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20620 [새벽묵상] 우연을 가장한 필연 | Inevitability Disguised as Coincidence (에/esth 8:1~10)



8:1 그 날 아하수에로 왕이 유다인의 대적 하만의 집을 왕후 에스더에게 주니라 에스더가 모 르드개는 자기에게 어떻게 관계됨을 왕께 아뢰었으므로 모르드개가 왕 앞에 나오니

1 That same day King Xerxes gave Queen Esther the estate of Haman, the enemy of the Jews. And Mordecai came into the presence of the king, for Esther had told how he was related to her.

8:2 왕이 하만에게서 거둔 반지를 빼어 모르드개에게 준지라 에스더가 모르드개에게 하만의 집을 관리하게 하니라

2 The king took off his signet ring, which he had reclaimed from Haman, and presented it to Mordecai. And Esther appointed him over Haman’s estate.

8:3 에스더가 다시 왕 앞에서 말씀하며 왕의 발 아래 엎드려 아각 사람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한 악한 꾀를 제거하기를 울며 구하니

3 Esther again pleaded with the king, falling at his feet and weeping. She begged him to put an end to the evil plan of Haman the Agagite, which he had devised against the Jews.

8:4 왕이 에스더를 향하여 금 규를 내미는지라 에스더가 일어나 왕 앞에 서서

4 Then the king extended the gold scepter to Esther and she arose and stood before him.

8:5 이르되 왕이 만일 즐거워하시며 내가 왕의 목전에 은혜를 입었고 또 왕이 이 일을 좋게 여기시며 나를 좋게 보실진대 조서를 내리사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이 왕의 각 지방에 있는 유다인을 진멸하려고 꾀하고 쓴 조서를 철회하소서

5 “If it pleases the king,” she said, “and if he regards me with favor and thinks it the right thing to do, and if he is pleased with me, let an order be written overruling the dispatches that Haman son of Hammedatha, the Agagite, devised and wrote to destroy the Jews in all the king’s provinces.

8:6 내가 어찌 내 민족이 화 당함을 차마 보며 내 친척의 멸망함을 차마 보리이까 하니

6 For how can I bear to see disaster fall on my people? How can I bear to see the destruction of my family?”

8:7 아하수에로 왕이 왕후 에스더와 유다인 모르드개에게 이르되 하만이 유다인을 살해하려 하므로 나무에 매달렸고 내가 그 집을 에스더에게 주었으니

7 King Xerxes replied to Queen Esther and to Mordecai the Jew, “Because Haman attacked the Jews, I have given his estate to Esther, and they have impaled him on the pole he set up.

8:8 너희는 왕의 명의로 유다인에게 조서를 뜻대로 쓰고 왕의 반지로 인을 칠지어다 왕의 이름을 쓰고 왕의 반지로 인친 조서는 누구든지 철회할 수 없음이더라 하더라

8 Now write another decree in the king’s name in behalf of the Jews as seems best to you, and seal it with the king’s signet ring—for no document written in the king’s name and sealed with his ring can be revoked.”

8:9 그 때 시완월 곧 삼월 이십삼일에 왕의 서기관이 소집되고 모르드개가 시키는 대로 조서를 써서 인도로부터 구스까지의 백이십칠 지방 유다인과 대신과 지방관과 관원에게 전할새 각 지방의 문자와 각 민족의 언어와 유다인의 문자와 언어로 쓰되

9 At once the royal secretaries were summoned—on the twenty-third day of the third month, the month of Sivan. They wrote out all Mordecai’s orders to the Jews, and to the satraps, governors and nobles of the 127 provinces stretching from India to Cush.[a] These orders were written in the script of each province and the language of each people and also to the Jews in their own script and language.

8:10 아하수에로 왕의 명의로 쓰고 왕의 반지로 인을 치고 그 조서를 역졸들에게 부쳐 전하게 하니 그들은 왕궁에서 길러서 왕의 일에 쓰는 준마를 타는 자들이라

10 Mordecai wrote in the name of King Xerxes, sealed the dispatches with the king’s signet ring, and sent them by mounted couriers, who rode fast horses especially bred for the king.


 


에브리데이교회에서 부목사로 섬기던 시절 앞으로 진로에 대해서 고민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하루는 담임목사님이 부르시더니 시애틀에 이런이런 목회 자리가 있는데, 한 번 가보겠냐고 말씀하셨습니다. 시애틀이라는 말을 듣는 순간 딱 2가지가 생각 났습니다.

하나는 스타벅스입니다. 제가 워낙 커피를 좋아하는데, 스타벅스가 시작된 고향인 시애틀이라니!

다른 하나는 시애틀에 잠 못 이루는 밤Sleepless in Seattle이라는 영화입니다.

톰 행크스, 맥 라이언이라는 당대 최고의 배우들이 주연한 1993년도 로맨스 드라마 영화입니다.

그래서인지 시애틀은 왠지 한국인들에게는 익숙한… 꼭 친한 친구의 고향 같은 느낌입니다.

그렇게 저는 시애틀에 오게 되었습니다. 너무 유치한 이유인가요?

어쨌든 저는 지금 사는 이곳을 너무 사랑합니다.




수산성에 잠 못 이루는 밤 (6:1~7:10)

사람들은 사랑 때문에 잠 못 이루는 날이 있습니다. 또는 시험 때문에 잠 못 이루는 날도 있습니다.

