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20220603 [새벽묵상] 품위 있게 질서 있게 | Decently & Orderly Way (고전/1Cor 14:26~40)



14:26 그런즉 형제들아 어찌할까 너희가 모일 때에 각각 찬송시도 있으며 가르치는 말씀도 있으며 계시도 있으며 방언도 있으며 통역함도 있나니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

26 What then shall we say, brothers and sisters? When you come together, each of you has a hymn, or a word of instruction, a revelation, a tongue or an interpretation. Everything must be done so that the church may be built up.

14:27 만일 누가 방언으로 말하거든 두 사람이나 많아야 세 사람이 차례를 따라 하고 한 사람이 통역할 것이요

27 If anyone speaks in a tongue, two—or at the most three—should speak, one at a time, and someone must interpret.

14:28 만일 통역하는 자가 없으면 교회에서는 잠잠하고 자기와 하나님께 말할 것이요

28 If there is no interpreter, the speaker should keep quiet in the church and speak to himself and to God.

14:29 예언하는 자는 둘이나 셋이나 말하고 다른 이들은 분별할 것이요

29 Two or three prophets should speak, and the others should weigh carefully what is said.

14:30 만일 곁에 앉아 있는 다른 이에게 계시가 있으면 먼저 하던 자는 잠잠할지니라

30 And if a revelation comes to someone who is sitting down, the first speaker should stop.

14:31 너희는 다 모든 사람으로 배우게 하고 모든 사람으로 권면을 받게 하기 위하여 하나씩 하나씩 예언할 수 있느니라

31 For you can all prophesy in turn so that everyone may be instructed and encouraged.

14:32 예언하는 자들의 영은 예언하는 자들에게 제재를 받나니

32 The spirits of prophets are subject to the control of prophets.

14:33 하나님은 무질서의 하나님이 아니시요 오직 화평의 하나님이시니라 모든 성도가 교회에서 함과 같이

33 For God is not a God of disorder but of peace—as in all the congregations of the Lord’s people.

14:34 여자는 교회에서 잠잠하라 그들에게는 말하는 것을 허락함이 없나니 율법에 이른 것 같이 오직 복종할 것이요

34 Women should remain silent in the churches. They are not allowed to speak, but must be in submission, as the law says.

14:35 만일 무엇을 배우려거든 집에서 자기 남편에게 물을지니 여자가 교회에서 말하는 것은 부끄러운 것이라

35 If they want to inquire about something, they should ask their own husbands at home; for it is disgraceful for a woman to speak in the church.

14:36 하나님의 말씀이 너희로부터 난 것이냐 또는 너희에게만 임한 것이냐

36 Or did the word of God originate with you? Or are you the only people it has reached?

14:37 만일 누구든지 자기를 선지자나 혹은 신령한 자로 생각하거든 내가 너희에게 편지하는 이 글이 주의 명령인 줄 알라

37 If anyone thinks they are a prophet or otherwise gifted by the Spirit, let them acknowledge that what I am writing to you is the Lord’s command.

14:38 만일 누구든지 알지 못하면 그는 알지 못한 자니라

38 But if anyone ignores this, they will themselves be ignored.

14:39 그런즉 내 형제들아 예언하기를 사모하며 방언 말하기를 금하지 말라

39 Therefore, my brothers and sisters, be eager to prophesy, and do not forbid speaking in tongues.

14:40 모든 것을 품위있게 하고 질서있게 하라

40 But everything should be done in a fitting and orderly way.


 


여러분은 퀘이커 교도에 대해서 들어 보셨습니까?

종교친우회Religious Society of Friends 또는 퀘이커Quaker는 17세기(1647년)에 조지 폭스George Fox가 창시한 기독교 교파입니다.

퀘이커라는 이름은 하나님 앞에서 떤다는 조지 폭스의 말에서 유래했습니다.

퀘이커는 영국 정부로부터 탄압을 받았고, 그 탄압을 피하여 북아메리카 식민지 영토인 현재 미국의 펜실베이니아로 이주하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 앞에 모두가 평등하다는 의미에서 스스로를 친우회라고 불렀습니다.

퀘이커 교도들은 개신교 교파 중 급진적 재건주의로 서방교회의 예식을 거부하며, 순수한 신앙을 강조합니다. 그들은 청교도와 다르게 칼빈주의의 예정설과 원죄 개념을 부인하고, 모든 사람은 자기 안에 신성 곧 하나님의 성품을 기르는 법을 배워 기르면 모두가 구원받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한편 그들의 예배는 침묵을 통해 내면의 빛을 볼 수 있도록 하며, 장소는 특정한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예배를 이끌어가는 별도의 성직자나 목사를 두지 않고 성령이 이끄시는 대로 아무나 예배 인도를 하고 기도하고 설교합니다. 그들의 이러한 예배 형태는 바로 오늘 본문을 근거로 하는 듯합니다.



