, who themselves had sons after the flood.
10:2 야벳의 아들을 고멜과 마곡과 마대와 야완과 두발과 메섹과 디라스요
2 The sons of Japheth:
Gomer, Magog, Madai, Javan, Tubal, Meshek and Tiras.
10:3 고멜의 아들은 아스그나스와 리밧과 도갈마요
3 The sons of Gomer:
Ashkenaz, Riphath and Togarmah.
10:4 야완의 아들은 엘리사와 달시스와 깃딤과 도다님이라
4 The sons of Javan:
Elishah, Tarshish, the Kittites and the Rodanites.
10:5 이들로부터 여러 나라 백성으로 나뉘어서 각기 언어와 종족과 나라대로 바닷가의 땅에 머물렀더라
5 (From these the maritime peoples spread out into their territories by their clans within their nations, each with its own language.)
10:6 함의 아들은 구스와 미스라임과 붓과 가나안이요
6 The sons of Ham:
Cush, Egypt, Put and Canaan.
10:7 구스의 아들은 스바와 하윌라와 삽다와 라아마와 삽드가요 라아마의 아들은 스바와 드단이며
7 The sons of Cush:
Seba, Havilah, Sabtah, Raamah and Sabteka.
The sons of Raamah:
Sheba and Dedan.
10:8 구스가 또 니므롯을 낳았으니 그는 세상에 첫 용사라
8 Cush was the father of Nimrod, who became a mighty warrior on the earth.
10:9 그가 여호와 앞에서 용감한 사냥꾼이 되었으므로 속담에 이르기를 아무는 여호와 앞에 니므롯 같이 용감한 사냥꾼이로다 하더라
9 He was a mighty hunter before the Lord; that is why it is said, “Like Nimrod, a mighty hunter before the Lord.”
10:10 그의 나라는 시날 땅의 바벨과 에렉과 악갓과 갈레에서 시작되었으며
10 The first centers of his kingdom were Babylon, Uruk, Akkad and Kalneh, in Shinar.
10:11 그가 그 땅에서 앗수르로 나아가 니느웨와 르호보딜과 갈라와
11 From that land he went to Assyria, where he built Nineveh, Rehoboth Ir, Calah
10:12 및 니느웨와 갈라 사이의 레센을 건설하였으니 이는 큰 성읍이라
12 and Resen, which is between Nineveh and Calah—which is the great city.
10:13 미스라임은 루딤과 아나밈과 르하빔과 납두힘과
13 Egypt was the father of the Ludites, Anamites, Lehabites, Naphtuhites,
10:14 바드루심과 가슬루힘과 갑도림을 낳았더라(가슬루힘에게서 블레셋이 나왔더라)
14 Pathrusites, Kasluhites (from whom the Philistines came) and Caphtorites.
10:15 가나안은 장자 시돈과 헷을 낳고
15 Canaan was the father of Sidon his firstborn,[g] and of the Hittites,
10:16 또 여부스 족속과 아모리 족속과 기르가스 족속과
16 Jebusites, Amorites, Girgashites,
10:17 히위 족속과 알가 족속과 신 족속과
17 Hivites, Arkites, Sinites,
10:18 아르왓 족속과 스말 족속과 하맛 족속을 낳았더니 이 후로 가나안 자손의 족속이 흩어져 나아갔더라
18 Arvadites, Zemarites and Hamathites.
Later the Canaanite clans scattered
10:19 가나안의 경계는 시돈에서부터 그랄을 지나 가사까지와 소돔과 고모라와 아드마와 스보임을 지나 라사까지였더라
19 and the borders of Canaan reached from Sidon toward Gerar as far as Gaza, and then toward Sodom, Gomorrah, Admah and Zeboyim, as far as Lasha.
10:20 이들은 함의 자손이라 각기 족속과 언어와 지방과 나라대로였더라
20 These are the sons of Ham by their clans and languages, in their territories and nations.
10:21 셈은 에벨 온 자손의 조상이요 야벳의 형이라 그에게도 자녀가 출생하였으니
21 Sons were also born to Shem, whose older brother was Japheth; Shem was the ancestor of all the sons of Eber.
10:22 셈의 아들은 엘람과 앗수르와 아르박삿과 룻과 아람이요
22 The sons of Shem:
Elam, Ashur, Arphaxad, Lud and Aram.