또는 돈 문제나 기타 여러 문제로 고민하며 잠을 이루지 못합니다.

에스더서에도 보면 아하수에로 왕이 잠 못 이루는 밤이 나옵니다.

히브리어 원문은 잠이 달아났다 라고 표현합니다. 우리말과 매우 비슷한 표현법입니다.

무슨 이유인지는 정확하게 모르겠지만, 어쨌든 왕은 잠을 못 자자 궁중일기를 보게 됩니다.

그리고는 모르드개가 자신을 구한 일과 그에게 아무 포상도 하지 않은 것을 알게 됩니다.

마침 모르드개를 나무에 달고자 허락을 받으러 온 하만이 왕 앞에 서게 됩니다. 그러자 왕은 하만에게 존귀한 자를 어떻게 대우하는 것이 좋을지 묻습니다. 자아도취형 인간인 하만은 자신이 그 대상인줄 알고 왕의 의복과 왕의 말을 태워 모든 백성이 그를 경배하게 하면 된다고 말합니다.

그러자 왕은 유대인 모르드개에게 하만이 말한 것을 하나도 빠짐없이 행할 것을 명령합니다.

그리고 그 앞에서 길을 예비하는 일을 하만에게 하게 합니다.



일을 마치고 돌아온 하만은 도대체 일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정신이 혼미할 정도입니다.

하만은 이것이 하나님의 반전의 역사가 시작된 것임을 알지 못합니다.

하나님의 역사는 이처럼 우연같지만 우연이 아닌 하나님의 정교한 역사와 섭리 가운데 일어지는 일입니다. 잠 못 이루는 이유는 여러가지 일 수 있지만, 하나님은 그것조차 활용하시어 하나님의 일을 이루시는 분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삶에 우연이란 없습니다. 모든 것이 하나님 안에서 벌어지는 필연일 뿐입니다.

하만이 혼란스러워하는 것도 잠시 바로 에스더 여왕이 베푸는 두 번째 잔치에 참석하라는 명령을 받습니다. 잔치는 이틀에 걸쳐 벌어집니다. 두번째 날 에스더 여왕은 어쩔 수 없다는 듯 왕에게 자신의 소원을 이야기하게 됩니다.



왕이 지난 번 잔치에서부터 본문의 잔치까지 3번이나 나라의 절반이라도 주겠다고 말했습니다.

드디어 때가 되었습니다. 에스더는 자신과 자신의 민족을 살려 달라고 말합니다.

그녀가 얼마나 지혜롭게 왕에게 말하는지 모릅니다. 왕이 감히 왕비와 왕비의 민족을 해치려는 자가 누구인지를 묻습니다. 에스더는 그가 바로 하만이라고 답하고, 왕은 매우 분노하여 잠시 자리를 박차고 떠납니다.

그때서야 일이 너무 잘못된 것을 인지한 하만은 왕비에게 매달려 살려 달라고 애원합니다. 그런데 하필 그때 왕이 돌아와 그 장면을 보고는 왕실 왕 앞에서 왕비를 강간하려고 한다고 말하자, 군인들이 그를 체포합니다. 이것은 사실 왕의 과장입니다. 하지만 왕에게는 하만을 처벌할 명분으로 하기에는 아주 좋은 상황이었던 것입니다. 결국 하만은 자신이 준비한 나무에 자신이 매달려 죽습니다.



사랑이 회복된 가정과 민족 (1~10)

왕은 하만의 집과 그에게 주었던 모든 것을 빼앗아 모르드개에게 줍니다. 하지만 여전히 하만이 왕의 도장을 찍어 공포한 왕의 조서는 유효합니다. 그래서 에스더는 다시 왕의 발 앞에 엎드려 조서를 취하할 것을 울며 간구합니다. 그러자 왕은 자신의 금규를 내밀고 에스더는 이제 왕 앞에 동등하게 서게 됩니다.

비로소 가정에서 사랑이 다시 회복되는 모습입니다(3~4).

왕은 모든 권한을 에스더와 모르드개에게 주며 마음대로 새로운 조서를 내릴 것을 허락합니다.

사실 왕 입장에서는 자신이 내린 조서를 변경하는 것은 체면이 서지 않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에스더와 모르드개가 적절하게 조서를 꾸며 내림으로 자신이 그 책임을 회피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결국 모르드개에 의해 유대인을 살리는 새로운 조서가 꾸며지고 전국으로 전달됩니다.



본문에서 우리는 한달 동안 보지 않았던 부부가 다시 애틋한 모습으로 하나 되는 모습을 봅니다.

또한 사라질 위기에 처했던 한 민족이 다시 회복되는 은혜를 누리게 되는 것을 보게 됩니다.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의 섬세한 인도하심에 의해 벌어진 일입니다.

우리 삶도 마찬가지입니다. 우연인 것 같지만 사실 이 세상에 우연은 하나도 없습니다.

잠 못 드는 밤 역시도 무엇인가 뜻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 모든 이유를 다 알 수 없습니다. 또한 알 필요도 없습니다.

다만 모든 것을 하나님이 주관하신다는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그럴 때 우리는 우리 삶 가운데 벌어지는 모든 일을 인내하고 이해하고 참고 기다릴 수 있는 것입니다.

삶에서 소망을 잃지 맙시다!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기대하고 기다립시다.

오늘은 하나님이 또 어떤 인생역전을 이루어 주실지 기대해 봅시다.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