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그 후에 아하수에로 왕의 노가 그치매 와스디와 그가 행한 일과 그에 대하여 내린 조서 를 생각하거늘
1 Later when King Xerxes’ fury had subsided, he remembered Vashti and what she had done and what he had decreed about her.
2:2 왕의 측근 신하들이 아뢰되 왕은 왕을 위하여 아리따운 처녀들을 구하게 하시되
2 Then the king’s personal attendants proposed, “Let a search be made for beautiful young virgins for the king.
2:3 전국 각 지방에 관리를 명령하여 아리따운 처녀를 다 도성 수산으로 모아 후궁으로 들여 궁녀를 주관하는 내시 헤개의 손에 맡겨 그 몸을 정결하게 하는 물품을 주게 하시고
3 Let the king appoint commissioners in every province of his realm to bring all these beautiful young women into the harem at the citadel of Susa. Let them be placed under the care of Hegai, the king’s eunuch, who is in charge of the women; and let beauty treatments be given to them.
2:4 왕의 눈에 아름다운 처녀를 와스디 대신 왕후로 삼으소서 하니 왕이 그 말을 좋게 여겨 그대로 행하니라
4 Then let the young woman who pleases the king be queen instead of Vashti.” This advice appealed to the king, and he followed it.
2:5 도성 수산에 한 유다인이 있으니 이름은 모르드개라 그는 베냐민 자손이니 기스의 증손이요 시므이의 손자요 야일의 아들이라
5 Now there was in the citadel of Susa a Jew of the tribe of Benjamin, named Mordecai son of Jair, the son of Shimei, the son of Kish,
2:6 전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서 유다 왕 여고냐와 백성을 사로잡아 갈 때에 모르드개도 함께 사로잡혔더라
6 who had been carried into exile from Jerusalem by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among those taken captive with Jehoiachin[a] king of Judah.
2:7 그의 삼촌의 딸 하닷사 곧 에스더는 부모가 없었으나 용모가 곱고 아리따운 처녀라 그의 부모가 죽은 후에 모르드개가 자기 딸 같이 양육하더라
7 Mordecai had a cousin named Hadassah, whom he had brought up because she had neither father nor mother. This young woman, who was also known as Esther, had a lovely figure and was beautiful. Mordecai had taken her as his own daughter when her father and mother died.
2:8 왕의 조서와 명령이 반포되매 처녀들이 도성 수산에 많이 모여 헤개의 수하에 나아갈 때에 에스더도 왕궁으로 이끌려 가서 궁녀를 주관하는 헤개의 수하에 속하니
8 When the king’s order and edict had been proclaimed, many young women were brought to the citadel of Susa and put under the care of Hegai. Esther also was taken to the king’s palace and entrusted to Hegai, who had charge of the harem.
2:9 헤개가 이 처녀를 좋게 보고 은혜를 베풀어 몸을 정결하게 할 물품과 일용품을 곧 주며 또 왕궁에서 으레 주는 일곱 궁녀를 주고 에스더와 그 궁녀들을 후궁 아름다운 처소로 옮기더라
9 She pleased him and won his favor. Immediately he provided her with her beauty treatments and special food. He assigned to her seven female attendants selected from the king’s palace and moved her and her attendants into the best place in the harem.
2:10 에스더가 자기의 민족과 종족을 말하지 아니하니 이는 모르드개가 명령하여 말하지 말라 하였음이라
10 Esther had not revealed her nationality and family background, because Mordecai had forbidden her to do so.
2:11 모르드개가 날마다 후궁 뜰 앞으로 왕래하며 에스더의 안부와 어떻게 될지를 알고자 하였더라
11 Every day he walked back and forth near the courtyard of the harem to find out how Esther was and what was happening to her.
성경 중에서 하나님의 이름이나 언급이 하나도 나오지 않는 성경이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우리가 살펴보게 될 에스더서가 그렇습니다.
이 문제로 인하여 에스더서의 정경성에 대한 도전이 많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이야기 곳곳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섭리를 볼 수 있어서 결국 정경으로 인정을 받게 됩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는 본서의 강력한 주제입니다.
흩어진 유대인, 곧 디아스포라는 자신들이 과연 아직도 하나님의 백성인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었고, 에스더서 저자는 이에 대한 답변을 이야기로 대신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스스로 생각하고 답을 얻게 합니다.
하나님이라는 이름이 하나도 나오지 않는 책에서 매순간마다 드러나지 않지만 주권적으로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발견할 수 있는 책이 에스더서인 것입니다.
에스더서의 또 다른 특징은 룻기와 더불어 유일하게 여성의 이름으로 명명되는 성경이라는 것입니다.
에스더라는 이름은 본서에 55회 등장합니다. 에스더의 본래 이름은 하닷사(7)인데, 그 의미는 아름다운 나무, 또는 도금양(화석류)나무입니다. 에스더는 페르시아식 이름으로 별Star이라는 의미입니다.
많은 사람을 옳은 데로 돌아오게 한 자는 별과 같이 영원토록 빛나리라(단 12:3)는 다니엘의 말과 잘 어울리는 여성이 에스더인 것입니다.