무질서의 하나님이 아니요 (26~33a)

하지만 본문을 현대에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일단 2000년이라는 시간적 차이가 있습니다. 이것은 결국 문화의 차이를 무시할 수 없는 시간입니다.

여자는 교회에서 잠잠하라(34)는 명령도 마찬가지로 해석해야 합니다.

우선 당시에는 신약성경이 없는 상태였습니다.

그러므로 초대교회는 상대적으로 성령이 강력하고 직접적인 역사를 통해서 교회의 질서를 잡아 갔습니다. 이것은 현대 선교사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선교를 하면서 그 민족의 언어로 성경이 완성되기까지는 매우 강력하고 빈번한 성령의 특별한 역사하심을 볼 수 있는데, 성경이 완역되고 나면 그러한 현상은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입니다.

바울은 자신의 말이 모든 그리스도인의 원칙이 되는 성경이 될 것이라고 생각은 못했을 것입니다.

다만 초대교회 사람들은 자신들의 문화 안에서 교회의 원칙들을 세워가야 했고, 우리는 그들의 문화적 상황과 현재 우리의 상황 사이에서 그 원칙을 재해석해 내는 작업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오늘날처럼 정제된 신학과 예배 모범이 전혀 없던 초대교회 시대에 오늘 본문은 바울이 예배 모범을 세우는 장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배의 형태도 예배의 정신이나 기본적인 원칙은 유지하면서, 시대에 따라 그 문화적인 형태는 바뀌듯, 오늘 본문에서도 원칙과 문화적인 형태를 구분해야 합니다.


예배와 은사에 관련한 변하지 않는 첫번째 원칙은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 입니다.

이러한 원칙은 계속해서 사도가 설명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두번째는 차례를 따라 하라 입니다.

하나님은 무질서의 하나님이 아니라 화평의 하나님이십니다(33a).



그래서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에게 공예배 가운데 찬송, 말씀, 계시, 방언과 통역을 어떻게 질서 있게 사용할지에 대한 모범을 제시한 것입니다.

공예배 시간에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는 방언을 꼭 하고 싶다면, 두 세사람이 차례를 따라 하고, 한 사람이 통역을 해야 합니다. 만일 통역하는 자가 없으면 교회에서는 방언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27~28).

예언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먼저 예언하던 자는 다른 사람에게 하나님의 계시가 임하면 그 순서를 양보합니다. 그리고 모든 성도들이 그 예언의 말씀을 들을 수 있도록 합니다.

이처럼 예언하는 자는 예언하는 자에 의해 통제를 받아야 합니다(29~32).

교회의 모든 은사는 철저하게 질서 안에서, 화평을 이루며 사용되어야 합니다.

오늘날에는 예배 모범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예배 순서입니다. 그 순서 안에서 각자 다양한 은사를 가진 자들이 은사를 질서 있게 사용하여, 예배하는 모든 성도들이 그 유익을 누르게 합니다. 이것이 바울이 말한 대원칙인 덕을 세우기 위하여, 차례를 따라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품위 있게, 질서 있게 (33b~40절)

바울은 당시 모든 교회가 그러하듯 여성들은 교회에서 잠잠하라는 명령을 합니다. 다분히 문화적인 상황을 반영한 명령입니다. 이 말씀 역시 오늘날 문화적 상황을 고려하여 원칙이 훼손되지 않는 선에서 해석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원칙은 교회의 질서와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키는 사회적 통념입니다.

또한 이것은 창조 원리의 율법을 반영한 명령입니다.

이것을 현대 교회에 적용하자면, 여성들은 물론이고 모든 성도는 교회에 세워진 직분자들에게 순종해야 합니다. 또한 창조 원리와 미풍양속에 따라 여성들은 가정에서 남편에게 복종해야 하고, 이러한 귀한 생황 관습은 교회까지 이어져야 합니다.

물론 문화의 변화에 따라 훨씬 많은 부분 여성들의 리더십을 인정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바울은 교만한 고린도 교인들에게 말씀은 하나님으로부터 있는 것이고, 바울에게 그 하나님의 말씀이 임했음을 선포합니다. 그리고 만일 누구든지 본인 스스로를 신령한 자로 알거든 바울의 편지가 하나님의 명령임을 알아야 한다고 못 박습니다. 만일 그것을 부정하면 그는 사실은 알지 못하는 자입니다(36~38).

모든 은사를 질서와 덕을 세우는 원칙 가운데 품위 있고, 질서 있게 해야 합니다(39~40).



현대 그리스도인들은 대원칙인 말씀을 근거로 하여, 변하지 않는 말씀의 원리, 원칙을 찾아내고 날마다 급변하는 문화 가운데에서 원칙과 원리는 지키면서도 변하는 문화를 삶에 잘 적용할 수 있는 지혜가 있어야 합니다.

이것만 잘해도 우리는 훌륭한 크리스천이 될 수 있습니다. 신앙생활 잘 해봅시다!

품위 있고, 질서 있게 잘 해봅시다!


Comments


bottom of page