10:23 아람의 아들은 우스와 홀과 게델과 마스며
23 The sons of Aram:
Uz, Hul, Gether and Meshek.
10:24 아르박삿은 셀라를 낳고 셀라는 에벨을 낳았으며
24 Arphaxad was the father of Shelah,
and Shelah the father of Eber.
10:25 에벨은 두 아들을 낳고 하나의 이름을 벨렉이라 하였으니 그 때에 세상이 나뉘었음이요 벨렉의 아우의 이름은 욕단이며
25 Two sons were born to Eber:
One was named Peleg, because in his time the earth was divided; his brother was named Joktan.
10:26 욕단은 알모닷과 셀렙과 하살마웻과 예라와
26 Joktan was the father of
Almodad, Sheleph, Hazarmaveth, Jerah,
10:27 하도람과 우살과 디글라와
27 Hadoram, Uzal, Diklah,
10:28 오발과 아비마엘과 스바와
28 Obal, Abimael, Sheba,
10:29 오빌과 하윌라와 요밥을 낳았으니 이들은 다 욕단의 아들이며
29 Ophir, Havilah and Jobab. All these were sons of Joktan.
10:30 그들이 거주하는 곳은 메사에서부터 스발로 가는 길의 동쪽 산이었더라
30 The region where they lived stretched from Mesha toward Sephar, in the eastern hill country.
10:31 이들은 셈의 자손이니 그 족속과 언어와 지방과 나라대로였더라
31 These are the sons of Shem by their clans and languages, in their territories and nations.
10:32 이들은 그 백성들의 족보에 따르면 노아 자손의 족속들이요 홍수 후에 이들에게서 그 땅의 백성들이 나뉘었더라
32 These are the clans of Noah’s sons, according to their lines of descent, within their nations. From these the nations spread out over the earth after the flood.
오늘의 본문은 바벨탑 사건(11:1-9)과 현저한 문학적 장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 섹션을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학자들이 창세기를 이해함에 있어서 이 부분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수천년 전 다른 종족의 족보가 오늘 나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을까요?
톨레도트(족보)의 의미
10, 11장이 중요한 이유는 태고사(오랜 역사)의 이야기가 마무리되고, 비교적 가까운 이스라엘의 실제적인 역사인 아브라함으로 연결되어지는 가교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창세기에서 중요한 분기점 역할을 하는 단어가 톨레도트(족보, 가계, 대략 등. 2:4; 6:9; 10:1)이라고 이미 말했습니다.
본문의 구조는 톨레도트에 대한 소개를 시작(1)으로, 야벳의 자손(2-5절), 함의 자손(6-20절), 셈의 자손(21-31절) 그리고 32절 흩어져 나가는 후손들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모세가 기록한 민족들의 분포도를 보면 결국에는 모세 시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족속들을 중심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비교적 접촉과 영향력이 적었던 야벳의 기록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간혹 사람들은 우스개 소리로 하나님이 인간을 진흙으로 빗으신 후에 너무 구워서 흑인, 덜 구워서 백인, 최종적으로 잘 구워서 황인종이 탄생했다고 말합니다. 그저 조크일 뿐입니다.
세 명 모두 한 배(엄마, 방주)에서 태어난 존재로, 오늘날 인종이 나뉜 것은 이미 인간의 DNA 가운데 모든 인종이 내재해 있는데 결혼을 통해서 각 인종의 DNA가 강화되면서 인종이 나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오늘날 유럽인들의 DNA를 조사해보면 순수 혈통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들도 수많은 인종이 섞여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놀라곤 합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결국 인류는 아담과 노아라는 한 조상에서 출발 했음을 반증해줍니다.
족보가 말하려는 것도 이와 같습니다. 결국 인류는 한 조상 노아와 아담, 그리고 하나님으로부터 출발했다는 것입니다.
모세는 결코 전 인종을 다 기록하고 있지 않습니다. 적어도 아시안은 없습니다.
아마도 모세는 우리와 같은 아시안을 보지 못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모세는 의도적으로 정확히 노아의 후손을 70명으로 기록(야벳 14, 함 30, 셈 26)합니다.
그는 선별적으로 70명을 기록한 것이고, 이는 포괄성, 총괄성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자면 이집트에 간 야곱의 자손 70명, 이스라엘 공동체 장로 수 70과 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모세는 신명기 32장 8절에서 다음과 같이 노래합니다.