한편 에스더서의 저자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Josephus는 모르드개를, 어거스틴Augustine은 에스라로 보지만 두 주장 모두 무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보수적인 학자들은 대부분 페르시아에 거주했던 익명의 유대인 디아스포라로 봅니다.
잔치, 잔치 또 잔치 (1:1~22)
에스더서의 이야기는 아하수에로왕Xerxes(B.C.486~465) 때에 일어난 이야기입니다.
당시 이스라엘 주변의 패권은 앗수르 - 바벨론 – 메대/바사로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아하수에로가 베푼 승리의 잔치는 B.C.516년 스룹바벨 성전이 완공되고, 33년이 지난 후(B.C.483)에 벌어진 사건입니다.
에스더서에는 잔치라는 단어가 총 20회 등장합니다. 잔치는 전체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중요한 모티브 중 하나입니다. 왕은 180일, 6개월간의 잔치를 마치고 또 다시 수산성 잔치를 일주일간 베풉니다(1:1~5).
그런데 술에 취하여 흥이 오른 왕은 갑자기 왕후 와스디를 불러, 그녀의 아리따움을 자랑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왕후 와스비는 왕의 명령을 어기고 술자리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자 왕은 진노하여 마음속이 불붙는 듯합니다(1:12).
결국 와스디는 폐위됩니다. 남편의 명령을 듣지 않아, 전국의 모든 여성들에게 잘못된 본을 보였다는 죄목입니다. 현대의 시각으로는 말도 안 되는 일이지만, 수천년이라는 시간적인 차이를 생각한다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장면입니다.
사실 본문에 등장하는 왕이나 신하들은 무능하기 짝이 없어 보입니다.
저자는 자신의 집안 하나 다스리지 못해서 신하들에게 해결책을 물어보고 자신의 아내를 폐위하는 왕이나, 술 취한 왕의 명령을 어긴 것이 전국 여성들에게 좋지 않은 본을 보일 것이라고 논리를 비약하는 신하들은 그들의 수준을 있는 그대로 독자들에게 보여줍니다.
이제 신하들은 왕의 말을 잘 듣고, 와스디 보다 더 예쁜 처녀를 새로운 왕비로 맞아드릴 계획을 세웁니다.
과연 에스더는 술꾼 남편 말을 잘 듣는 여왕이 될까요? 앞으로 재미있는 관전 포인트입니다.
주인공 (1~10절)
오늘 본문은 그 후에(1a)로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 때는 왕비 와스디를 폐위한 때로부터 4년이 흐른 때입니다. 와스디가 폐위된 때(B.C483)는 아하수에로 즉위 3년(1:3)이었고, 에스더가 왕비 된 때(B.C.479) 는 왕의 즉위 7년(2:16)이기 때문입니다.
이 기간에 아하수에로 왕은 그리스와 싸운 살라미스 해전에서 대패를 한 직후(B.C.480)였습니다.
왕은 그제서야 자신이 취기에 아내를 폐위한 것을 후회합니다. 이를 눈치 챈 신하들은 더 젊고, 아름다운 처녀를 왕비로 삼을 것을 제안하고, 왕은 이를 기쁘게 여깁니다.
드디어 이야기의 주인공인 모르드개와 에스더가 등장합니다. 모르드개는 베냐민 지파로 사울 왕가의 사람입니다. 모르드개의 증조할아버지는 기스로 사울 왕의 아버지와 이름이 같습니다.
에스더는 부모가 일찍 죽어 삼촌인 모르드개가 수양딸 삼아 키운 조카입니다.
세계의 패권을 쥐고 있는 아하수에로 왕이 주인공이어야 할 것 같지만, 실제는 그리 중요하지 않은 소수민족,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 소수 민족의 노인과 어린 소녀가 이 이야기의 주인공입니다.
그리고 뛰어난 미모의 에스더는 궁녀를 주관하는 헤개의 마음을 기쁘게 합니다.
결국 에스더는 그로부터 은혜를 입게 됩니다.
여기서 은혜는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을 나타내는 헤세드 חסד 입니다.
이것은 앞으로 에스더서의 진짜 주인공이 누구인지에 대해서 우리에게 힌트를 줍니다.
단 한마디 이름도 등장하지 않지만, 역사의 주인공은 하나님이시고, 그가 베푸시는 은혜로 이 세상은 움직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는 에스더서를 통해서 진짜 주인공이신 하나님이 주권적인 역사와 기막힌 섭리로 일하시는 반전의 묘미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에스더는 하나님의 섭리와 은혜로 많은 유대인들의 스타가 될 것입니다.
우리는 에스더와 모르드개처럼 타향에서 디아스포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누구도 주목하지 않고, 알아주지 않는 삶을 살았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지나온 시간들을 추억해 보십시오, 하나님께서는 보이지 않는 손으로 우리를 지금까지 인도해 오셨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우리를 인도하실 것입니다.
역사의 주인공이자 감독이신 겸손하신 하나님은, 조연이요 엑스트라인 우리를 스타로 만들어 주십니다.
그를 의지하고 믿는 자를 말입니다. 우리 모두 별과 같이 빛날 날을 소망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