지극히 높으신 자가 민족들에게 기업을 주실 때에, 인종을 나누실 때에
이스라엘 자손의 수효대로 백성들의 경계를 정하셨도다 (신 32:8)
그러므로 우리는 전인류가 한 가족임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그런 점에서 인종차별은 말할 것도 없고, 지나친 민족주의, 혈통주의는 옳지 않습니다.
그런 점에서 그저 생물학적인 형질에 따라 인종을 구분하는 형질인류학은 조심스럽습니다.
물론 자연과학적인 접근도 분명히 필요하지만, 그보다는 문화적인(정치, 문화, 언어, 지리적 요건)접근 인문과학적 접근이 더 중요합니다. 우리는 하나입니다.
니므롯 시대에 살아남기
하지만 인종과 상관없이 죄인의 유전자(?)가 강력히 흐르는 자들이 존재합니다.
가인이 그랬고, 라멕이 그랬으며 오늘 본문에는 거룩한 노아의 자손이지만 함의 후손이자
구스(이집트)의 자손인 니므롯이 그렇습니다.
그는 세상의 첫 용사라(8)는 말은 그가 처음으로 국가의 형태를 갖춘 나라를 수립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국민, 영토, 주권이 국가의 3요소인데, 이것을 충족하는 공동체를 수립했다는 의미입니다.
개역 성경은 그가 세상의 처음 영걸이라 고 기록하는데, 영걸(용사)는 히브리어 깁보르 גִּבֹּ֖ר로 그 의미는 강력한 세력을 지닌 자(룻 2:1 에서는 보아스), 폭력으로 통치하는 자라는 의미입니다.
니므롯은 두번째 의미입니다. 왜냐하면 니므롯 이름의 뜻이 반역하는 자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호와 앞에서(9)는 하나님이 보실 때, 또는 하나님을 대적하여 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용감한 사냥꾼(9)은 문자적으로는 짐승을 난폭하게 잡는 사냥꾼으로 전쟁 영웅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고로 여호와 앞에서 용감한 사냥꾼의 의미는 여호와를 대적하는 매우 난폭한 전쟁광, 폭력을 사용하여 다스리는 자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홍수를 통해서 심판하셨지만, 그 죄는 여전히 인생의 마음 속에 남아서 활개를 칩니다.
노아와 함을 통해서 죄는 여전히 니므롯과 같은 존재를 생산해 냅니다.
이러한 세상, 폭력과 힘이 난무하며, 그 힘의 원리로 돌아가는 세상 가운데 선한 그리스도인들은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셈의 후손을 살펴보면서 그 해답을 찾아보겠습니다. 셈은 이스라엘의 조상(21)입니다.
에벨은 아브라함의 몇 대손 할아버지로 그 이름의 뜻은 건너온 자, 건넌 자라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유프라데스 강을 건너온 사실을 반영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니므롯 시대에 거룩한 자손들이 살아가는 방법입니다. 말씀대로 말씀을 따라 견디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힘든 세상 가운데 구별되어, 견디며 살 때 구원을 얻는 것입니다.
주님은 그러나 끝까지 견디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라(마 24:13) 말씀하셨습니다.
니므롯 시대에 살아남는 방법은 오직 믿음으로 오직 주님만 바라며 구원을 소망하며 어떤 고통과 어려움이 있을지라도 견디는 것입니다.
족보를 보면서 생각해봅니다. 어떻게 인류가 시작되고, 어떻게 아브라함에게까지 이르게 되었는지 족보를 통해서 배웁니다. 그 방법이 바로 선택입니다.
많은 족속 가운데에서도 하나님은 셈을 그리고 그 중에 에벨을 선택하셨습니다.
거기에는 어떤 이유도, 목적도 나오지 않습니다. 그저 은혜로 밖에는 설명할 길이 없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눈길은 그 선택한 존재인 우리에게 머물러 있습니다.
하나님은 폭력이 난무하고 힘이 지배하는 시대 가운데에서도 끝까지 하나님을 바라는 믿음의 의인들에게 그 시선을 주십니다. 비록 고통스럽고 힘들고 어려움이 있는 삶일지라도, 끝까지 견디고 승리하는 성도 되시기를…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